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135년 전인 1886년 1월 25일 <한성순보(漢城旬)報>의 복간형식으로 박문국(博文局)에서 우리나라 첫 주간신문인 <한성주보(漢城周報)>가 창간되었습니다. 이 신문은 창간사에서 밝히고 있듯이, 임금에게 충성하고 백성을 깨닫게 하는 것을 최대의 사명으로 삼았는데 1884년 4월 19일 김윤식(金允植)이 통리아문독판(統理衙門督辦, 조선 말기 외교 사무를 맡아보던 관아의 으뜸 벼슬)에 임명되면서 발간작업이 추진되었지요. 편집체재는 1단제로서 1면 16행, 1행 40자, 1호 16면 또는 18면씩 발행되었는데 규격은 세로 22.5㎝, 가로 16.5㎝였습니다. 특히 <한성순보>가 한자만을 쓴 데 반하여 이 신문은 최초로 국한문을 섞어 썼고, 내용에 따라 순한글 또는 순한문만을 쓰기도 하였습니다. 따라서 한문을 모르는 사람들도 일부라도 읽을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국민계몽에 한 발짝 내디뎠다는 것으로 평가를 받지요. 주보는 제4호인 1886년 2월 22일 자부터는 상업광고를 실었는데 독일인 상인 에드바르트 마이어의 세창양행이 광고주로 등장한 이 광고는 한국 최초의 근대적 광고로 알려져 있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50년 전인 1971년 1월 22일 집권 8년 차에 접어들었던 박정희 정권은 부처별 지시사항을 발표했습니다. 50여 개에 달하는 이 지시사항은 경제성장과 국민생활 개선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었지만, 실제로 그 속에는 장기집권에 필요한 국민 감시 규제들이 고스란히 녹아 있었지요. 특히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해 문화 전반에 걸쳐 검열을 주도했는데 박정희는 당시 문화공보부 장관에게 “히피 머리형의 장발족은 국영뿐 아니라 민간 텔레비전 방송에도 절대 출연하지 못하게 하라”고 직접 지시했을 정도였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경찰은 길거리에서 히피 머리형의 장발족에 대한 일제 단속을 벌였고, 시민을 마구잡이로 연행해 머리를 깎은 뒤 집으로 돌려보기까지 했지요. 이에 대해 당시 문화공보부 장관은 “장발 추악한 작폐 등은 사회윤리와 법질서를 문란 시키고 있으며, 특히 청소년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끼쳐 건전한 국민정신을 해치고 있다”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박정희는 아울러 신문ㆍ방송ㆍ영화ㆍ음악ㆍ도서 등 문화 전반에 걸쳐 검열을 강화하도록 하는 ‘자율 규제 강화 방안’을 지시하기까지 합니다. 이후 예술과 국민의 의사 표현에 대한 자유는…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강화군 교동도 읍내리에 가면 교동향교 옆에 비석(碑石) 40개가 모여 있는 <읍내리 비석군>이 있습니다. 이 비석들은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ㆍ도호부사(都護府使)ㆍ삼도수군통어사(三道水軍統禦使)ㆍ부사 등을 지낸 사람들의 영세불망비(永世不忘碑, 후세 사람들이 잊지 않도록 기록하여 세우는 비석)를 한곳에 모아놓은 것입니다. 원래는 읍내리 교동양조장 부근 비석거리에 있던 것들인데 1991년에 이곳으로 옮겨 온 것입니다. 이 가운데 눈에 띄는 것은 암행어사, 사헌부대사헌, 이조참판, 공조판서, 경기도관찰사 등을 지낸 박영보(朴永輔)의 ‘휼민선정비’도 있습니다. 실제 어떤 선정비는 벼슬아치들의 압력에 의해 어쩔 수 없이 세워진 것들이 많다고 합니다만 이 박영보는 조선왕조실록에 54번이나 등장하는데 그 가운데는 굶주리는 백성을 구제하는 것과 관련된 내용이 많을 정도로 대단한 사람입니다. 심지어 그는 경기감사로 있을 때 부하 벼슬아치가 잘못하자 이에 상관으로서 책임이 있다며, 자신을 규탄하는 상소를 올리기도 한 것은 물론 대사헌일 때 임금에게 언로(言路)를 열어 충언을 듣고 검소한 삶을 살아 백성을 사랑할 것을 간언한…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오늘은 24절기 가운데 마지막인 대한(大寒)입니다. 이름으로 보아서는 가장 추운 날이지만 “춥지 않은 소한 없고 포근하지 않은 대한 없다.”, “대한이 소한 집에 가서 얼어 죽었다.”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소한 무렵이 대한 때보다 훨씬 추울 때가 많습니다. 제주도에서는 이사나 집수리 따위의 집안 손질은 언제나 “신구간(新舊間)”에 하지요. 신구간은 대한 뒤 5일에서 입춘 전 3일 동안을 말하는 것인데 이때 모든 신이 염라대왕에게 새로운 임무를 부여받기 위해 자리를 비우기 때문에 어떤 일을 하여도 탈이 없다고 믿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때에는 이사하는 것은 물론 부엌, 문, 변소, 외양간 고치기, 울타리 돌담고치기, 묘소 고쳐 쌓기 등 다양하지요. 소한부터 대한까지는 한해에 가장 추울 때인데 예전엔 세수하고 잡은 방문 고리에 손가락이 "쩍쩍" 달라붙었습니다. 또 눈 덮여 황량한 겨울 들판엔 칼바람 추위 속에 먹거리도 부족하니 사람도 뭇 짐승도 배곯고 움츠리기는 마찬가지였지요. 그러나 이 만물이 얼어붙어 죽은 듯한 땅에도 저 멀리 봄소식은 오고야 맙니다. 소설가 김영현은 그의 작품집 《깊은 강은 멀리 흐른다》에서 "도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명승이 널려 있는 제주도 한라산의 남서쪽 표고 1,500∼1,700m에 펼쳐진 완만한 초원지대인 선작지왓도 명승 제91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털진달래, 산철쭉을 비롯한 키가 작은 떨기나무(관목)류가 널리 분포하며, 4월부터 6월까지 털진달래의 연분홍색과 산철쭉의 진분홍색으로 온 지역을 뒤덮어 산상 화원의 경이로운 장관을 연출합니다. 또 겨울엔 눈 덮인 설원의 한라산 정상과 어우러진 경관은 선경(仙景)을 만들어 자연경관 값어치가 뛰어나지요. 선작지왓은 한라산 고원의 초원지대 가운데 영실기암 윗부분에서 윗세오름과 방애오름에 이르는 곳에 있는 평원지대입니다. 선작지왓에서 ‘작지’는 조금 작은 바위나 돌을, ‘왓’은 벌판을 가리키는 제주말이어서 돌들이 널려 있는 벌판이라는 뜻을 지녔습니다. 또는 ‘선’에 ‘서 있다’라는 뜻이 있는 것을 보면 선작지왓은 바위들이 서 있는 넓은 벌판을 가리키는데, 실제로 이곳에는 탑궤를 비롯하여 높이가 7∼10m에 달하는 큰 바윗돌 무리가 10여 곳에 분포하고 있지요. 이곳에는 산철쭉, 털진달래, 눈향나무, 시로미의 군락이 넓게 발달해 있고 누운오름 아래는 연중 물이 흐르는 노루샘이 있지요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조선시대 때 주로 유행했던 백자 가운데 병(甁)은 기본적으로 술병입니다. 그리고 술병 가운데 제사를 지내는 데 쓴 제주병(祭酒甁)은 대부분 순백자였지만 잔치용 술병에는 갖가지 무늬를 그려 넣었습니다. 아무래도 그래야 술맛이 났던 모양입니다. 술병에 그리는 그림으로는 부귀를 상징하는 모란꽃과 십장생, 매화와 난초가 많았지요. 그림 대신 목숨 ‘수(壽)’, 복 ‘복(福)’, 술 ‘주(酒)’ 자처럼 글자 한 자만 쓴 것들도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 기발하게도 병목에 질끈 동여맨 끈을 무늬로 그려 넣은 보물 제1060호 “백자철화끈무늬병[白瓷鐵畵繩文甁]”도 있지요. 이는 옛날 술병을 사용할 때 병목에 끈을 동여매 걸어놓곤 했던 것을 무늬로 표현한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 병을 빚은 도공은 술을 마시다 남으면 술병을 허리춤에 차고 가라는 뜻으로 그림을 그려 넣었을지도 모릅니다. 그야말로 허를 찌르는 도공의 기가 막힌 상상력 그리고 익살과 여유가 살아있는 명작입니다. 힘 있게 하나의 선을 대담하게 그어 여백의 미를 표현했을뿐더러 인공적이면서도 가장 절제된 인공을 보여주는 멋진 예술품입니다. 한 대학교에서 시험문제로 낸 것에 한국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경상남도에 가면 한국가면무극(韓國假面舞劇)의 영남형이라 할 수 있는 무형문화재 ‘오광대(五廣大)’와 ‘야유(野遊)’가 있습니다. 합천군 초계 밤마리에서 시작된 오광대는 수영ㆍ동래ㆍ부산진 같은 곳에서는 들놀음을 뜻하는 야유(野遊)라 부르고, 기타 지방에서는 모두 오광대라 부릅니다. 오광대란 이름은 오행설(五行說)의 '5(五)'를 가리키는데 진주와 마산 오광대에서는 다섯 양반을 만들어 연출하기도 하고, 진주에서는 오방각색 가면의 문둥이광대가 다섯이 등장하며, 통영과 고성의 오광대는 다섯 과장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이 가운데 고성 지방에 전승된 <고성오광대(固城五廣大)>는 국가무형문화재 제7호로 지정된 것으로 19세기 후반에 형성된 것으로 보입니다. 연희하기 7~8일 전에 고성 몰디 뒷산의 산기슭 잔디밭에서 연습하여 정월 대보름 저녁 장터에서 장작불을 피워놓고 놀았다고 하지요. 연희자들이 일심계를 조직하고 한가한 봄철에 자갈밭에 모여 밤새 오광대를 놀고 물고기를 잡아 천렵하면서 즐기기도 했다고 합니다. 본래 악사들이 피리ㆍ젓대(대금)ㆍ해금ㆍ가야금ㆍ거문고ㆍ장구ㆍ북ㆍ꽹과리 등을 연주하는 <고성오광대> 반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서울 국립민속박물관에는 보물 제1319호 <경진년대통력(庚辰年大統曆)>이 있습니다. <경진년대통력(庚辰年大統曆)>은 ‘대통력법(大統曆法)에 따라 만든 경진년(庚辰年)의 역서’라는 것으로 조선 선조 12년인 기묘년(己卯年, 1579년)에 활자본으로 펴내 이듬해인 경진년(庚辰年, 1580년)에 쓰인 역서(曆書)이며, 조선의 역서들 가운데서 가장 오래된 것입니다. 지금 서울대학교 규장각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등의 여러 국학기관과 박물관, 도서관들에는 조선의 역서들이 수백 책이 넘게 소장되어 있는데, 이들 가운데서 1580년 이전에 펴낸 역서는 이 경진년대통력이 유일하지요. 이 대통력의 크기는 길이 39.8㎝, 너비 21.7㎝로 앞뒤의 표지를 빼고 모두 15장 30쪽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조선은 원래 중국의 제후국이어서 명나라의 대통력(大統曆)을 받아서 써야 했습니다. 그러나 당시 조선은 세종 이후 명나라의 대통력과 원나라의 수시력(授時曆)을 바탕으로 한 역산서(曆算書)인 《칠정산(七政算)》을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역서를 따로 펴내 독자적으로 사용하였습니다. 따라서 <경진년대통력(庚辰年大統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廁鼠數驚社鼠疑(측서수경사서의) 측간 쥐는 자주 놀라고 사당 쥐는 의심이 많아 安身未若官倉嬉(안신미약관창희) 관아의 창고에서 편안하고 즐겁게 노는 게 으뜸이네 志須滿腹更無事(지수만복갱무사) 하지만, 배불리 먹고 또 무사하길 바라는데 地塌天傾身始危(지탑천경신시위) 땅 꺼지고 하늘 기울면 제 몸도 위태로워짐을 모르네 이는 백사 이항복(李恒福)의 한시 「삼물음(三物吟)」 곧 올빼미ㆍ쥐ㆍ매미를 노래한 것 가운데 쥐(鼠-서)에 관한 한시입니다. 백사는 뒷간에 사는 쥐는 사람 때문에 자주 놀라고, 깨끗한 사당에 사는 쥐는 의심이 많아서 역시 불안하지만, 이와 달리 관아 창고에 사는 쥐는 편하고 즐겁게 논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관아의 창고가 무너진다면 제 몸도 위태로워진다는 것을 모른다며, 백사는 따끔한 충고를 합니다. 뒷간 곧 시골에 묻혀 사는 사람이나, 사당 곧 임금 곁에서 아첨하면서 사는 사람보다는 그저 단순한 벼슬아치로 사는 것이 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런 벼슬아치 삶도 늘 조심하며 살지 않는다면 언젠가는 그곳이 무너져 함께 죽을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할 것입니다. 이 시에서는 백사 이항복의 철학이 물씬 묻어납니다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강원도 전역 강추위..향로봉 아침 최저기온 영하 29.1도”, “북극발 한파에 전국 '꽁꽁'…내일도 강추위”, “이기기 힘든 강추위에..생업도 일상도 피해”, “전국 꽁꽁 얼어붙는다…강추위에 찬바람까지” 등 요즘 뉴스는 온통 강추위로 도배되고 있습니다. 특히 강추위 속에 수도가 동파되어 큰 고통을 겪는 사람이 많다는 보도도 있었습니다. 게다가 한강은 2년 만에 꽁꽁 얼어붙었다고 호들갑을 떨기도 했지요. 그런데 1933년 1월 14일 동아일보에는 “중강진 혹한기록을 돌파, 금일 영하 44도”란 기사가 눈에 띕니다. “경성의 금13일 최저기온은 어제보다 좀 더 떨어져 영하 18도 2분을 보이고 있으며, 조선에 제일 추운 국경 중강진은 어제는 43도 여를 보이더니 금13일 아침에 이르러 44도로 뚝 떨어져 조선 최저기록인 중강진의 영하 41도 6부(1922년 1월 18일)를 돌파하기 2도 41분으로 기온 최저신기록을 지었다.” 이제 우리의 강추위는 1933년 중강진의 강추위에는 견줄 바가 아닙니다. 물론 어려운 이들에겐 코로나19의 고통 속에서 이런 강추위를 견뎌내기가 참으로 어려운 것이지만 그런 강추위에 속에서도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