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유홍준)은 매주 수요일 야간개장 시간(18:00~21:00)에 ‘전시기획자(큐레이터)와의 대화’를 운영한다. 11월에는 인상주의 회화를 다룬 특별전 《인상주의에서 초기 모더니즘까지, 빛을 수집한 사람들》과 세계문화관에 새롭게 문을 여는 이슬람실을 비롯한 상설전시관에서 14개의 주제에 관한 해설이 진행된다. 먼저, 미국 메트로폴리탄박물관 소장 로버트 리먼 컬렉션을 선보이는 특별전 《인상주의에서 초기 모더니즘까지, 빛을 수집한 사람들》이 11월 14일에 막을 올린다. 이 전시는 19세기 후반 인상주의에서 20세기 초 모더니즘으로 이어지는 예술의 변화를 조명하고, 빛과 색채의 탐구를 통해 예술의 새로운 지평을 연 화가들의 작품을 선보인다. 11월 19일과 26일 저녁 6시에 전시기획자의 해설을 통해 주요 작품에 관한 설명과 전시 의도를 들어볼 수 있다. 이슬람실은 카타르 도하 이슬람예술박물관 소장품 83점을 통해 이슬람 문명이 이루어낸 찬란한 문화의 향연을 경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11월 22일부터 관람할 수 있다. 26일 저녁 7시에 전시의 내용과 구성을 한층 더 깊게 이해할 수 있는 전시기획자의 해설을 마련하였다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가유산진흥원(원장 이귀영)이 오는 11월 25일 화요일 저녁 7시 30분 한국문화의집 코우스(서울 강남구)에서 기획공연 <예인열전(藝人列傳) - 김오현, 뿌리를 지키다>를 연다. ‘예인열전’은 2011년부터 이어진 이 시대 예인의 삶을 집중 조명하는 공연 시리즈로, 이번에는 진도씻김굿 전승교육사 김오현의 예술인생을 조명한다. 11월 5일 수요일부터 네이버에서 예매가 시작된다. 김오현은 국가무형유산 진도씻김굿 악사로 알려졌지만, 악기 연주 말고도 소리, 춤 분야에서도 다재다능하다. 김오현의 고향은 민속예술의 땅이라고 불리는 진도로, 슬픔을 마을 공동체가 함께 나누고 흥으로 승화하는 독특한 상ㆍ장례문화를 가지고 있다. 사라져 가는 전통 장례의 원형을 보여주면서 높은 예술성도 지녀, 진도 상ㆍ장례문화의 일부가 국가·전남 무형유산으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진도씻김굿*, 진도다시래기**, 진도만가*** 등이 있다. * 진도씻김굿: 국가무형유산, 죽은 이의 영혼이 모든 원한을 씻고 편안한 세계로 갈 수 있도록 기원하는 굿, 춤이나 음악에서 예술적 요소가 뛰어남 ** 진도다시래기: 국가무형유산, 초상이 났을 때 전문
[우리문화신문=성제훈 기자]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11월 4일부터 11일까지 ‘올해도 11월 11일은 가래떡데이!’ 온라인 행사를 진행한다. 이번 행사는 11월 11일 ‘가래떡데이’를 맞아 우리 쌀의 소중함과 우수성을 알리고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 기간에 가래떡을 비롯한 다양한 떡을 먹거나 요리하는 모습을 사진으로 찍어 공개된 누리소통망(SNS)에 올리고 행사 공지에 ‘참여 완료’ 댓글을 작성하면, 40명을 추첨해 식냥이* 문화상품(굿즈), 우리 품종 쌀 꾸러미 등을 준다. 가래떡데이 온라인 행사 내용은 국립식량과학원 누리집(www.nics.go.kr)*과 기관 누리소통망(SNS)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국립식량과학원의 우수성과를 홍보하고 농업에 대한 국민의 이해와 관심을 높이기 위해 제작된 기관 특징물(캐릭터) *‘국립식량과학원 누리집’ 접속-‘알림ㆍ홍보’-‘홍보ㆍ보도’-‘보도자료’ 정부는 농업인의 긍지와 자부심을 북돋우기 위해 1996년 11월 11일을 ‘농업인의 날’로 제정했다. 젊은 층 사이에서 이날을 막대 과자 주고받는 날로 여기는 인식이 확대되자, 2006년에는 가래떡을 먹는 가래떡데이로 지정해 쌀 소비 촉진을 장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