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국가보훈부는 쿠바, 멕시코 같은 중남미에서 독립운동을 펼친 임천택(1997년 애국장), 서병학(2021년 애족장), 박창운(2011년 애족장)을 <2024년 10월의 독립운동가>로 꼽았다. 1905년 1,000여 명의 한인들이 멕시코에 첫발을 내디디며 한국 역사상 처음 멕시코 이민이 시작되었다. 이들은 이민 뒤 에네껜 농장에서 4년 동안 노동을 하고, 이후 미주 한인단체 활동과 민족교육을 통한 조국의 독립에 앞장섰다.
임천택(1903년)은 어머니를 따라 멕시코로 옮겨 갔고, 18살이 되던 해 쿠바로 다시 이주했다. 대한인국민회 마탄사스지방회, 재큐한족연합외교회, 재큐한족단 등 한인 단체에서 활동하였으며, 민성국어학교 교장, 진성학교 교장으로 활동하면서 민족교육에 종사했다. 또한, 광복군 후원금을 모집하였고, 국내에서 활동하고 있던 지식인들과 교류하며 민족의식 확산에 이바지하였다.
서병학(1885년)은 멕시코 에네켄 농장에서 4년 동안 노동한 뒤 1921년 쿠바로 옮겼다. 메리다지방회, 오학기나지방회, 마탄사스지방회, 하바나지방회 등 한인단체에서 활동하였으며, 민성국어학교 교사, 하바나 국어학교 교사로 활동하면서 한인들의 정체성과 민족의식 함양을 위해 노력하였다. 이와 함께 대한인국민회, 광복군 후원금 등 꾸준히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하였다.
박창운(1889년)은 멕시코 에네켄 농장에서 4년 동안 노동한 뒤 1921년 쿠바로 다시 옮겼다. 메리다지방회, 마탄사스지방회, 재미한족연합위원회 등 한인단체에서 활동하였으며, 해동학교에 재정을 지원하고 민성국어학교 교장으로 활동하면서 청년들의 교육을 위해 힘썼다. 한국 수재 구제금, 기근 구제금, 독립전쟁 등에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하는 독립운동을 펼치기도 하였다.
이들 3인의 중남미 지역 독립운동가들은 어려운 환경에서도 대한인국민회를 중심으로 서로 뭉쳐 한인들의 이익을 지키고, 일생을 바쳐 독립운동에 온 힘을 쏟았다.
정부는 선생들의 공훈을 기리기 위해 임천택 선생에게는 애국장을 추서하였고, 서병학ㆍ박창운 선생에게는 각각 애족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