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양승국 변호사] 창빈 안씨 무덤을 얘기하자니 창빈 안씨의 아들인 덕흥대원군의 무덤도 생각이 납니다. 덕흥대원군의 무덤은 경기도 기념물 제55호로 상계동에서 덕릉고개를 넘어 남양주시 별내동으로 내려가다가 왼편에 있습니다. 고개 이름은 고개 근처에 덕릉이 있다고 하여 덕릉고개라고 합니다. 고개 밑에 3호선 종점인 당고개역이 있으니까, 이를 당고개로 오해하는 사람도 있는데, 당고개는 당고개역이 있는 마을에서 수락산역쪽으로 넘어가던 고개를 말합니다. 당집이 많아서 당고개라고 한 것이지요. ‘덕릉’이라고 하면 왕릉을 말하는 것 아니겠습니까? 그러나 근처에 ‘덕릉’이라는 왕릉은 없습니다. 덕릉은 덕흥대원군의 무덤을 말합니다. 그런데 ‘릉’이라는 이름은 임금과 왕비의 무덤에만 붙일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면 덕릉은 정식 이름은 아닐 것인데, 어떻게 하여 덕흥대원군의 무덤을 덕릉(德陵)이라고 부르고, 또 고개 이름에 ‘덕릉고개’라는 이름이 붙었을까요? 여기에는 재미있는 야담이 스며있습니다. 추존왕이라고 있지 않습니까? 생전에 임금이 되지는 못했지만, 아들이 임금이 되는 바람에 사후에 임금으로 추존되면 추존왕이라고 하지요. 이를테면 성종의 아버지 덕종, 인조의
[우리문화신문=양승국 변호사] 우리나라 사람치고 동작동 국립묘지를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처음에는 6.25 전쟁 때 전몰한 국군장병들을 한 곳에 안장하기 위하여 1955년에 국군묘지로 설치되었지요. 그러다가 1965년 국립묘지로 격을 높이면서 독립유공자, 순직 경찰관, 대통령 등도 이곳에 묻혔습니다. 그러니까 대한민국을 위해 공이 큰 사람들이 묻혀 있는 곳이지요. 그런데 이곳에 이런 것과는 성격이 전혀 다른 무덤이 있습니다. 바로 중종의 후궁 창빈 안씨의 무덤도 이곳에 있습니다. 그러면 언뜻 “왜 창빈 안씨의 무덤도 이곳에 모셨지?” 하는 생각이 들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건 아닙니다. 원래 창빈안씨의 무덤이 먼저 이곳에 있었습니다. 처음 이곳에 국립묘지를 설치하던 당국자는 국립묘지와 상관없는 창빈안씨의 무덤을 다른 곳으로 쫓아내고픈 생각을 하였을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렇지만 어떻게 오랜 세월 이곳에 먼저 터를 잡고 있던 임금의 후궁을 쫓아낼 수 있겠습니까? 더구나 창빈 안씨는 중종의 후궁일 뿐만 아니라 선조의 할머니이기도 합니다. 곧 1567년 명종이 자식이 없이 죽자 후계 왕의 결정권을 쥐고 있던 명종비 인순왕후는 창빈 안씨의 손자인 하성군을 임금으
[우리문화신문=양승국 변호사] 얼마 전에 사무실로 여성잡지 《노블레스(Noblesse)》가 배달됐습니다. “어? 잘못 배달된 것 아닌가?” 제가 평소에 여성잡지를 보는 일이 없거든요. 미용실에서 머리 깎으며 가끔 여성잡지를 뒤적이는 일 외에는... 그래서 발신인란을 보니 ‘윤경식’이라고 쓰여 있습니다. 윤경식 씨는 저와 같은 이비엠(EBM) 포럼회원인 건축가입니다. 포럼의 등산셀인 <이산저산>의 등산대장을 맡고 있어, 평소 ‘윤 대장’이라고 부르지요. 그래서 앞으로 윤 대장이라 부르겠습니다. “그런데 윤 대장이 왠 여성잡지를 나에게?” 갸우뚱하면서 포스트잇 인덱스로 표시해놓은 쪽을 펼치니 금방 의문이 풀렸습니다. 바로 윤 대장이 전남 함평에 철학자 최진석 교수를 위해 지은 호접몽가(蝴蝶夢家)에 관한 기사가 실렸더군요. 함평이 고향인 최 교수가 고향집 마당에 ‘새말 새몸짓 기본학교’ 강의동을 지으려고 하였습니다. 그리하여 누구에게 건축을 의뢰할까 하다가, 평소 건축에 철학적 사유를 덧입히던 윤 대장이 생각나서 윤 대장에게 부탁을 한 것이지요. 최 교수는 우리 사회가 이젠 뭔가 새로운 철학,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할 때라 봅니다. 지금 우리 사회가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