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5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사진나들이

[화보] 악인을 현인으로 안성 칠장사(七長寺)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칠장사는 안성 칠현산에 자리한 아담한 절이다. 절의 역사에 따르면 본래 창건은 636년 신라시대 자장율사가 처음 터를 잡고 개창하였고 하나, 400여년 이후 고려 현종5년(1014), 칠장사의 고승으로 고려왕이 스승으로 모신 혜소국사가 칠장사를 크게 중창하였다고 한다.


그런데 절 이름이 칠장사(七長寺)인 이유는 혜소국사가 이곳에 중창불사를 하려고 하는데, 근처에 사는 힘께나 쓰는 장사(악인)들이 방해를 하였다고 한다. 이에 혜소국사((師)는 이들을 무력으로 제압하지 않고 불법으로 교화하여 악인(惡人)들을 현인(賢人)으로 만들었다고 하여 칠장사가 되었다고 한다.


칠장사의 시작은 이러하였으나, 현재까지의 역사를 되돌아보면, 이 또한 파란 만장하다 아니할 수 없다.  혜소국사 이후 크게 번창했던 칠장사는 고려 후기 1383년 왜구들의 침범을 피하고자 고려 우왕 9년 충주 개천사에 있던 고려역대실록을 깊은 내륙인 이곳으로 옮겨 보관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1389년 고려 공양왕1년 결국 왜구들의 침략이 이곳 안성까지 미치게 되어 칠장사의 모든 전각이 불타버리고 말았다. 이때 고려역대실록도 불에 타버렸다.


이후 그 자취조차 사라져버린 상태로 100여년이 흐른 후, 조선 중종1년(1506) 승려 흥정이 다시 중건하였다. 이렇게 다시 이름을 찾은 뒤. 인종1년(1623) 인목대비가 자신의 아버지인 김제남과 자신이 낳은 왕자였으나 광해군에 의해 죽임을 다한 영창대군(8세에 죽음)의 원찰로 삼게된 뒤 불사에 크게 도움을 주어 중창불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1674년 조선 현종15년에 이르러 불교의 탄압이 일상화 된 후, 권세높은 양반들이 명당으로 소문이 난 이곳에 조상묘를 쓰기 위하여 칠장사의 전각을 불태우기도 하였다. 그러나 승려 초견이 목숨을 걸고 절을 지켜 그 명맥을 이었으나 숙종 20녀(1694) 화재가 일어나 다시 시련기를 맞았고, 1700년 초기 승려 석규가 중창불사의 원력을 세워 대웅전과 태청루를 짓고, 승려 선진이 원통전을 세워 사찰의 면모를 갖추게 하였다.


현재는 일주문을 지나 가파른 언덕길을 오르면, 높직한 경내에 입구에 사천왕문이 있고, 사천왕문을 들어서면 평평한 경내에 대웅전, 원통전, 명부전, 나한전 등 전각이 갖추어져 있다. 주요 전각이 있는 경내를 끼고 왼쪽으로 비탈길을 가면 옆에는, 칠장사의 중창주 혜소국사를 모신 국사전이 있고, 이를 지나면 암행어사 박문수가 과거시험을 보기위해 걸어갔다는 길이 있으며, 그 길을 지나면 칠장사에서 배출된 고승 혜소국사의 행적을 기록한 비석과 영산전 삼성각이 있다.


역사가 길면 그 길었던 역사 동안의 수많은 사연들이 깃들 수 밖에 없는 것이 세상사이다. 한때 큰 원력을 세운 칠장사는 많은 사람들이 동참하여 커졌지만  굴곡의 세월을 맞아 쇠락의 길을 걷게 된다. 그런 만큼 시련의 세월도 길었다. 그러나  시련을 극복하고 옛 스승들의 자취를 살려내어 오늘의 칠장사에 이르른 것이다.


칠장사 경내에는 역사의 굴절로 보물들이 대부분 사라지고 말았지만, 그래도 아직 몇 점의  보물들은 남아있다. 칠장사 최고 스님으로 추앙받는 고려 초 혜소국사의 행적을 기록한 비석(보물 제488호)과 지금은 없어진 절인 안성 봉업사에 있었던 석조여래입상이 있으며, 조선 후기에 중건된 대웅전과 대웅전 안에 모셔진 석가삼존불 그리고 영산회상도 등은 칠장사를 빛내는 귀한 보물들이다. 칠장사 혜소국사비에는 임진왜란과 관련된 전설같은 이야기도 전한다.


전하는 바에 따르면 임진왜란 당시 선봉장으로 한양으로 가던 가등청정이 이 절에 들어오자, 홀연이 노승이 나타나 조선 침략을 꾸짖자 화가 난 가등청정은 자신의 큰 칼을 빼서 그 노승을 베려고 휘둘렀다고 한다.


그러나 노승은 감쪽같이 사라지고 혜소국사의 비석만이 갈라져 피를 흘렸다는 것이다. 이에 놀란 가등청정은 겁이나서 칠장사를 빠져나와 도망쳤다고 한다. 그런 이유에서인지 현재 혜소국사의 비신은 가운데가 갈라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전설과 남아있는 보물들을 뛰어 넘어 "인간은 누구나  불성을 가진 존재"라는 가르침을 설파한 석가모니 부처의 깨달음에 대하여 생각해보는 기회를 다시 갖어 보는 게 절 답사의 진정한 의미가 아닌가 싶다.

기자정보

프로필 사진
최우성 기자

최우성 (건축사.문화재수리기술자. 한겨레건축사사무소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