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양승국 변호사] 지난해 봄 창간호에 이어 지난해 10월 30일 《서애연구》 2권이 나왔습니다. 이번에도 서애의 후손인 고교 친구 벽하가 2권을 보내왔습니다. 벽하 덕분에 서애 선생에 대해 많이 공부하게 됩니다. 2권의 첫글은 창간호와 마찬가지로 서애학회 회장인 송복 교수의 논문입니다. 이번 논문의 제목은 <류성용의 중용 리더십>입니다. 송교수님은 서애 일생을 한 글자로 표현하면 단연코 성(誠)이라고 하면서, 이를 박학지(博學之), 심문지(審問之), 신사지(愼思之), 명변지(明辯之), 독행지(篤行之)로 풀이해나갑니다. 이 가운데서 ‘박학지’를 읽으면서 생각나는 것이 있습니다. ‘박학지’란 널리 읽고 넓게 배우는 것을 말하는 것이지요. 조선은 성리학 외에 다른 학문은 인정하지 않았고, 특히 주희의 학설만 오로지 숭상하였습니다. 그렇기에 주희의 학설에 이설을 다는 선비는 사문난적(斯文亂賊, 교리를 어지럽히고 사상에 어긋나는 언행을 하는 사람)이라는 맹비난을 면치 못하였고, 박세당은 이 때문에 유배까지 갔습니다. 그런데 송 교수는 정상적인 학문을 하려면 성리학뿐만 아니라 다른 학문도 널리 넓게 두루 섭렵해야 한다는 것이 <중용>의
[우리문화신문=양승국 변호사] 可憐行色可憐身 가련행색가련신 可憐門前訪可憐 가련문전방가련 可憐此意傳可憐 가련차의전가련 可憐能知可憐心 가련능지가련심 가련한 행색의 가련한 몸이 가련의 문 앞에 가련을 찾아왔네. 가련한 이 내 뜻을 가련에게 전하면 가련도 능히 가련한 이 마음 알아주겠지. 방랑시인 김삿갓이 가련이라는 기생에게 쓴 가련기시(可憐妓詩)라는 시입니다. ‘가련(可憐)’이라는 기생 이름에 빗대기 위하여 연마다 ‘가련(可憐)’을 넣어 시를 지었네요. 역시 김삿갓다운 시입니다. 김삿갓은 함경도를 방랑하다가 함흥에서 가련이라는 기생을 만나 3년간 걸음을 멈추고 아늑한 시간을 보냅니다. 한곳에 머무르지 못하고 길위에서 떠돌던 김삿갓이 어떻게 한곳에서 3년을 보낼 수 있었을까요? 그만큼 가련이 김삿갓을 휘어잡았나요? 그런 점도 있겠지만 김삿갓이 가련을 만나기 전에 두 번이나 다른 사람으로부터 가련의 얘기를 들으면서 어떤 인연을 느낀 점도 작용하였을 것 같습니다. 첫 번째는 금강산 불영암 암자에서 공허스님을 만났을 때입니다. 시로서 김삿갓과 의기투합하여 서로의 시세계를 논하며 시간 가는 줄 몰랐던 공허는 떠나는 김삿갓에게 함흥에 가거든 가련이라는 기생을 만나보라고 하였
[우리문화신문=양승국 변호사] 김화 정진국 시인의 시집 《가을엽서》가 어느 날 저에게 배달되었습니다. 제가 시집 선물을 많이 받아봤지만, 정진국 시인은 그동안 저에게 시집을 선물한 시인과는 또 다른 분입니다. 정 시인은 예비역 준장입니다. 육군3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오랫동안 군문에 있었지요. ‘장군과 시인’이라는 조합이 어딘가 어색한 느낌을 준다는 사람도 있을 것 같습니다. 아니면 무인이 시를 쓴다고 하니 언뜻 호탕하고 나라를 생각하는 우국충정의 시가 연상되기도 할 테고요. 그러나 정 시인의 시는 그런 시와는 좀 거리가 있습니다. 정 시인의 시를 감상하면서 저에게 떠오르는 단어는 ‘풍경시인’입니다. 정 시인은 주위에서 만나는 풍경을, 특히 숲의 풍경을 시로 많이 남겼습니다. 시인의 말을 들어보지요. 어렵고 힘들 때마다 십여 년간 함께 걸어온 숲은 나의 진정한 친구요. 보금자리였음을 인정합니다. 아름다운 숲은 나에게 상큼한 새벽을 열어주기도 하였고, 칠흑 같은 밤길에 등불처럼 노래를 들려주기도 하였습니다. 이제 지나온 결실을 잘 거두어 새로운 씨앗을 자연에 한 톨 한 톨 심어가는 참된 시인이 될 것입니다. 다시 다가올 가을을 위해... 정 시인은 군문을 떠난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