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의 보편적 가치를 사회적 과제 해결에 활용한다면
한글의 우수성은 이미 세계의 저명 언어학자들이 인정한 것이다. 이제는 한글의 우수성에 대한 이야기는 접어두고, 본질적 차원에서 한글에 내재된 보편적 가치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보편적 가치란 시대와 공간을 초월해 인류문화사적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인류 모두에게 유익함을 줄 수 있는 가치를 뜻한다. 한글은 과연 어떤 보편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가. 한글에 내재된 보편적 가치는 세 가지다. 첫째는 민주성, 둘째는 과학성, 셋째는 철학성이다. 먼저 한글의 민주성은 세종대왕이 밝힌 훈민정음의 창제 목적에 나타나 있다. 세종은 문자 사용에서 소외돼 온 일반 백성들이 제 뜻을 널리 펴게 하기 위해 한글을 만들었다. 이러한 사실은 한글이 태생적으로 민주성을 내포한 문자임을 의미한다. 한글의 민주성은 창제 후 수백 년 동안의 쓰임에서 자연스럽게 검증됐다. 특히 한글 편지는 왕에서 노비에 이르기까지 전 계층이 주고받은 소통의 매체였다. 이 점은 한문 편지가 양반 지식인 간의 소통 매체로 국한된 점과 크게 대조된다. 신분 계층을 뛰어넘은 문자로서의 한글 사용은 한글이 가진 민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