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성제훈 기자] 농촌진흥청은 대파를 수확한 뒤 뿌리째 필름 포장하면 저장성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고 밝혔다. 대파는 ‘채소가격안정지원*’ 사업 해당 품목이다. 기후에 따른 작황 변동성과 가격 급등락에 대응, 정부에서 비축과 방출을 집중적으로 관리한다. * 정부가 2017년 도입한 채소가격안정지원 사업은 주요 채소류의 가격 변동 폭을 줄여 생산자와 소비자를 보호하고, 농산물 수급을 안정시키는 사업임 보통 수확한 대파는 선별장으로 보내져 0도(°C)에서 24시간 예비 냉장한 뒤 뿌리에 묻은 흙과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어 뿌리를 5mm 남기고 자르거나, 자르는 과정 없이 뿌리째 그대로 포장한다. 또, 중간 부위를 끈으로만 묶거나 구멍이 뚫린 필름*에 담아 출하하기도 한다. * 지름 0.5cm의 구멍이 1면에 6개 뚫린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필름(20×72cm) 연구진은 대파 수확 뒤 손실률을 줄이기 위해 뿌리를 절단한 것과 남긴 것, 필름으로 포장한 것과 끈으로 묶은 것 모두 4개 실험 구로 나눠 1도(℃)에서 5주 동안 저장하며 품질 변화를 비교했다. 그 결과, 뿌리째 필름 포장한 대파는 뿌리를 자른 뒤 끈으로 포장한 대파보다 수분 손실이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산림청(청장 임상섭)은 6월 이달의 임산물로 약용성이 뛰어난 ‘오갈피나무’를 꼽았다고 밝혔다. 오갈피나무는 잎사귀가 다섯 갈래로 나뉘어 오갈피라 불리며, ‘五加皮(오가피)’에서 그 이름이 유래됐다. 산삼과 같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오갈피나무는 생김새뿐만 아니라 효능 면에서도 산삼과 유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갈피나무는 주로 어린잎을 삶아서 나물이나 쌈으로 많이 먹는다. 전라도에서는 오갈피의 새순을 백숙에 넣어 먹거나 육류를 삶을 때 잎을 넣어 비린내를 없애주며, 경기도에서는 마늘쫑처럼 간장 장아찌를 담궈 먹고, 강원도에서는 ‘오가반’이라는 이름으로 밥에 넣어 먹기도 한다. 또한, 오갈피는 생리활성 물질인 엘레우테로사이드와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되어 항산화 효과가 있으며, 추출물은 혈당을 낮춰 당뇨 예방에 도움이 된다. ※ 출처 : 숲이 주는 건강한 선물, 숲푸드의 과학적인 효능․효과(산림청, 2025) 박은식 산림청 산림산업정책국장은 “오갈피나무는 우리 산림에서 자생하는 대표적인 건강 임산물로, 가공을 통한 고부가가치 상품개발과 소비확대가 매우 중요하다.”라며, “산림청은 임산물 가공시설 연계, 시제품 개발, 맞춤형 마케팅 등 실
[우리문화신문=성제훈 기자]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이 개발한 글루코시놀레이트* 고함량 배추가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 예방에 효과적임을 과학적으로 확인했다.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은 전 세계 인구의 약 3분의 1이 겪는 대표적인 만성질환으로 간경변, 간암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 가운데 하나로 알려져 있다. * 글루코시놀레이트: 식물이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성분으로, 체내 활성산소 축적을 막아줘 세포 손상을 줄이고 암과 관련된 호르몬 생성과 종양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이 밝혀짐. 농촌진흥청은 2017년 소포자배양 기술*을 이용해 고글루코시놀레이트 쌈배추를 개발했다. 글루코시놀레이트 가운데서도 항암성분으로 알려진 글루코라파닌과 글루코나스터틴이 일반 배추보다 10배 이상 많이 함유돼 있다. 연구진은 이 배추가 대장암세포 생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밝히고, 관련 내용을 특허 등록한 바 있다. * 소포자배양 기술: F1 교잡식물의 어린 소포자(꽃가루)를 배양해 식물체를 유기하는 것 경희대학교(이석근 교수 연구팀)와 함께 진행한 이번 연구에서 유리지방산을 처리한 간세포의 지방이 약 1.5배 증가했으나, 고글루코시놀레이트 쌈배추 추출물을 처리한 세포의 지방 축적량은 약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