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논 곡 리 - 김태영 산속 깊은 골짝에 돌담과 초가지붕 몇 채 꽃들은 지천으로 피어나고 맑게 흐르는 도랑물에는 파란 하늘이 담겨 있었다. 순박한 얼굴 가족 같은 마을 사람들 이제 하나둘 떠나고 있다 생각만 해도 눈물 나는 두메산골 내 고향 2010년 5월 29일 “울산 반구대 암각화를 살려주세요”라는 제목의 우리문화편지를 독자들에게 보낸 적이 있다. 울산의 국보 ‘반구대 암각화’는 육지와 바다를 생활배경으로 삼은 다양한 사람과 동물 그림 300개가량이 큰 바위 면에 한꺼번에 그려져 있는 세계적으로 찾아보기 드문 유적이다. 특히 작살을 맞거나, 새끼와 함께 있는 고래 등 50점이 넘는 많은 고래 그림은 선사시대 고래잡이 역사를 실증적으로 연구해 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기도 하다. 그런데 수천 년의 세월을 견디고 전해져 온 선조의 유물이 댐 건설에 의한 수몰로 불과 40년 만에 깎여 내리고 뒤틀리고 무너지고 있기에 그때 시민들은 ‘반구대 암각화 살리기’ 누리집을 만들고, ‘반구대암각화지식인 10,000명 서명운동’을 벌였었다. 현재 ‘반구대 암각화’를 포함하는 ‘반구대 계곡 일원의 암각화’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
[우리문화신문=허홍구 시인] 장충단공원에 하나뿐인 커피와 디저트 파는 가게에는 멋진 한옥에 간판이 영문으로 되어 있다. 이곳에 들르는 손님들을 보면 외국인은 별로 눈에 안 띄고 거의 한국인이다. 그런데 멋지게 한옥을 지어놓고 빵집의 이름이 꼭 영문이어야 하는지 이해가 안 된다. 그것도 ‘haus’로 사전을 찾으니 영어도 아니고 인도네시아어로 “목이 마른‘라는 뜻이라는데 별로 없을 것 같은 인도네시아 손님을 위해 그렇게 쓴 것일까? 아무리 빵집이라 해도 제발 우리말을 쓰는 곳이면 좋겠다.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당신은 사람답게 살고 있습니까?” 일취 스님이 쓴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길을 찾아서》라는 책에서 독자들에게 이런 질문을 먼저 던진다. 어떻게 사는 것이 ‘잘 사는 것’일까? 일취 스님은 ‘청정심원’ 선원장으로 태고종 스님이다. 스님은 《해동문학》을 통해 시인으로 등단했으며, 한국불교사진협회 특별 자문위원이고 또한 그림에도 일가견이 있다. 그렇게 바쁘게(?) 활동하는 스님이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길을 찾아서》라는 책을 썼다니 혹시 책 한 권을 내는데 만족해서 쓴 건 아닐까 하는 우둔한 생각이 잠시 들었다. 그동안 일부 스님들의 책을 접하면서 내용이 어렵거나 너무 현학적인 경우가 있어서 몇 장을 넘기다 그냥 덮어버렸던 경험이 있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책장을 한 장 한 장 넘기면서 그런 기우는 금세 말끔히 사라져 버렸다. 스님은 “사람이 사람답게 살아야 한다는 방법론에서 절대적인 기준은 없다고 하겠다. 그래서 대다수의 판단을 토대로 하되 형평성에 어긋나고 불합리한 주장을 배제한 다수의 합리적 관점을 모아 판단하는 방식으로 보편타당한 삶을 전제로 한, ‘보편타당성’과 ‘대아(大我), 소아(小我)에 대한 의미를 기준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