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사진나들이

[화보] 산청 단속사(斷俗寺)터 동서삼층석탑

신라 때 세운 불국사 석가탑과 비슷한 탑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단속사는 통일신라시대에 창건한 절로, 알려져 있는데, 그 창건내력은 2가지가 있다. 하나는 경덕왕 7년(748) '이순'이 창건했다는 설과 다른 하나는 경덕왕 22년(763) '신충'이 지었다는 설이다.

 

처음 창건기에 나오는 '이순'은 젊은 시절부터 불심이 깊어 부처님을 정성으로 받들었는데, 젊은 시절부터 말하기를 나이 오십이 되면 출가하여 절을 짓기로 발원하였다. 그러던 그가 50살 되는 해, 현재의 위치에는 이미 작은 암자가 있었는데, 이곳 암자에 들어와 스스로 머리를 깎고 출가하였고, 차츰 절을 크게 중창하고 단속사라고 하였다는 설이 있다.

 

또 다른 하나는 763년 당대의 충신어었던 '신충'이 지리산으로  두 친구와 유람을 왔다가 스님이 되었는데, 임금은 신충의 능력을 아껴 그를 중책에 쓰려고 두번이나 불렀는데도 나오지 않았다. 신충은 왕의 부름에 답하기를 "신은 사문이 되어 임금을 위하여 단속사를 짓고 죽을 때 까지 임금의 복을 빌겠습니다"고 하며 나오지를 않자 임금은 그제서야 그의 출가를 허락하였다고 한다.

 

현재 단속사터의 경내 한 복판에는 절터의 동서쪽으로 삼층석탑 두기가 남아 있는데, 절터의 본당(극락전 또는 대웅전)이었던 자리에는 백년 남짓 된 민가가 자리잡고 있다. 현재 단속사터에 있는 삼층석탑은 그 형상과 기법이 불국사의 석가탑과 매우 비슷하며, 그 크기도 비슷하다. 이 석탑은 처음 목탑에서 유래한 표현들이 그대로 나타나 있다.

 

탑의 기단과 탑신에는 목탑의 기둥이 새겨져 있고, 지붕은 기와집의 처마곡선이 뚜렸하게 보인다. 탑이 땅과 닿는 아랫부분인 기단과 탑의 본체인 3층의 탑신과 지붕돌도 훼손되지 않고 거의 온전한 모습이다. 다만 상륜부 만이 노반 위에 있던 장식들이 훼손되고, 일부는 잃어버려서 아쉽다. 불교가 쇠락하던 조선시기에는 전국의 어디 할 것없이 건물은 허물어져 갔고, 탑도 기울어져 갔다.

 

지금은 한국의 석탑 가운데 가장 아름다운 탑의 완성형인 불국사 석가탑도 일제강점기에는 수리가 되지 않은채 오랜세월이 지나, 탑의 상륜부가 없는 상태였는데, 이를 복원하기 위하여 전국의 석탑을 다 찾아나섰다. 그 결과 석가탑과 크기도 비슷하고 양식도 가장 흡사하면서도 온전한 모습을 찾았는데, 그것은 실상사 동서삼층석탑이 있었기에 그 모습을 본으로 복원하여 불국사 석가탑이 오늘의 모습으로 보완되었다. 앞으로, 단속사터삼층석탑도 그와 같이 과정을 거쳐 보완한다면 그 모습이 훨신좋을 듯 싶다.

 

한편 단속사의 본전이 있던 자리 옆에는 고려말 공민왕 때 서예와 문필로 이름을 날리던 강회백이 과거를 보기 전에 이 절에서 공부를 하였는데, 그 때 매화 한그루를 심었다. 그 뒤 강회백은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이 '정당문학 겸 대사헌'에 이르게 되었고, 이후 그가 이곳에 심은 매화나무를 '정당매'라고 부르며 귀하게 보호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그런 사연을 길이 전하기 위하여, 정당매 바로 옆에는 그 사연을 적은 비석을 세우고, 지금은 그 비석에 비각을 지어 보호하고 있다. 그러나 고려말에 심었던 매화나무는 죽고, 그 자리에는 그 후계목이 자라서 옛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나무는 그 나무가 아니지만 그 이름만은 길이 남아 사라진 절터의 귀한 손님대접을 받고 있다.

 

단속사(斷俗寺)란 절의 이름은 범상치가 않은 이름이다. 처음 들을 때에는 몹시 생소하기조차 하였다. 그러나 그 의미를 생각해보니, 풍파와 곡절이 많은 속세와 인연을 끊는다는 뜻이 아닌가 샆다. 이곳에 출가한 뒤 모진 마음으로 수도하여 단호이 속세의 인연을 끊고 반드시 성불하겠다는 출가자의 굳센 의지가 담겨있는 단호한 뜻이다. 또한 그 의미를 다시 살펴보면, 서라벌 호화로운 도회지인 속세를 떠난 신선이 산다는 방장산인 이곳이야말로 바로 극락이 아니냐는 듯하기도 한 절 이름이다. 그러나 지금은 그 이름에 견주어 옛 영화는 사라지고 썪지 않고 타지 않는 석탑만이 덩그렇게 서있는 모습이 황량하여 지나가는 나그네의 마음을 무겁게 한다.

 

속세를 떠나 머나먼 이곳에 있었기에 오늘까지 사람의 손을 타지 않고 온전한 모습으로 남아있는 것이 천만 다행이라 싶다. 그러나 이제는 교통이 사통팔달로 고속도로에서도 그리 멀지 않으니 마음만 먹으면 전국 어디서든 한나절에 찾을 수 있는 곳이 되었다. 이제 단속사란 절이름도 그저 옛 이름일 뿐이다.

 

기자정보

프로필 사진
최우성 기자

최우성 (건축사.문화재수리기술자. 한겨레건축사사무소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