불한시사 합작시 20. 청록파를 기리며

  • 등록 2025.04.30 11:12:14
크게보기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청록파를 기리며

 

       푸른 사슴들 어디로 갔을까 (돌)

       타는 저녁놀 강나루 건너서 (빛)

       숲은 불타고 산길 무너지니 (달)

       마음 나루에 맴도는 시어들 (초)

                            ... 25.4.10. 불한시사 합작시

 

 

[설명] 한국 현대시사를 말하면서 청록파 세 시인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조지훈, 박목월, 박두진 이들 세 시인의 위상은 우리 현대시의 큰 산맥 같아서 지금도 그 줄기가 굳건한 것 같다. 왜 청록파인가. 오늘날 같은 혼란과 갈등의 시기일수록 우리의 정신적 내면적인 정체성을 떠올리며, 먼저 간 세 시인의 시와 그 삶을 다시 되새기게 된다. 일제 강점기와 광복 뒤의 사회적 대혼란 속에서도 우리의 민족적 정서를 바탕으로 정신적 내면적 안정과 정화를 추구하며 우리 고유의 맑고 밝은 시학을 구현해 준 고마운 시인들이었다.

 

세 시인은 서로 이질적인 시세계를 추구하면서도 늘 화합하는 삶을 보여준 점도 주목하고 싶다. 그들은 각기 불교, 기독교, 선도, 샤머니즘 등으로 뚜렷이 종교적 철학적 배경이 달랐음에도 늘 서로 화합하고 격려하며 자기 세계를 확립해 간 점은 우리 불한시사 역시 여러모로 본보기로 삼고 싶다. (옥광)

 

• 불한시사(弗寒詩社) 손말틀 합작시(合作詩)

`불한시사(弗寒詩社)'는 문경 ‘불한티산방’에 모이는 벗들 가운데서 시를 쓰는 벗으로 함께 한 시모임이다. 이들은 여러 해 전부터 손말틀(휴대폰)로 서로 합작시(合作詩)를 써 왔다. 시형식은 손말틀 화면에 맞게 1행 10~11자씩 4행시로 쓰고 있다. 일종의 새로운 정형시운동이다.

 

 

 

김영조 기자 pine9969@hanmail.net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