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8 (토)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뉴스섹션

전체기사 보기


(사)한지문화재단 ‘2025 한지국제포럼’ 연다

문명시대를 연 수제종이 한지, 제2의 르네상스시대를 열자!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사)한지문화재단(이사장 김진희)이 오는 10월 23일(목) 낮 2시, 원주한지테마파크 열린공간에서 ‘2025 한지국제포럼(International HANJI Forum)’을 연다. 원주시와 (사)한지문화재단이 주최하고 강원특별자치도, 한지살리기재단, 원주한지가 후원하는 이번 포럼은 ‘문명시대를 연 수제종이 한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로 제2의 르네상스시대를 열자!’라는 구호 아래 진행된다. 본 국제포럼은 2024년 국가유산청이 ‘한지 제작의 전통 지식과 기술 및 문화적 실천’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등재 신청한 것을 계기로, 유네스코에 등재된 중국의 선지(2009년)와 일본의 미노화지(2013년)의 사례를 공유하고 민ㆍ관이 함께 지속 가능한 한지 문화산업의 발전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중국ㆍ일본 전문가 초청 발표와 토론으로 동아시아 수제종이 문화교류 및 발전 방안 모색 이날 행사는 크게 ▲발표 마당과 ▲토론 마당으로 나누어 진행된다. 전체적인 진행은 김형진 국민대학교 교학부총장(한지살리기재단 이사)이 맡았다. 발표에서는 가장 먼저 △위안보 교수(북경 칭화대학교 미술대학)가 ‘중국 종이 문화의 현대적

혼자라는 감각을 존재의 중심으로 바꾸는 감성

도서출판 새얀, 린결의 인문 에세이 《존재의 온도》 펴내 빠른 속도와 비교의 시대, 혼자라는 감각을 새롭게 해석하는 조용한 안내서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빠른 속도와 비교의 피로 속에서 자신만의 리듬을 지키는 일이 점점 어려워지는 시대, 늘 외롭거나 불완전한 고요로 여겨졌던 ‘혼자’라는 감각을 존재의 중심으로 다시 세우는 시간으로 바라본 감성 인문 에세이 《존재의 온도: 혼자여도 괜찮은 나》가 10월 22일 출간된다. 내 안의 ‘진짜 나’를 회복하는 여정 ‘존재의 온도’는 타인의 속도에 휘둘리지 않고, 비교의 흐름에 휘말리지 않으며, 스스로 만족할 수 있는 자아, 곧 ‘내 안의 진짜 나’를 회복해 가는 여정을 그린다. 지은이는 이를 “상대적 충족을 끊고, 절대적 중심에 귀 기울이는 과정”이라고 말한다. 결국 이 책이 말하는 회복이란 상대의 기준이 아닌 ‘나의 기준’에서 오는 충족을 되찾는 일이다. 이 책은 감정 위로를 넘어 존재를 되묻는 조용한 질문을 건네며, 감성과 생각의 결이 균형 있게 어우러진 문장으로 깊은 울림을 전한다. 감정에서 깊게 여문 생각으로, 그 생각에서 존재로 책은 모두 4장으로 구성돼 있다. 1. 세상의 각본을 멈추고 나만의 기준을 세우는 연습 2. 인정 욕구에서 벗어나 자존의 감각을 회복하는 길 3. 속도의 중독을 멈추고 내 리듬으로 다시 걷는 삶 4. 요행

진실로 평화로운 나라 부탄왕국

기본 철학인 “국민총행복(GNH)”이 그대로 실현되는 나라 [청정하고 행복한 나라 부탄을 가다 10]

[우리문화신문=일취스님(철학박사)] 평화(平和)란 무엇일까? 문자적으로 해석하면 극히 어려운 단어는 아니다. 사전에는 평화를 일러 “평온하고 화목함.”, “전쟁, 분쟁 또는 일체의 갈등이 없이 평온한 상태”라고 정의하고 있다. 한편, 평화란, 어떤 존재든 마땅히 평화를 누릴 수 있는 권리를 가졌을 뿐만 아니라 극히 신성하고 인류사회에 필요불가결(必要不可缺)한 지향점이며, 목적이라고 말들을 한다. 그렇지만 평화의 정체성은 무엇이며, ‘평화는 진정 누가 만드는가?’라는 물음에는 모두 얼버무리고 만다. 그러면서도 인간들은 평화란 의미를 맑은 생수와 같고, 청정한 공기와 같은 것이며 푸른 하늘을 자유롭게 나는 새들의 모습에서, 넓은 들판에서 자유롭게 풀을 뜯는 동물들을 비추어 보면서 마냥 평화를 동경하고 있다. 이렇게 인간들은 평화를 끊임없이 갈망(渴望)하고 살고는 있지만 사실 진정 평화롭다고 확신하지 못하고 불안한 평화 속에 살고들 있다. “평화”를 다시 한번 정리해 보면 단순히 전쟁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인간과 인간, 국가와 국가, 인간과 자연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상태를 뜻한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선 두 가지 축인 「평화의 근본이념(철학적ㆍ윤리적 기반)」과 「

방랑시인은 김삿갓 말고 여성 김금원도 있다

열 살 터울의 두 사람, 같은 주막에 묵었을 수는? [돌아온 개화기 사람들] 53

[우리문화신문=김선흥 작가] 같은 시기 여성 김삿갓이 있었고 그녀가 여행기를 남겼다는 사실은 왜 이토록 알려지지 않았는지. 14살 때 길을 나선 남장 소녀의 이름은 김금원(金錦園, 1817~?). 조선 후기를 살았던 두 사람은 꼭 열 살 터울이다. 김삿갓은 스무 살 때 집을 나왔다고 하니 1827년 무렵이다. 금원이 집을 나선 것은 1831년이라 하니, 김삿갓 보다 4년 늦게 집을 나선 셈이다. 이 두 남녀의 여정이 교차했을 수도 있을지, 혹 어딘가에서 같은 주막에 묵었을 가능성은 없을까? 만일 두 사람이 같은 주막의 마루 위에서나 어떤 마을의 정자에서 서로 시를 겨루었다면 어떤 작품들이 나왔을까? 이런 엉뚱한 상상을 하면서 금원의 여로를 한 번 짚어 본다. 그녀의 여행은 14살 소녀 때부터 시작하여 시간 간격을 두고 여러 차례 이루어졌다. 시간 간격을 무시하고 여정을 모두 이어보면 다음과 같다: 제천-단양-영춘-청풍-(아래 내금강) 단발령-장안사-표훈사-만폭동-수미탑-중향성-불지암-묘길상-지장암-사자암-(아래 외금강) 유점사-구룡소-은선대-십이폭포-(아래 관동팔경) 통천 총석정-해금강-고성 삼일포-간성 청간정=강릉 경포대-울진 망양정-평해 월송정-삼척 죽서

[하루 하나 오늘 토박이말]높쌘구름

하늘에 있는 양떼, '높쌘구름'을 아시나요?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오늘도 하늘에는 여러 가지 구름이 보입니다. 이런 구름 보신 적 있으시죠? 파란 그림종이(도화지) 위에 누군가 하얀 솜뭉치를 툭툭 던져 놓은 듯, 크고 둥글둥글한 구름이 흩어져 있는 모습을 보면 저도 모르게 마음이 포근해지곤 하는 구름말입니다. 마치 드넓은 하늘 풀밭에 하얀 양들이 한가로이 풀을 뜯는 것 같아 보여 '양떼구름'이라는 살가운 이름으로 더 자주 불리는 구름이지요. 오늘은 바로 이 아름다운 구름을 가리키는, 소리마저 예쁜 토박이말 '높쌘구름'을 알려 드립니다. '높쌘구름'은 말 그대로 '높은 하늘에 있는 쌘 구름'이라는 뜻을 품고 있습니다. 여기서 '쌘'이라는 말이 조금 낯설게 들리실 수도 있겠습니다. '쌘'은 '쌓이다'의 준말 '쌔다'의 매김꼴(관형형)으로 무엇인가가 덩어리로 뭉쳐 쌓여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말인듯 합니다. '높은 하늘에 둥글둥글 크게 덩어리진 구름'이라는 뜻을 그림처럼 보여주는 말이라고 하겠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높쌘구름'을 '높은 하늘에 크고 둥글둥글하게 덩어리진 구름. 보통 2~7km 높이에 나타나며 권적운에 비하여 하나하나의 구름 덩어리가 크다.'라고 풀이를 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흔

백제시대에도 얼음창고가 있었다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5151]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국립부여문화유산연구소와 부여군은 지난 10월 13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부소산성에 대한 17차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추가 성과를 공개했습니다. 17차 발굴조사에서 눈에 띄는 것은 부소산성 내 가장 높고 넓은 평탄한 터를 조사하여 백제 왕궁의 높은 위계 공간임을 알 수 있는 대지조성과 굴립주 건물터 곧 땅속에 기둥을 세우거나 박아 넣어 만든 건물로, 지표면 위에 생활면을 설치한 건물과 와적기단 건물터를 발견한 바 있습니다. 특히 이 발굴조사를 정리하고 마무리하는 과정에서 얼음을 넣어 두는 빙고(氷庫)가 추가로 발견되었는데 이것은 부소산성에서 처음 발견된 사례입니다. 빙고는 17차 조사구역 동쪽 끝부분에 있는데 평면은 네모 모양이며 내부 단면은 U자형이고, 규모는 동서 길이 약 7m, 남북 너비 약 8m, 깊이는 2.5m지요. 바닥 가운데에 길이 230cm, 너비 130cm, 깊이 50cm로 땅을 파서 구덩이를 만든 뒤 남쪽에 깬돌을 채운 시설을 만들었는데, 이것은 빙고 안에서 생긴 물을 빼내기 위한 물 저장고(집수정)로 짐작됩니다. 이러한 빙고는 얼음을 장기간 보관하기 위한 특수시설로 강력한 왕권과 국가 권력이 있어야

'등대여권' 들고 떠나는 등대 순례

바다 덕후라면 꼭 가야 할 '등대 스탬프탐방' 잇기 인기 스탬프탐방 완주 시 완주 증서, 기념 책갈피 세트 증정... '모으는 재미'까지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주말마다 어디로 놀러갈지 늘 고민이라면, '등대여권'을 펼쳐보는 건 어떨까. 최근 엠지(MZ)세대들 사이에 전국의 독특하고 재미있는 등대를 찾아 스탬프(소인)를 모으는 이색 '등대 스탬프탐방'이 새로운 여행 경향으로 자리 잡으며, '바다 덕후'들의 성지순례로 떠오르고 있다. '등대 스탬프탐방'는 해양수산부 산하 한국항로표지기술원(KATON)이 운영하는 체험프로그램으로, 마치 게임 임무를 끝내듯 아름답고 재밌는 등대를 찾아 스탬프를 하나씩 채워가며 '등대여권'을 완성하는 이어가기다. '아름다운 등대', '역사가 있는 등대', '재미있는 등대', '풍요의 등대', '치유의 등대' 등 5가지의 주제 길이 있어 가족여행, 쌍쌍 만남, 우정여행, 소망 목록(버킷리스트) 여행지로도 인기가 많다. 이 가운데서도 가장 뜨거운 길로 꼽히는 것은 '재미있는 등대'다. △조랑말 모양의 빨간ㆍ하얀색 쌍둥이 '말 등대'는 해 질 녘 길게 드리운 그림자가 '인생사진 촬영점'으로 유명하며, △방파제 끝에서 만나는 거대 고래 모양 '귀신고래 등대', △네덜란드식 풍차 모양의 '풍차 등대', △국제공항 인근의 '비행기 등대', △송이버섯을 형상화한 '송이 등대

K-컬처의 뿌리, 무형유산으로 하나 되는 축제마당

「2025 무형유산축전, 화락연희」, 무형유산 공연ㆍ전시ㆍ체험 등 한자리에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가유산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박판용)은 10월 23일 저녁 5시 개막식을 시작으로 26일까지 국립무형유산원(전북 전주시)에서 다양한 무형유산을 한 자리서 경험할 수 있는 무형유산 종합축제 「2025년 무형유산축전, ‘화락연희’」(이하 ‘축전’)를 연다. 전통과 현대, 스승과 제자, 세대와 세대, 그리고 지역과 세계가 어우러지는 마당으로 기획된 이번 축전은 관객 참여형 프로그램과 첨단 기술을 결합해 무형유산의 현재와 미래를 한자리에서 제시한다. * 화락연희(和樂宴熙): 조화롭고 즐거운 잔치에서 빛나는 기쁨 먼저, ‘흥’을 주제로 한 다양한 무형유산 공연을 만나볼 수 있다. 10월 23일 개막공연 ‘무형유산의 시작’(10.23. 저녁 7시 30분)에서는 김덕수 명인의 신명 나는 사물놀이를 시작으로, 올해 탄생 100돌을 맞이한 국가무형유산 남도들노래 고( 조공례 보유자의 모습을 인공 지능(AI)으로 복원하여 제자들과 한 무대에서 교감하는 ‘명인오마주’ 공연이 펼쳐진다. 이어 판소리꾼 겸 가수 최수호의 무대를 비롯해, 전 출연진이 함께 호흡을 맞추며 축제의 문을 연다. 둘째 날인 10월 24일에는 무형유산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