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달균 시인]
삼천리
방방곡곡
면면촌촌
다 다녔소
강원도 금강산 일만 이천 봉 팔만 구암당 유점사 법당 뒤 칠성단에 홀로 앉아 집 나간 영감님 찾아달라 빌고 빌며 도톨밤으로 점심 먹고 찬 샘물로 저녁 떼우다 급기야 부황들어 부기 다 빠지니
얼굴은
수세미 같고
팔다리는
수숫대 됐소

<해설>
만났으니 서러운 마음에 하소연이다. 방방곡곡 돈 사연일랑 어찌 다 말할까. 발 디딘 곳은 그렇다지만 끼니도 채우지 못하고 이곳저곳을 돌았다. 아이구, 내 팔자야. “도톨밤으로 점심 먹고 찬 샘물로 저녁 떼우다 급기야 부황” 들었다가 부기 다 빠지니 “얼굴은 / 수세미 같고 / 팔다리는/수숫대” 됐으니 이 팔자를 어찌할꼬. 하긴, 아무리 뻔뻔한 영감이라 한들, 이런 마누라 하소연을 어찌 묵묵히 듣지 않을 수 있으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