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보릿고개”란 말은 언제부터 생겼을까?


“보릿고개”란 말은 언제부터 생겼을까?



선진국 대열에 들어섰다고 하는 지금도 여전히 굶는 사람들은 있습니다. 그런데 50~60년대 까지만 해도 지금보다 훨씬 많은 사람이 며칠씩 굶기가 일쑤였습니다. 그래서 그 당시엔 “보릿고개”라는 말이 언론에 자주 등장했었습니다. 그러면 그 “보릿고개”란 말은 언제부터 생겼을까요? ≪조선왕조실록≫에도 보릿고개를 뜻하는 말이 나오는데 물론 한자로 쓰여있지요.

맨 먼저 보이는 것은 세조실록 11권 4년(1458) 2월 7일의 춘기(春饑)인데 “봄의 가난한 때”라는 뜻입니다. 또 명종 11권, 6년(1551) 1월 18일의 “궁춘(窮春)”이란 말이 나오는데 이 "궁춘‘이 가장 많이 나옵니다. 그밖에 명종 32권, 21년(1566) 2월 23일의 “춘빈(春貧)”, 현종 5권, 3년(1662) 3월 14일의 “춘기(春飢)”, 숙종 8권, 5년(1679) 3월 6일의 “춘기근(春飢饉)”, 숙종 58권, 42년(1716) 8월 8일의 "춘궁(春窮)", 고종 3권, 3년(1866) 5년) 3월 26일의 "궁절(窮節)”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습니다.

특히 “보릿고개”라는 이름으로 딱 들어맞는 “맥령(麥嶺)"은 정조 12권, 5년(1781) 11월 29일 등 정조 때만 세 번 나옵니다. 또한, 일제강점기 기록에도 보이는데 1931년 6월 7일 자 동아일보의 “300여 호 화전민 보리고개를 못 넘어 죽을지경"이라는 기사가 그것입니다.

따라서 ”보릿고개“는 50~60년대에 생기거나 그때 처음 불린 것이 아니라 이미 조선시대 부터 쓰이던 말인 '맥령'을 우리말 '보릿고개'로 바꾼 것입니다. 어떠세요? '맥령'보다는 '보릿고개'가 훨씬 뜻이 분명하고 이해가 쉽지 않나요? 그나저나 살이 쪄서 살빼기가 이야깃거리인 요즘에도 여전히 굶는 사람이 있다는 기사가 보이는데 굶는 이들이 어서 사라지고 '보릿고개'란 말이 옛말로만 남게 되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