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정용재)은 박물관 지하 1층 <궁중서화> 상설전시실의 새 단장을 끝내고, 11월 11일부터 보존처리 뒤 처음 공개하는 <일월오봉도 병풍>과 <강남춘의도 병풍>을 비롯해, 태조의 어필각석, 선조의 어필현판, 헌종이 수집했던 인장 등 조선왕실의 품격 높은 그림과 글씨를 감상할 수 있는 새로운 소장품과 미디어 콘텐츠를 선보인다. * 어필각석, 현판: 임금의 친필(어필)과 글을 단단한 돌에 새긴 것(각석)과 문 위나 벽에 거는 널조각으로 제작한 것(현판) 조선시대 궁궐에는 공간의 성격과 사용하는 사람의 위상에 따라 다양한 그림이 장식되었다. 임금의 권위와 존엄을 상징하는 <일월오봉도(日月五峰圖)>는 해와 달, 다섯 개의 산봉우리, 소나무, 파도치는 물을 묘사한 그림으로, 왕의 집무 공간을 비롯해 행차하는 장소마다 놓였다. 이번에 공개하는 <일월오봉도 병풍>은 창덕궁 인정전을 장식했던 것으로, 지난 2016년부터 2021년까지 6년 동안 국립문화유산연구원 문화유산보존과학센터에서 보존처리를 마친 뒤 처음 관람객을 만난다. 조선시대에는 궁궐 정전(正殿)에 대형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국립해양유산연구소(소장 이은석)는 태안 마도 해역에서 올해 4월부터 현존 유일의 조선시대 선박인 마도4호선의 선체 인양을 시작해 지난달 작업을 마쳤으며, 추가로 새로운 난파선이 묻혀있는 징후도 확인하였다. 태안 마도4호선은 2015년 수중에서 발견된 조선시대 조운선으로, 역사 속 기록으로만 전해지던 세곡 운반선의 실체를 드러낸 귀중한 수중유산이다. ‘나주광흥창(羅州廣興倉)’이라 새겨진 목간 60여 점을 비롯해 공납용 분청사기 150여 점 가운데 ‘내섬(內贍)’이라는 글씨가 확인되어 이 배가 전라도 나주에서 거둬들인 세곡과 공물을 싣고 한양 광흥창으로 향하던 중 난파되었음을 보여준다. 선박 안에서 발굴된 분청사기는 15세기 전반에 제작되었으며, 배의 방사성탄소연대 측정 결과(1410~1433년)를 토대로 1420년무렵에 침몰한 조선 전기 세곡선으로 밝혀졌다. * 광흥창: 관료의 녹봉을 관리하던 관청(현 서울 마포구 일대) * 내섬: 조선시대 궁궐 공물과 외빈 접대용품을 관리하던 관청인 ‘내섬시(內贍寺)’를 말함. 2015년 발굴한 뒤 보호를 위해 다시 바닷속에 매몰해 두었던 선체를 발굴 10돌을 맞은 올해 침몰 600여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2025 돈화문 야광명월 II : 한국의 탈, 웃음과 신명이 깃든 얼굴 전(展)’을 연다. ‘탈’은 인류의 역사만큼 오랜 전통을 지니고 있으며, 고려와 조선 후기부터 오늘날까지 이어져 내려오는 우리의 삶과 신앙, 해학을 담아왔다. 이번 공연은 이러한 탈의 상징적 의미와 예술적 기능을 현대적인 전시ㆍ공연ㆍ체험으로 재구성해 시민들이 쉽고 흥미롭게 전통문화를 경험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11월 21일에는 현대의 새로운 전통을 만들어가는 창작연희 단체인 연희놀이터 ‘The 놀자’가 출연해 탈놀이 ‘난장 ‘탈’ 판’을 선보인다. 이번 공연은 전통 탈춤의 대표 장면인 봉산탈춤의 ‘미얄할미 영감춤’, 고성오광대의 ‘말뚝이춤’, 그리고 북청사자놀음의 ‘사자춤’을 남사당놀이의 다섯번째 놀이인 덧뵈기 탈춤 이야기 형식으로 엮어 구성한 작품이다. 조선시대 양반 사회를 풍자하고 서민들의 삶을 유쾌하게 그려낸 전통 탈춤의 장면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해 풍자와 해학, 신명과 흥이 어우러진 탈놀이의 본질을 국악마당에서 생생하게 펼쳐낼 예정이다. 공연 기간 서울돈화문국악당 국악마당과 스튜디오에서는 탈 전시와 체험 프로그램도 함께 운영된다. 11월 15일부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익산박물관(관장 김울림)은 오는 11월 15일(토) 맙 2시, 전통 판소리 <춘향가>의 주요 장면을 현대적인 음악적 감각으로 재구성한 특별 공연을 연다. 이번 공연은 지난 10월 첫 번째 공연에 이어 ‘K-판(PAN), K-팝(POP)!' 시리즈의 두 번째 이야기로, 전통 판소리의 감동을 현대 K-POP의 음악적 표현으로 풀어내며 더욱 깊이 있는 무대를 선보일 예정이다. 첫 공연에 이어, 이번 공연에서도 김정배 교수(원광대학교 문예창작학과)가 해설자로 참여하여, 판소리 <춘향가>의 이야기와 감정을 더욱 깊이 있게 전달할 예정이다. 출연진은 소리꾼 박가빈 명창과 고수 신동선이 전통의 울림을 이어가며, 인문밴드 레이(기타 이상욱, 바이올린 신이나ㆍ송동준, 첼로 김주빈, 해금 심재린)와 객원거수 소프라노 박서정이 함께한다. 이들은 고전 판소리의 서사를 현대적 감각으로 재구성하며, 전통과 현대를 넘나드는 감동적인 무대를 선보인다. 국립익산박물관 관계자는 “지난 10월 첫 번째 공연에 이어, 이번 공연도 전통 판소리의 감동을 K-POP의 음악적 표현으로 더욱 깊이 있게 확장한 무대다. <춘향가>의 서사를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높고 파란 하늘을 올려다볼 때, 아주 엷고 하얀 구름 조각들이 하늘 가득 촘촘히 깔린 모습을 보신 적 있으신가요? 마치 잔잔한 바다 위로 윤슬이 반짝이는 것 같기도 하고, 수많은 물고기 떼가 헤엄치고 지나간 뒤 남은 '비늘' 자국 같기도 한데요.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이처럼 높고 맑은 하늘을 아름답게 만드는 구름, '비늘구름'입니다. '비늘구름'은 그 이름 그대로 물고기의 '비늘'을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참 고운 이름입니다. 하얗고 작은 구름 조각들이 겹겹이, 그리고 촘촘히 모여 있는 모습이 꼭 그와 같아 보였던 것이지요. 말집(사전)에서는 이 구름을 다음과 같이 풀이하고 있습니다. 높은 하늘에 그늘이 없는 희고 작은 구름 덩이가 촘촘히 흩어져 나타나는 구름. 높이 5~13km 사이에 나타난다. 구름을 통하여 해나 달의 위치를 알 수 있을 만큼 엷다. 《표준국어대사전》 높이 5~13킬로미터 사이에 분포하고, 미세한 얼음의 결정으로 이루어진 구름. 높은 하늘에 그늘이 없는 희고 작은 구름 덩이가 촘촘히 흩어져 나타난다. 구름을 통하여 해나 달의 위치를 알 수 있을 만큼 엷다. 《고려대한국어대사전》 두 풀이를 모아보면,
[우리문화신문=우지원 기자] 사람에게 인품이 있는 것처럼, 말에는 언품이 있다. 인품이 좋은 사람은 말도 크게 품격이 떨어지지 않는다. 달변은 아닐지언정, 품격 없는 언어로 물의를 일으키는 일은 드물다. 지도자는 자신의 말이 파급력이 더 크기에 더욱 말을 조심해야 한다. 자신의 말 한마디로 누군가에게 큰 상처를 줄 수 있고, 그 말이 일파만파 퍼져 공동체 전체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까닭이다. 대통령의 연설문 작성자로도 일한 이력이 있는 지은이 이기주가 쓴 《언품》은, 자기 말이 얼마나 품격이 있는지 한 번쯤 돌아보고 싶은 이들에게 유용한 지침서다. 역사에서 풍부한 사례를 인용하고 사례마다 생각해 볼 지점을 짚으며 독자를 말의 세계로 이끈다. 많은 사례 가운데 특별히 눈길을 끄는 것은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운주당’이다. 당시에는 관료 상당수가 개인 서재를 가지고 있었고, 문관이나 무관이나 서재에서 독서하며 웅대한 기상을 품고 원대한 꿈을 설계했다. 충무공도 개인 서재가 있었으니, 바로 한산도에 머무는 동안 이용했던 ‘운주당(運籌堂)’이다. 운주당은 독서 공간 겸 개인 집무실로 복합문화공간 역할을 하면서, 중간급 간부들과 계급이 낮은 병사들의 의견을 자유로
[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우리는 모두 초대권 없이 지구에 온 방문객일 뿐입니다. 인간이 지구라는 행성에 살고 있지만 46억 년 지구의 역사를 볼 때 지구의 원주민이 아니라는 엄연한 사실이지요. 인간은 마치 지구라는 거대한 호텔에 잠시 머무르는 손님과 같습니다. 모든 생명이 유한성을 벗어날 수 없듯이 우린 언젠가는 지구를 떠나야 합니다. 잠시 빌려 쓰는 지구를 소중히 다루어야 할 책임이 우리에게 있는 것이지요. 인간이 만물의 영장이라고 하고 지구를 정복한 것 같지만 실은 지구는 우리 것이 아닙니다. 마치 도서관에서 책을 빌려 읽듯이, 우리는 지구라는 책을 빌려 삶이라는 이야기를 쓰고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책을 빌려 왔다면 언젠가는 반납해야 하듯이, 우리도 언젠가는 후세에 지구를 반납해야 합니다. 모든 생명은 유한합니다. 꽃이 피고 지듯이, 우리의 삶도 시작과 끝이 있습니다. 그렇기에 우리는 더욱더 소중한 시간을 살아야 합니다. 우리가 지구에 머무는 동안 무엇을 하고 어떻게 살아야 할까요? 후대에 아름다운 지구를 물려주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우리는 지구를 소중히 여겨야 합니다. 지구는 우리의 유일한 보금자리입니다. 우리가 버린 쓰레기는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성을 쌓는 데에 든 비용이 거의 80만에 가까운데, 소중한 역사를 조금이라도 구차하게 하고 싶지 않은 것이 나의 본래 생각이었다. 이 책을 간행하여 모든 사람들로 하여금 성의 공사에 관한 본말을 분명히 알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는 《정조실록》 45권, 정조 20년(1796년) 11월 9일 기록으로 《화성성역의궤(華城城役儀軌)》을 펴냈음을 날리고 있습니다. 《화성성역의궤》는 조선시대 화성유수부 시가지를 둘러싼 성곽 ‘화성(華城)’을 쌓은 경위와 제도ㆍ의식을 기록한 책입니다. 정조 18년(1794) 1월부터 정조 20년(1796) 8월에 걸쳐 쌓은 화성성곽은 큰 토목건축 공사로서 많은 경비와 기술이 필요하였으므로, 그 공사 내용에 관한 자세한 기록을 남겨야 하겠다는 뜻에서 정조가 김종수(金鍾秀)에게 명을 내려, 1796년 9월에 시작하여 그해 11월 9일에 원고가 완성되었고 1801년(순조 1) 9월에 인쇄하였습니다. 화성성곽은 정조가 그의 아버지인 장헌세자의 무덤을 1789년(정조 13) 10월 화산(花山: 지금의 융건릉)으로 이장한 뒤 3년에 걸쳐 쌓은 곳으로, 전체 길이 5.4km가량의 조선시대 축성기술이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오는 11월 14일부터 11월 15일까지 서울시 종로구 창덕궁길 73 ‘노무현시민센터’ 다목적홀 가치하다에서 제주성주풀이 <새집 지어 오람구나> 공연이 열린다. <새집 지어 오람구나>는 제주굿 문전본풀이와 제주성주풀이 굿놀이를 중심으로 창작된 공연이다. 신화속에 등장하는 다양한 인물들이 만들어가는 서사가 우리나라의 전통연희와 제주도 무속의 연희적 요소와 함께 어우러져 다채로운 실험을 담고 있는 작품이다. 새집을 짓는다는 의미는 새로운 가치관과 새로운 삶을 담아낼 새로운 공간을 짓고, 나와 우리의 의미를 다시 세운다는 뜻을 담고 있다. 공연 시각은 14일(금)은 저녁 7시, 15일(토)은 낮 2시와 저녁 7시다. 입장료는 전석 20,000원이며, 공연에 관한 문의는 전회(064-756-0105)로 하면 된다.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오는 11월 16일 저녁 4시 서울시 종로구 창경궁로 35길 29. ‘JCC 아트센터 콘서트홀’에서는 <최현영 하프시코드 독주회>가 열린다. 하프시코드(harpsichord, 포르테피아노)는 피아노의 전신인 건반악기인데 독일어에서는 쳄발로(Cembalo)로 부르며, 16세기부터 18세기에 걸쳐 가장 번성한 건반악기다. 모양은 현재의 그랜드 피아노를 닮았지만, 피아노는 해머로 현을 치는 데 반해 쳄발로는 픽(플렉트럼)으로 현을 탄다. 픽은 새의 깃대(羽軸)라든가 또는 굳은 가죽조각으로 되어 있다. 하프시코드 연주자 최현영은 프랑스 바로크 음악의 우아한 위엄에 매료되어 20세에 프랑스로 떠나 파리국립고등음악원에서 학사, 석사 학위를 받았다. 유럽 각지에서 초청 독주회, 협연, 오페라 코치 등 다양한 음악활동을 경험한 뒤 귀국하여 관객들 가까이에서 호흡하며 렉쳐 콘서트, 독주회, 실내악 등 여러 장르에서 활발하게 연주활동을 펼치고 있다. 또한 이화여대에서 하프시코드를 가르친다. 이번 독주회에서 최현영은 <음악 안의 초상들>(Portraits en musique) 이라는 부제를 통해 프랑스 바로크 후기 (17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