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잔치 그리고 행사

한글은 어떻게 점자가 되었나?

‘손끝으로 읽는 한글, 훈맹정음’ 강연 열린다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한글박물관(관장 박영국)은 오는 10월 12일(금) 낮 3시부터 국립한글박물관 강당에서 소장자료 연계 강연회 <손끝으로 읽는 한글, 훈맹정음>을 연다. 10월 9일 제572돌 ‘한글날’과 10월 15일 ‘흰지팡이의 날’(시각장애인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지정한 날)을 계기로 열리는 이번 강연회는 최초의 한글 점자 훈맹정음의 창제 배경과 점자의 원리에 대해서 전 국립장애인도서관장 김영일 교수(조선대 특수교육과)가 강연을 할 예정이다.

 

1926년 11월 4일 백성을 가르치는 또 하나의 바른 소리인 훈맹정음이 창제되었다. 훈맹정음 창제 이전 한국의 맹아 교육은 1898년 미국인 선교사 홀 부인이 뉴욕식 점자를 활용하여 만든 ‘조선훈맹점자’로부터 시작된다. 그러나 자모음을 풀어쓰는 조선훈맹점자는 음절단위로 끊어 읽는 우리말 체계와 잘 맞지 않아 불편함이 컸다. 이후 일제강점기에는 시각장애인까지도 한글 점자가 아닌 낯선 체계의 일본 점자를 익혀야 하는 이중고를 겪어야 했다.

 

 

일제강점기 제생원 맹아부 교사였던 박두성 선생(1888~1963)은 “앞을 보지 못하는 사람에게 모국어를 가르치지 않으면 이중의 불구가 될 터, 한국말 점자가 있어야 하는 건 두말할 필요가 없는 문제”라며 1923년 제자들과‘조선어점자연구회’를 조직하여 우리말 점자를 만들기 시작하였다. 3년 동안의 연구 끝에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에 입각하여 자음과 모음을 모아쓰고 모음은 가획의 원리를 반영한 ‘훈맹정음’이 만들어졌다.

 

박두성 선생은 “외국에는 맹인 중에 학자나 사업가 등 유명한 사람이 많다. 눈이 사람노릇을 하는 것이 아니라 영혼과 두되가 사람 구실을 하는 것이니 맹인들을 방안에 두지 말고 가르쳐야 한다.”는 말씀을 남기셨다. 박두성 선생이 창제한 훈맹정음은 현재까지도 시각장애인들의 빛이 되어 세상의 지식을 전달하는 글자로 사용되고 있다.

 

 

 

국립한글박물관에서는 10월 ‘한글날’과 ‘흰지팡이의 날’을 맞이하여 시각장애인들의 빛이 되었던 ‘훈맹정음’에 대해 다룰 예정이다. 이번 강연회에서는 우리가 잘 몰랐던 시각장애인들의 한글‘훈맹정음’의 탄생 비화와 그 창제 원리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며 또 하나의 한글을 이해하는 자리가 되길 기대한다.

 

2014년 국립한글박물관은 개관을 앞두고 박두성 선생의 딸 박정희 선생으로부터《훈맹정음》과 관련된 50여 점의 자료를 기증받은 바 있다. 기증 자료 중 <한글 점자의 유래> 초고본 원고와 《훈맹정음》은 현재 상설전시실에서 만나볼 수 있다.

 

강연회는 온라인 사전 신청을 통해 무료로 참여할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한 내용은 국립한글박물관의 누리집(www.hangeul.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