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혹한의 눈보라 속 / 펄럭이는 만장으로 슬픔을 감추고 떠난 임 세 살배기 어린 딸 / 어이 남기고 서둘러 가셨는가! 많이 배우고 잘난 여자들 일제에 빌붙어 동포를 팔아먹고 / 더러운 입 놀려 호의호식할 때 구국의 대열에 앞장서라 외치던 / 서른 해 짧은 생 마감하며 던진 화두 죽어서도 차마 놓지 못할 / 광복의 그 찬란한 꿈 고이 간직하고 떠나시라고 / 가시는 걸음걸음 흩뿌리던 하얀 눈송이 / 희고 순결하여라. 이는 여성독립운동가 박원희(朴元熙, 1898.3.10.~1928.1.5, 2000년 애족장) 지사의 불꽃 같은 삶을 노래한 필자의 시다. 남편 김사국(金思國, 1895.11.9.~1926.5.8, 2002년 애족장) 지사와 함께 부부독립운동가로 활약한 박원희 지사는 1925년 4월 29일, 무남독녀 딸 사건(史建)을 낳았다. 일제에 강탈된 나라의 국권을 회복하여 역사를 바로 세우라는 뜻에서 부부는 딸 이름을 사건(史建)이라 짓고 금지옥엽으로 키웠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독립운동 과정에서 옥고를 겪었던 부부는 고문 후유증으로 어린 딸이 3살 되던 해에 2년 차이로 숨을 거두는 바람에 딸 사건(史建)은 고아로 성장하게 되는 가슴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일제감시대상인물카드(수형자카드)에 남아있는 독립운동가들의 흑백사진을 보고 있을라치면 울컥 목이 메인다. 일제침략이 없었더라면 감옥에 갇혀 굴곡진 삶을 살아갈 까닭이 없었던 선열들의 인생노정은 그래서 더욱 가슴아프고 애절하기 조차하다. 통탄스러운 일은 온몸으로 독립운동을 하다 감옥살이를 했지만 아직도 이분들이 '독립유공자'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는 사실이다. 필자 역시 아침부터 밤까지 미서훈자들의 발굴 작업에 매달리면서 매순간 '미서훈자들포상 작업이 늦어지고 있는 현실의 벽'에 아득함을 느낀다. 올해는 일제 침략의 쇠사슬에서 벗어나 조국의 빛을 찾은지 80돌이 되는 해로 나라 안팎에서 크고 작은 행사들이 즐비하지만 내 개인적인 생각은 '독립운동가 미서훈자를 발굴하는 작업' 만큼 값어치가 있는 일도 없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어제(27) 낮 2시, 서울시청 3층 회의실에서는 조촐하지만 아주 의미깊은 행사가 있었다. 바로 미서훈독립운동가들을 발굴하여 이들을 세상에 알리는 행사였다. 행사 이름은 ‘제14차 독립유공자 230명 포상신청설명회’로 광복회(회장 이종찬)ㆍ국립인천대학교(총장 이인재)ㆍ서울특별시(시장 오세훈)가 공동주최였다
[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흥사단 독립유공자후손돕기본부(상임대표 나종목)는 광복 80돌을 맞아 KB금융공익재단이 후원한 5,000만 원의 장학금을 2025년 6월 뽑은 독립유공자 후손 63명에게 8월 13일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KB금융공익재단은 사회적 의인과 소방ㆍ경찰ㆍ해양경찰 가족을 포함한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장학사업을 펼치며 사회 공익 활동에 힘써왔다. 이번 후원 또한 광복 80돌을 맞아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고 미래 세대의 성장을 지원하는 취지로 이루어졌다. 흥사단 나종목 상임대표는 “독립유공자 후손에게 장학금을 지원하는 일은 선열들의 희생을 기억하고, 독립운동이 지닌 역사적ㆍ사회적 값어치를 오늘의 삶 속에서 이어가는 길”이라며 “특히 KB금융공익재단의 5,000만 원 후원은 하반기 장학사업을 이어가는 데 큰 도움이 됐다”라고 강조했다. 흥사단 독립유공자후손돕기본부의 장학사업은 정부 예산이 아닌 시민과 기업의 자발적 후원으로 운영된다. 2025년 상반기에도 평범한 시민들이 정성껏 모은 후원금으로 장학금을 지급했으며, 이번 KB금융공익재단의 후원이 더해져 하반기 장학사업이 큰 힘을 얻게 됐다. 흥사단 독립유공자후손돕기본부는 2005년 설립 이래 장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