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9월9일(화) 지리산국립공원 노고단일원에서 바라본 구례전경, 섬진강과 겹겹이 이어진 산맥위로 운무가 자욱해 신비로운 풍경을 선사하고 있다.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백중(百衆, 百鍾, 中元日, 亡魂日)은 불교의 5대 명절 가운데 하나다. 불가의 4대명절은 석가모니부처님의 탄생(태어난 날, 음4월 8일), 출가(깨달음을 구하기 위하여 왕궁을 떠난 날, 음 2월 8일), 성도(부처님 된 날, 음 12월 8일), 열반인(이 세상을 떠나 열반에 든날, 음 2월 15일)을 말하며, 여기에 부처님과는 직접 관계가 없는 백중(우란분절)을 더하여 불교의 5대명절이 된 것이다. 백중은 억불의 시대였던 조선시대에도 온 백성이 집집마다 맛있는 음식을 만들어 절을 찾아가 부처님께 바치기도 하고, 온 나라 마을마다 다양한 잔치를 벌였는데, 한해 내내 일만하던 노비들에게도 백중날만은 하루를 푹 쉬게하고 맛있는 음식을 먹이고 놀면서, 각자 자기 조상들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며 온 나라가 축제를 즐기던 날이었다. 백중을 불교적으로 '우란분절(盂蘭盆節)'이라고 부르는데, 우란분은 옛 인도의 말을 음역하여 부르는 말로 불경에 따르면 부처님의 10대 제자 가운데 한 분인 목련존자가 아귀도 지옥에 떨어져 온갖 고통속에 시달리는 자신의 어머니를 구하기 위하여, 석가모니부처님의 신통력으로 아귀지옥까지 찾아가 자신의 어머니를 구하고자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경복궁 서쪽 국립고궁박물관에 전시 중인 조선시대 왕비의 혼례식 때 왕비관처럼 썼던 왕비의 가채머리장식이다. 신라와 백제시대 왕릉에서 발굴된 임금과 왕비의 금관장식과 견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데, 오늘은 혼례식 때 머리에 왕비의 관처럼 썼던 왕비의 가채머리를 올려본다. 요즈음 한류가 여러 방면에서 세계에 떨치고 있는데, 한국인의 빼어난 디자인 감각으로 발전시켜 만들어낸 조선시대 왕실의 혼례식 때 쓴 왕비의 가채머리장식은 매우 독특하고 아름답다. 요즈음에도 여인들은 집안의 행사가 있으면 미장원에서 한참 머리손질을 하여 자신의 얼굴을 아름답게 보이고자 하지만, 조선시대 왕실에서도 왕비가 되는 여인을 돋보이게 하고자 오랜세월 발전시켜왔던 다양한 장신구들을 귀한 보석으로 장식하여 머리에 꽂았다. 자세히 보면 매우 복잡스럽지만 전체적으로 보아도 아름답고, 하나 하나 떼어서 살펴보아도 아름답다. 각각의 장식품에는 그 나름대로 좋은 의미(부, 귀, 수명장수)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 것 들을 모두 모아 가장 아름다운 왕비임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왕비의 머리에는 다양한 모양의 비녀들이 상하좌우로 꽂혀있고, 영롱한 구슬들이 매달려 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