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아인슈타인은 이야기합니다. "어제와 똑같이 살면서 다른 미래를 기대하는 것은 정신병 초기 증세이다." 아인슈타인의 말은 마치 나를 향해 던진 화살처럼 느껴집니다. 아침마다 똑같은 루틴을 반복하며 살아가는 나에게, ‘과연 다른 미래를 꿈꿀 자격이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진 것이지요. 어쩌면 우린 어제와 조금씩 다른 오늘을 살고 있다고 착각하는지도 모릅니다. 곰곰이 생각해 보면, 우리의 하루는 대부분 똑같은 유형으로 반복되고 있지요. 출근, 근무, 퇴근 뒤의 피로감까지도 어제와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내일은 더 나은 날이 될 것이라고 막연하게 기대합니다. 하지만 아인슈타인의 말처럼, 어제와 똑같은 삶을 살면서 다른 미래를 기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만약 우리가 진정으로 다른 미래를 원한다면, 먼저 우리의 현재를 바꿔야 하지요. 작은 습관 하나를 바꾸는 것부터 시작해, 조금씩 새로운 것에 도전하고, 익숙한 것에서 벗어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하루아침에 모든 것을 바꾸는 것은 쉽지 않지만 작은 변화들이 모여 큰 변화를 만들어낸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날마다 아침 더 일찍 일어나 책을 읽거나, 새로운 운동을
[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과유불급(過猶不及)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지나친 것은 모자라는 것과 같다”라는 뜻으로 지나친 것과 모자란 것을 동일시 하고 있지요. 어떤 일이든 지나치면 오히려 해가 된다는 이 단순한 진리는, 인생의 모든 면에 적용되는 불변의 이치를 담고 있습니다. 동양철학의 중용(中庸)이나 중도(中道) 역시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지요. 우리는 흔히 ‘적당한 것이 좋다’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적당함’이라는 단어는 다소 어정쩡하고 추상적인 느낌을 줍니다. 과유불급의 관점에서 보면, ‘적당함’이란 단순히 어떤 기준점에서 조금 벗어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마치 맞춤옷처럼 개인과 상황에 꼭 맞아떨어지는 최적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모든 것은 양면성을 지니고 있지요. 몸에 좋은 약이라도 과하게 먹으면 독이 됩니다. 향수도 마찬가지입니다. 은은한 향기는 기분을 좋게 만들지만, 지나치게 강한 향기는 오히려 불쾌감을 초래합니다. 이처럼 어떤 것이든 정도가 지나치면 본래의 목적과는 반대의 결과에 맞닥뜨릴 수 있습니다. 우리의 삶도 그러하지 않을까요? 사랑, 일, 공부 등 어떤 일이든 지나치면 독이 됩니다. 사랑에 빠져 다른 모든
[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모든 사람은 자신의 방식대로 아름답습니다. 마치 캔버스 위에 펼쳐진 다채로운 빛깔들처럼, 세상에는 저마다 다른 모습과 개성을 가진 사람들이 존재합니다. 우리는 흔히 아름다움이라는 기준을 외모나 재능에 한정시키곤 합니다. 잡지나 영화 속 완벽한 비율의 모델, 뛰어난 재능을 가진 예술가들을 보며 우리 자신을 비교하고 부족하다고 느끼기도 합니다. 하지만 진정한 아름다움은 외적인 조건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아름다움은 내면의 빛깔입니다. 따뜻한 마음씨, 긍정적인 태도, 끊임없이 배우려는 열정, 자신만의 고유한 이야기 등이 만들어 내는 아름다움은 외적인 아름다움보다 더욱 깊고 진솔합니다. 조용히 책을 읽는 모습, 열정적으로 일하는 모습,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헌신하는 모습, 모두가 각자의 방식으로 아름다운 빛을 발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사회가 정해놓은 틀에 맞춰 살아가려고 노력합니다. 남들과 비슷해지려고 애쓰고, 다른 사람의 시선을 의식하며 살아갑니다. 하지만 진정한 행복은 남들과 비교하며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자신만의 개성을 존중하고,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사랑할 때 비로소 진정한 아름다움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마치 꽃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