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7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항일독립운동

한국독립운동의 숨은 조력자 '조지 애쉬모어 피치' <3>

2018년 1월, 이달의 독립운동가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일제강점기 대한독립운동은 전 세계를 무대로 진행되었다. 그 중 해외 독립운동은 지지기반이 약하고 언어 등 제약이 있었으므로 현지인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하였다. 대한민국정부는 독립운동을 지원한 현지인들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2017년까지 56명의 외국인에게 건국훈장을 수여하였다. 조지 애쉬모어 피치(George Ashomore Fitch, 한자명 費吾生)20181월의 독립운동가로 뽑혔다. 이에 <4회>에 걸쳐 그의 독립운동 이야기를 싣는다.


  피치 일가의 한국독립운동 지원은 1930년대에 들어서도 계속되었다. 이 시기에는 필드를 대신하여 아들인 애쉬모어와 그의 부인 제랄딘이 주역이었다. 1909년 장로교 목사가 되어 중국 상하이로 돌아온 애쉬모어는 아버지 필드가 한국독립운동에 적극 참여하고 있었던 것을 계기로 한국인 독립운동가들과 친분을 맺을 수 있었다. 애쉬모어는 19232월 아버지 필드가 별세한 이후에는 대체로 중국내 YMCA활동에 전념했다. 그러나 애쉬모어는 1932년 윤봉길 의거 이후 김구 피신을 돕는 등 한국인들을 지원하면서 태평양전쟁기에는 미군을 도와 일본에 맞서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그의 부인 제랄딘은 1940년대 미국에서 활동하면서 한국인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1920년대 애쉬모어는 대체로 중국국민당 인사들과의 교류를 집중적으로 하는 면이 보이지만 간헐적으로 한국인과의 접촉이 드러난다. 그는 1923년 아버지 필드가 사망한 후인 6월 휴가를 얻어 미국으로 가면서 김마리아(金瑪利亞), 황기석, 손진실(孫眞實) 등과 함께 같은 배에 동승해 한국인과 접촉하기 시작했다. 김마리아 등과의 동행은 아버지 필드가 한인들의 미국 유학을 도왔던 것처럼 한인들의 미국 유학을 돕기 위한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애쉬모어는 상하이 YMCA에서 중국 국민당인사들과 함께 성경공부 모임을 지속하고, 상하이 로타리클럽의 창립멤버가 되는 등 중국 인사들과 교류하는 기회를 갖는다. 당시 애쉬모어가 자주 교류했던 인사들은 쑨원(孫文), 장제스(蔣介石), 장췬(張群), 궈다이치(郭泰祺) 등 중국국민당 인사들이었다. 이는 1940년대 대한민국임시정부 승인외교에 나선 한국인들이 애쉬모어를 통해 중국국민당 인사들과 접촉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특히 부인 제랄딘은 장제스의 부인 쑹메이링(宋美齡)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19324월 상하이 홍커우 공원(虹口公園)에서 발생한 윤봉길 의거로 애쉬모어는 한국인들의 독립운동을 직접적으로 지원하기 시작했다.

 

그날 저녁, 어두운 밤에 4명의 한국인들이 프랑스 조계에 있는 우리 집에 왔다. 그 중 우리가 알고 있는 한 명은 한국의 위대한 영웅이며 망명정부를 이끄는 김구였다. 김구와 같이 온 사람들은 비서인 엄항섭, 안중근의 동생 안공근, 그리고 김철이었다. 김구는 우리에게 오늘 홍커우 공원에서 일어난 사건의 주모자가 본인이라고 밝혔다. 중략김구와 3명의 동료들은 한 달 동안 우리 집의 위층 객실에서 숨어 지냈다. 김구는 절대로 외부로 외출하지 않았고, 그나마 나머지 인사들은 다른 한국인들과 접촉하기 위해 아주 가끔 택시를 이용하여 외출을 했다. 그들은 외출 할 때에도 각기 다른 택시회사를 이용하여 신중하게 행동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일본인 스파이에 의해 위치가 노출되었다. 나는 아내 제랄딘과 함께 김구 일행을 중국인으로 위장시켜 차에 태우고 상하이를 탈출시켰다.

 

애쉬모어가 기억하는 위 내용은 백범일지 에도 언급된 것이다. 윤봉길의 의거 직후 김구 일행은 프랑스 조계에 위치한 애쉬모어의 자택으로 찾아왔다. 이미 1919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이후 많은 한국인들과 안면이 있었던 애쉬모어는 잊지 않고 이들을 보호해 주었다. 애쉬모어는 한 달 동안 자택에서 김구 일행을 보호해 주었는데, 이후 일본의 수사망이 좁혀오자 이들을 중국인으로 변장시켜 상하이에서 탈출시켰다. 또한 윤봉길의 홍커우공원 의거 이후 상하이 프랑스 조계에서 한국인들에 대한 일본 경찰의 무자비한 검문과 체포를 지켜본 애쉬모어는 한국인들의 구호에 나서기 시작했다.


특히 애쉬모어는 안창호의 체포 소식을 듣고 프랑스 언론인들과 지식인들과 접촉하여 체포 과정에서의 불법성을 언급하며 석방운동에 나섰다. 애쉬모어는 프랑스계 언론사에 다음과 같은 서한을 보내기도 했다.


안창호는 잘 알려진 대로 한국에서 많은 존경을 받는 인물로 불법 체포되어 일본 당국에 인계 된지 10일이 지났습니다. 심지어 일본은 그가 홍커우 공원에서 발생한 폭탄 테러 사건과 아무 상관이 없다고 생각하지만 체포했습니다. 일본은 안창호에 대한 체포영장이 없었지만, 다른 사람의 영장으로 그를 체포하고 나중에 체포영장을 수정했습니다. 중략 안창호는 일본 당국의 손에 무한정 잡혀 있어야 하나요? 그는 주어진 권리에 따라 합법적, 공개 재판을 해야 합니다. 지금 이 시간에도 한국인에 대한 검색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습니다. 일본은 프랑스 당국으로부터 한국인 체포와 검색에 대한 위임장이 있습니까? 프랑스의 정치적 난민에 대한 태도를 보면 프랑스는 전통적인 시대(민주공화정 이전의) 다시 돌아가려고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애쉬모어는 일본 경찰의 행동에 대해 프랑스가 묵인하는 것은 프랑스혁명의 정신을 포기하고, 과거의 전통시대로 회귀하는 것이냐는 강한 비판으로 프랑스인들의 각성을 촉구하였다. 애쉬모어는 동시에 프랑스 조계의 경찰서장이었던 에티엔 피오리(Etienne Fiori)에게도 서한을 보냈다. 피오리에게 보낸 서한 역시 위의 자료와 같은 논조로 인성학교 교장 출신인 상하이교민단의 이유필(李裕弼)에 대한 압박을 중지하고, 일본 경찰의 불법 행위에 대해 프랑스 조계가 도움을 주지 않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윤봉길의 홍커우 공원 의거 이후 보인 애쉬모어의 활동은 한국독립운동이 더 이상 한국인만의 활동이 아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애쉬모어가 프랑스의 민주주의 정신을 언급하는 부분에서 드러나듯이 그는 한국에서 벌어지는 일본의 강압적인 지배를 인류 보편적 가치인 자유에 대한 억압으로 파악했다. 따라서 애쉬모어는 한국에 대한 일본의 강압적인 지배는 한 지역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인이 해결해야 할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애쉬모어의 태도와 한국 내 외국인 선교사들의 일본 식민지배에 대한 폭로는 전 세계로 하여금 일본의 강압적인 식민지배에 대해 다시금 관심을 갖게 만들었다.


1936년 일본군의 침략으로 국민당정부가 이동하자 애쉬모어는 그해 9월 난징 YMCA 총간사로 임명되어 상하이를 떠났다. 그런데 난징에 도착한지 얼마 지나지 않은 193777일 일본군은 노구교사건을 일으키며 중일전쟁을 본격화하고, 1213 국민당정부의 수도인 난징을 점령했다. 난징을 점령한 일본군은 중국의 군인, 포로, 시민을 가릴 것 없이 대량 학살극을 벌였다.


이에 애쉬모어는 난징에 있던 독일 지멘스사 난징지사장 욘 라베(John Rabe), 난징대학교의 미국인 교수 마이너 베이츠(Miner Searle Bates), 찰스 릭(Charles Riggs), 선교사 존 매기(John Magee) 등과 함께 일본군의 학살극으로부터 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해 안전지대를 설정하고, 이를 운영할 국제위원회(International Committee for the Nanking Safety Zone)를 조직했다. 애쉬모어는 국제위원회에서 활동하는 동안 난징에서 벌어진 참극을 전 세계에 널리 알려 일본군의 만행을 폭로하며 일제와 정면으로 맞서 행동하기 시작했다. 이와 함께 미국에 체류 중이던 부인 제랄딘은 한국인들의 외교활동을 지원하면서 부부가 항일투쟁에 나서게 되었다.


1941년 태평양전쟁 발발로 미국 내에서 반일여론이 득세했고, 곧 한국독립운동을 지원할 단체가 조직되기 시작했다. 또한 미국 내 거주하는 한국인들은 19414호놀룰루에서 해외한족대회를 개최하고 대미외교를 전담할 기관으로 주미외교위원부를 설치했다. 주미외교위원부의 책임자가 된 이승만은 그동안 위축되었던 구미위원부의 틀에서 벗어나 본격적인 외교활동을 전개했다. 더불어 이승만은 자신의 외교활동을 뒷받침 해 줄 한미협회와 한국기독교인친한회를 만들었다.

 

이 두 단체의 설립 목적은 한국의 독립과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승인을 얻기 위해 미국인들의 동정을 확보하는 것이었다. 애쉬모어와 부인 제랄딘은 이승만이 만든 한미협회와 한국기독교인친한회에 참가하여 적극적인 활동을 펼쳤다. 특히 미국으로 간 제랄딘은 한미협회의 후견인으로 임정의 승인외교에 주력했다. 제랄딘은 한미협회에서 한국독립의 당위성에 대한 연설을 시작으로 뉴욕타임스 에 한국의 상황을 기고하여 임정에 대한 미국사회의 관심을 가져오는데 주력했다.

 

하지만 미국 정부는 1942년 랭던(William Langdon)이 작성한 한국 독립문제의 몇 가지 측면들에 근거해 정책을 수립했다. 이 영향으로 미국은 임정을 승인하지 않기로 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미협회 회장 크롬웰(James Cromwell)은 미국무부 장관 헐(Cordell Hull)에게 서신을 보내 적극적으로 임정에 대한 승인을 요청했다. 크롬웰의 요청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랭던 문서에 기초한 대한정책에 근거해 임정 불승인 기조를 유지했고, 결국 한미협회의 활동만으로는 임정 승인 외교가 수월하게 진행될 수 없었다.

 

한미협회 인사들은 미국 정부가 임정을 승인할 움직임을 보이지 않자 이미 광복군을 승인하여 공식적인 지원을 했던 중국 국민당 정부에 도움을 요청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당시 한미협회 이사진들은 장제스에게 다음과 같은 서한을 발송했다.

 

이 서한에 서명한 사람들은 한국의 독립에 금전적 보상을 바라지 않는 순수한 시민활동을 하는 자들로, 20년 이상 한국 상황에 관심을 가진 미국 시민입니다. 우리는 지금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승인을 위해 루스벨트 대통령과 미 국무부를 설득하기 위한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중략 우리는 당신의 정부가 한국을 돕는 것은 동양에서의 전통적인 리더십을 발휘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당신의 리더십과 불굴의 용기는 민주적인 세계의 감탄을 받고 있습니다. 우리는 중국을 믿습니다. 중국은 한국의 이웃으로 평화 속에서 살고 있었습니다. 중국은 한국을 도울 수 있는 국가입니다. 많은 민주주의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중국이 한국을 돕는다면 우리 정부도 중국의 리더십에 응답할 것입니다.

 

위의 서한을 작성한 인사들은 한미협회 인사들로 감리교 목사였던 이사장 해리스(Prederick B. Harris)와 신문기자로 재무를 담당한 윌리암스(Jay J. Williams), 변호사로 법률 고문이었던 스태거스(John W. Staggers)였다. 서한에서 이들은 동아시아에서의 중국이 지니고 있었던 전통적인 역할을 상기시키며, 중국 국민당이 먼저 임정을 승인하는 모습을 보이면 연합국들도 이에 대한 응답을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들은 중국 국민당이 지난 194111월 소위 한국광복군행동9개준승(韓國光復軍行動9個準繩)’으로 광복군 활동을 규제한 것도 비판하며 중국 국민당정부의 임정 승인을 요구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임정승인 외교는 지지부진했고 임정내부에서 벌어진 정쟁은 계속 임정 승인을 미루게 만들었다. <4로 이어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