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5 (월)

  • 구름많음동두천 15.3℃
  • 구름많음강릉 14.8℃
  • 구름많음서울 15.2℃
  • 구름많음대전 16.7℃
  • 구름많음대구 15.2℃
  • 흐림울산 14.2℃
  • 구름많음광주 17.0℃
  • 흐림부산 16.6℃
  • 구름많음고창 17.1℃
  • 흐림제주 17.3℃
  • 구름많음강화 14.5℃
  • 구름많음보은 13.6℃
  • 구름많음금산 16.5℃
  • 구름많음강진군 16.5℃
  • 흐림경주시 14.7℃
  • 구름많음거제 15.5℃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문화유산

일제가 파헤친 금령총, 94년 만에 재발굴

고분 축조방식ㆍ조성과정ㆍ봉분 주변 의례와 관련한 부가시설의 유무 등 확인 예정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경주박물관(관장 유병하)은 사적 제512호 경주 대릉원 일원 내 금령총에 대한 발굴조사를 9월 3일(월)에 착수하여 9월 6일(목) 낮 4시에 고유제(개토제)를 한다. 이번 발굴조사는 조선총독부박물관 수집 자료 정리 사업의 하나로 일제강점기에 발굴된 신라 대형고분의 미진한 조사 내용을 보완하고 전체 유적 현황을 파악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조사가 마무리되면, 기존에 미 정리된 자료와 추가로 조사된 발굴자료, 일제강점기 보고 자료를 포함한 종합보고서를 펴내 특별전을 열 예정이다.

 

 

 

 

국립경주박물관은 지난 4월에서 6월까지 문화재위원회 사적분과와 매장문화재분과의 심의를 거쳐 발굴허가를 받아 발굴조사를 준비해왔다. 현장조사에 앞서 6월 21일(목)부터 6월 22일(금)까지 국립문화재연구소 디지털고고과학팀과 함께 지하물리탐사 및 자력탐사를 했다. 8월 7일(화)에는 관련 전문가들로 구성된 1차 자문회의를 열어 조사 일정과 구체적인 조사 방법 등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금령총은 인접한 식리총과 함께 1924년에 조사되었다. 당시 금관(보물 제338호), 금제허리띠, 감옥팔찌(嵌玉釧) 등의 꾸미개를 비롯하여 기마인물형토기(국보 제91호), 채화칠기, 유리용기 등 많은 유물들이 출토되었으며, 출토품 가운데 특이한 금제방울이 포함되어 있어 ‘금령총’으로 불리게 되었다. 당시 조사 내용은 1930~1931년에 보고서로 펴냈으나, 고분 축조과정과 유물의 해석, 의례 행위와 관련한 종합적이면서도 정밀한 조사보다는 훼손된 봉토와 적석부를 걷어내고 매장주체부만 노출한 뒤 다량의 부장품을 수습하는 방식으로 단 22일 만에 조사가 끝났다.

 

 

 

앞서 2015년부터 2017년까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시행한 금관총과 서봉총 재발굴조사 결과, 봉분의 정확한 규모와 축조 방식, 봉분 주변의 부가시설 등이 확인된 바 있으며, 특히 금관총에서는 ‘이사지왕(爾斯智王)’이라는 신라 고분 부장품에서 확인된 최초의 왕호(王號)가 세간을 떠들썩하게 만들기도 하였다.

 

국립경주박물관은 이번 금령총 재발굴조사에서도 선행 조사 결과에 비추어 새로운 성과를 기대하며, 특히 고분 축조방식과 조성과정, 봉분 주변 의례와 관련한 부가시설의 유무, 고분 조성 과정에서 확인되는 의례행위와 출토유물의 의미 등 유적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들을 확인함은 물론 주변에 위치한 여타 고분들과의 관계까지 파악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앞으로 조사 결과는 문화재청 신라왕경사업추진단에서 추진 중인 ‘대릉원 일원 대형고분 발굴 활용 기본계획’과 경주시에서 추진 중인 ‘신라왕경 8대 핵심유적 복원ㆍ정비 사업’과 연계하여 금령총의 정비ㆍ복원을 위한 기본 자료는 물론 신라학 연구의 세밀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