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선흥 작가] 조선 첫 서양의사 알렌(Horace N. Allen )은 자신의 일기에 1885년의 설 명절에 대해 적었다. 2월 10일(화) 오늘 음력 섣달 스무엿새날(12월 26일)인데 사실상 오늘부터 조선의 가장 큰 명절인 설날이 시작된다. 조선인은 설날 명절을 5일 동안 쉰다. 이 5일 동안 서울거리는 온통 잔치로 꾸며진다. 썩은 짚으로 된 거름더미 같은 것은 말끔하게 치워진다. 5일 동안에는 거리에 좌판을 벌여놓고 각종 물건을 물물교환한다. 모든 사람은 제각기 무슨 물건이라도 팔고 산다. 그래서 서울거리는 시장 바닥이 되고 만다. 각종 물품 가운데 특히 눈에 띄는 것은 각종 놋그릇(유기-鍮器)더미를 산처럼 쌓아놓은 것인데, 햇빛을 받아 번쩍번쩍 눈부시게 빛난다. 놋그릇 종류에는 촛대, 숟가락, 젓가락, 사발, 대야, 타구(唾具, 침 뱉는 그릇) 등이 있다. 타구는 달걀을 두 쪽으로 갈라놓은 것처럼 생겼는데 양끝이 연결되어 있다. 이들 유기는 정교하게 가공되어 있고 그 값도 대단히 비싸다. 나는 조그마한 타구 하나의 값이 현금으로 500냥(약 50센트)이라는 말을 들었다. 조선사람은 어떻게 그같이 비싼 값으로 생활할 수 있을까, 참으로 놀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우리가 흔히 대만이라고 읽고 중국 발음으로는 타이완(臺灣)이라고 하는 이 작은 섬나라를 생각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1949년 중국 대륙을 모택동(毛澤東 마오쩌둥)의 공산당 세력에 내주고 섬나라로 내려온 장개석(蔣介石, 장제스)과 국민당 정권일 것이지만 관광으로 대만을 가는 이유가 무엇이냐고 물으면 아마도 세계적인 박물관으로 꼽히는 고궁박물원이 있기 때문이라고 말하는 분들이 많을 것이다. 이 박물관의 소장품의 수는 70만 점이나 되어 영국 런던의 영국박물관, 프랑스 파리의 루브르박물관, 러시아 페테르부르크의 에르미타쥬 미술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이라고 하기도 하고 미국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을 넣어 5대 박물관이라고도 하는데 어떻든 유물이 그만큼 엄청나게 많다는 것이고 워낙 유물이 많아서 박물관에서는 3달에 1번씩 전시하는 소장품을 교환 전시하고 있는데도 모든 소장품을 관람하려면 8년 정도 걸린다고 한다. 그런 점들이 대만 관광의 포인트로서 관광객들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킨다. 흔히들 고궁박물관이라고 말하지만, 정식 이름은 국립고궁박물원(國立故宮博物院)으로 대만(정식 국호는 중화민국)의 행정원 산하기관이다. 잘 알다
[우리문화신문=우지원 기자] 옛시는 강하다. 짧으면서도 마음을 울리는 힘이 있다. 조용히 읊조리다 보면 굳었던 마음이 풀어지고, 옛사람들의 마음이 그대로 전해져 오는 마력이 있다. 이런 매력에 빠져 오늘날에도 시읽기를 즐기고, 때에 맞게 인용하는 경영자가 많다. 고두현이 쓴 이 책, 《옛시 읽는 CEO》는 경영자가 읽고 그 참뜻을 되새길 만한 옛시를 봄, 여름, 가을, 겨울의 느낌에 맞게 분류하여 엮어낸 책이다. 옛시에 얽힌 이야기와 더불어 난감한 위기에 처했을 때, 시 한 수를 인용하여 백 마디의 말보다 더 큰 울림을 전한 사례 등을 풍부하게 담았다. 말이 범람하는 시대, 옛시에 담긴 따뜻하고도 여백 있는 감성은 가슴을 울릴 때가 많다. ‘조선의 이태백’이라 불렸던 이안눌이 함경도 관찰사 시절, 눈이 천 길이나 쌓인 변방에서 겨울을 보내며 쓴 「따뜻한 편지」에는 힘든 일이 있어도 차마 부모님이 걱정할까 전하지 못하는 자식의 마음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p.33) <따뜻한 편지> 집에 보낼 편지에 괴로움 말하려다 흰머리 어버이 근심할까 두려워 북녘 산에 쌓인 눈 천 길인데도 올겨울은 봄날처럼 따뜻하다 적었네 - 이안눌 지은이 고두현은 자식이 어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