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수원지역의 뜨거웠던 만세운동의 중심에 있던 인물 ‘김노적’과 나라 안팎 항일 활동의 흔적이 다수 남아 있는 ‘이현경’은 아직 나라의 포상을 받지 못한 대표적인 수원의 항일 인물이다. 수원시 박물관사업소는 최근 김노적과 이현경을 포함해 모두 7명의 수원 출신 독립운동가에 대한 포상을 국가보훈부에 신청했다. 후손이 없거나 증거자료가 부족해 아직 서훈을 받지 못한 인물의 공로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아 그 희생을 잊지 않기 위해서다. ◇ 부족한 자료와 사라진 행적을 보강해 포상 신청 구체적 자료가 부족해 독립유공자로 인정받지 못한 인물의 대표적인 수원의 독립 인물로는 김노적과 이현경이 있다. 김노적(1895~1963)은 수원면 산루리에서 태어났다. 지금의 수원중고등학교인 수원상업강습소에서 초등과와 고등과를 다녔는데, 당시 소장(교장) 겸 소감(교감)이 수원의 대표적인 독립운동가 김세환이었다. 은사와 제자로 만난 이들은 1919년 만세운동을 수원에서도 일으키기로 했고, 김세환은 김노적을 만세운동 인원 동원 책임자로 임명했다. 정오에 시작하려던 만세운동 계획이 발각됐다는 정보에 따라 시위는 저녁때 방화수류정 앞에서 횃불시위로 대체됐다. 이때 주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오늘 강연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여성독립운동가는 해녀출신 부춘화 지사님, 목포 정명학교의 김나열 지사님과 오희옥 지사님입니다. 오늘 강연시간이 길어 집중이 잘 될지 걱정이었는데 생각보다 집중이 잘 되어 좋았습니다. 다음번에는 더욱 집중해서 듣겠습니다. - 임시은- 독립운동가들 덕분에 저희가 편하게 지낼 수 있어 감사의 마음을 표하고 싶습니다. 저는 지금 전쟁이 일어나면 집에만 있을 것 같은데 저와 비슷한 연령대의 분들이 나라를 위해 노력하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윤지유- 여성독립운동가에 대한 강의를 들었다. 여성독립운동가는 잘 알지 못했는데 강의를 들으니 더 잘알게된 것 같습니다. 유관순 열사님과 비슷한 점이 많음에도 잘 알려지지 않는 동풍신 열사님에 대해서도 들었습니다. 그리고 기생 출신 독립운동가, 해녀 출신 독립운동가 등 많은 이야기를 들었구요. 오늘 강의를 듣고 나니 정말 많은 여성독립운동가들이 있음에도 잘 알지 못했던 내가 조금 부끄럽게 느껴졌습니다. 앞으로 더 알아보고 익혀서 떳떳할 수 있도록 해야겠어요. -권순지- " 어린 학생들의 강연 소감을 읽고 있자니 마음이 짠하다. 2시간 동안 쉬지 않고 이어지는 강연에 숨소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천지를 영접한 순간을 생각하면 지금도 짜릿하다. '동해물과 백두산이' 애국가 첫 소절에 나오는 그곳이다. 그 천지가 바로 내 눈앞에 펼쳐졌다. 3대가 덕을 쌓아야 본다는 그곳! 하늘이 허락한 순간이었다. 설명하기 어려운 감정이었다. 그것도 '광복절에 천지라니', 연길파옥투쟁과 15만 원 쟁취, 창동학교 등 한인민족학교, 봉오동ㆍ청산리 대첩의 수많은 영웅이 떠올랐다. 그들이 꿈꾸었던 해방된 조국, 통일된 조국을 기원하며 백두산 천지와 북녘 하늘을 가슴에 담았다.” 이는 이진 작가가 쓴 《만주에서 길을 묻다》(북랩.2025.5.) 속에 나오는 ‘광복절에 오른 백두산 천지와 장백폭포’에 관한 글 일부다. 흔히 ‘천지를 보았다, 천지에 올랐다. 천지에 갔다’라고 쓰는 데 이진 작가는 ‘천지를 영접했다’라고 썼다. 그리고 작가는 천지에서 ‘조국 광복을 위해 뛴 수많은 선열을 떠올렸으며 (과거), 희망으로 통일된 조국을 염원(미래)했다’라고 했다. 천지에서 과거의 독립운동가들, 현재의 자신, 그리고 미래의 통일된 조국을 꿈꾸는 작가의 마음에 완전히 공감한다. 글쓴이는 이 구절을 읽으며 지난해 광복절을 앞두고 (사)탄운이정근의사기념사업회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