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경제=이주영 기자] 최근 국립극장은 2013~2014 국립레퍼토리시즌 간담회를 가졌다. 시즌2라고 할 수 있다. 시즌1(2013~2014)은 2012년 9월 5일부터 2013년 6월 29일까지이었다. 국립극장 개관 후 60여년의 역사에 처음으로 대장정을 마친 것이다. 지난 해 시작 당시 우려 반, 기대 반 속에 진행되었다. 하지만 도입 이후, 전년도 대비 국립극장 3개 전속단체의 시즌 관람객 수가 299% 이상이 증가하였고, 작품 수가 평균 2배 이상 증가하는 성과를 이루었다. 아울러 언론보도 건수도 전년도 대비 300% 이상 증가를 보인 바 있다. 국립극장의 전속단체를 중심으로 독립한 국립예술단체들의 협업이 결실을 보인 것이다. 이러한 성과를 토대로 시즌2의 돛이 올랐다. 2013년 8월 14일부터 2014년 6월 28일까지 319일간 7개 국립예술단체 작품 63편이 관객을 만날 채비를 하고 있다. 63편 중 레퍼토리는 14편, 신작은 13편, 상설공연은 36편이다. 이번 시즌에 발표하는 신작의 수는 이전 시즌과 같고, 레퍼토리의 수는 2편 늘었다. 국립극장은 전통예술을 근간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대표 복합문화공간이다. 단순히 전통 공연예술을 공연하
[그린 경제=이주영 기자]국립창극단은 5월 22일부터 시작될 창극 메디아를 위한 준비가 한창이다. 그리스 3대 비극작가인 에우리피데스의 원작을 서재형(연출), 한아름(극본)의 부부 콤비가 어떻게 현대적 관점으로 풀어낼지 공연계는 벌써부터 주목하고 있다. 최근 국립창극단의 매 작품의 변화가 주목을 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지난 해 11월 한태숙 연출의 스릴러 창극인 장화홍련은 우리의 고전 장화홍련전을 연극적 요소를 증폭시켜 현대적인 접근을 시도하며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어진 12월에는 이병훈 연출의 창극 배비장전을 통해 음악적 형식은 판소리 원형을 그대로 살리되 원작의 해학과 골계미는 현대인의 감성에 맞게 재 각색하여 보다 대중적이고 재미있는 창극을 만들어 내었다. 올 3월 윤호진 연출의 창극 서편제에서는 원소스 멀티유즈(One Source Multi Use)를 통해 전통문화콘텐츠의 변주와 확장을 보여 준 점은 큰 의미를 지닌다. ▲ 국립창극단 청 공연 한 장면 이러한 성과를 이룩할 수 있는 토대의 그 단초를 마련한 것은 단연 국립창극단 제11대 예술감독이었던 유영대 고려대 교수였다. 그는 우리시대의 창극 시리즈'라는 뚜렷한 명제를 가지고, 창극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