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나미 기자] 수원화성박물관은 21일 다목적강당에서 ‘을묘년, 8일간의 수원행차’ 학술대회를 열고 정조대왕의 화성행차와 관련한 연구 성과를 공유했다. 특별기획전 ‘천년효행, 그 8일’ 전시와 연계해 개최한 이번 학술대회는 사학·한국학·문화예술 전문가들의 발표와 토론으로 진행됐다. 정해득 한신대학교 교수가 사회를 맡았다. 김문식 단국대학교 사학과 교수는 ‘정조의 화성 행차와 행차로’를 주제로 연구 성과를 소개했고, 김지영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선임연구원이 토론했다. 송혜진 숙명여자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교수는 ‘봉수당 진찬의 공연화 과정과 의의’를 주제로 발표했다. 이숙희 전 국립국악원 연구관이 토론에 참여해 공연 복원의 의미를 짚었다. 박정혜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예술학부 교수는 ‘화성원행도병 연구의 쟁점과 의미’를 설명했다. 제송희 가회고문서연구소 연구원이 토론에서 작품 해석의 관점과 연구 방향을 제시했다. 수원화성박물관 관계자는 “올해는 정조대왕이 1795년 을묘년에 어머니 혜경궁 홍씨를 모시고 수원으로 행차해 회갑 잔치를 베풀어 드린 지 230돌이 되는 해”라며 “특별기획전시와 연계해 수원행차길과 의례, 그리고 기록에 담긴 역사적 가치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오는 12월 4일 저녁 7시 경기 수원시 팔달구 정조로 817. ‘정조테마공연장’에서는 <칼검(劍)ㆍ춤무(舞)> 화성행궁(華城行宮) 봉수당(奉壽堂) 검무(劍舞) 찾기 그 두 번째 걸음 공연이 열린다. 진짜 조선 정조의 꿈이 깃든 춤. 230년 전, 정조는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을 기념해 화성행궁 봉수당에서 '진찬'이라 불린 큰 잔치를 열었다. 그날 무대에 처음 오른 춤이 바로 검무(劍武)다. 《원행을묘정리의궤》에는 칼춤을 추는 두 여인의 그림과 함께 검劍무舞'라는 이름이 또렷이 남아있다. 조선 왕실 공식 기록에 이렇게 명확히 남은 검무'는 이때가 유일하다. 이 춤은 단순한 칼춤이 아니라, 정조가 효심ㆍ무예ㆍ왕권ㆍ민심의 조화를 시각적으로 보여준 상징적인 무대였다. '검무'는 곧 정조가 꿈꿨던 새로운 시대의 지도력 선언이었다. 또 정조에게 화성은 각별한 도시였다. 억울하게 세상을 떠난 아버지 사도세자의 무덤을 옮긴 곳이자, 새로운 정치 중심지로 삼고자 한 자급자족의 도시였다. 화성행궁에서 열린 진찬과 검무 공연은 왕실과 백성, 상인, 유생, 군사들이 함께한 통합의 무대였다. 정조는 실용적 통치를 추구한 군주로, 《무예도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오는 11월 27일부터 11월 30일까지 서울 종로구 창경궁로 260 명륜프라자. 지구인아트홀에서는 연극 <인간탈피>가 열린다. 2021년 공연예술창작산실 대본공모에서 우수작으로 뽑힌 <인간탈피>가 강렬한 그림자와 빛, 다채로운 안무와 음악, 괴기한 분장과 의상으로 무대에 오른다. 연극 <인간탈피>는 인간성을 상실한 이들이 인간으로 남고 인간성을 지켜낸 자들이 개구리가 되는, 역설적이고 기묘한 세계를 ‘변신 동기’로 그려낸다. 인간을 인간이게끔 하는 본질은 무엇인가. 그것을 잃어버렸을 때 우리는 어떤 비극과 마주하게 되는가. 모티브는 섬뜩한 알레고리를 통해 우리 사회에 질문을 던진다. 당신은 개구리가 될 것인가, 인간으로 남을 것인가. 질문과 대답 모두 우리 시대의 우화이자 은유이며 실재다. 룽연진은 유정 역에 박혜림, 재희 역에 조새연, 오빠 역에 황인덕, 엄마 역에 안꽃님, 아빠 역에 임형택, 사장 역에 오현우, 팀장 역에 정빈, 주민센터 직원 역에 강우정, 민원인 역에 양해광, 후배 역에 조성준, 개구리 역에 민정은ㆍ조수인이 무대에 오른다. 제작진은 작에 지강숙, 연출에 남동훈, 음악감독에 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