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가야문화유산연구소(소장 오춘영)는 11월 5일 아침 9시, 국립문화유산연구원 유튜브(www.youtube.com/@nrichstory)를 통해 「함안 말이산 8호분」 출토 말 갑옷 재현품에 대한 타격 실험 결과를 공개한다.
국립가야문화유산연구소가 지난 1994년 실시한 「함안 말이산 8호분」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말 갑옷 재현품을 대상으로 진행된 이번 실험은 고대 가야의 기마 병기* 연구와 복원 과정을 과학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2004년까지 1차 보존처리를 끝낸 뒤, 2020년부터 말 갑옷에 대한 2차 보존처리와 함께 과학적 분석을 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갑옷 부위별 탄소 함량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말의 몸통을 가리는 신갑*은 탄소 함량이 매우 낮았던 반면, 목과 가슴을 보호하는 경ㆍ흉갑*은 상대적으로 높은 탄소 함량을 보였다. 이번 타격 실험은 각 갑옷 재현품에 쇠 화살을 타격하여 탄소 함량과 실제 방어 성능의 연관성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 기마 병기: 말과 함께 사용하는 무기와 방어구 일체. 말 갑옷 등의 보호 장비를 포함함.
* 신갑: 말의 몸통(옆구리와 배 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갑옷으로, 네모꼴 형태의 철판을 이어 붙여 제작
* 경흉갑: 말의 목(경갑)과 가슴(흉갑)을 보호하는 갑옷으로, 사다리꼴 형태의 철판을 이어 붙여 제작
실험 결과, 탄소 함량 0.2%로 제작된 신갑은 충격에 취약해 화살 타격에 의해 쉽게 관통되었으나, 상대적으로 높은 0.8%의 탄소 함량으로 제작된 경·흉갑은 강도와 경도가 확보되어 관통되지 않고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방어에 성공하였다.


또한 신갑은 관통되었지만, 여러 개의 철판을 이어 붙인 찰갑(札甲)*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2~4겹이 겹쳐진 부분에서는 말의 몸체까지 손상이 전달되지 않았다. 가죽 부분이 끊어지더라도 갑옷 전체가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추후 보수도 가능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가야 갑옷이 단순한 철판 보호구가 아니라, 겹겹의 방어층을 형성하여 실전에서 충분한 방어 기능을 발휘했음을 보여준다.
* 찰갑(札甲): 여러 장의 작은 철판을 가죽 줄로 이어 붙여 만든 갑옷
이번 실험의 결과는 가야의 철기 제작 기술과 병기 운용 방식을 과학적으로 규명하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였다. 특히, 고대 가야가 단순히 갑옷을 제작하는 수준을 넘어 탄소 함량 조절을 통해 방어 성능을 강화했다는 사실이 실험적으로 입증되면서, 당시 금속 가공 기술이 상당히 발전된 수준이었음을 보여준다.
이번 타격 실험의 전 과정은 국립문화유산연구원 유튜브를 통해 공개되며, 말 갑옷 재현품의 제작 과정을 담은 별도의 영상도 향후 공개될 예정이다. 참고로, 재현된 말 갑옷은 현재 김해에 있는 국립가야역사문화센터 1층 전시실에서 관람할 수 있어, 국민 누구나 가야 말 갑옷의 제작 방식과 과학적 실험 과정을 직접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