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일이 있어서 날이 바뀐 뒤에야 잠자리에 누웠습니다. 잠이 얼른 들지 않았는데 밖에서 비가 오는 소리가 들렸습니다. 빗소리를 듣고 얼마나 많이 세게 내리는지 어림을 할 수 있었습니다. 엄청 세게 내리더군요. 아침까지 이렇게 내리면 안 되는데 하면서 잠이 들었습니다. 아침에 일어나니 빗소리는 안 들리고 하늘의 구름도 거의 다 걷히고 해가 비치는 곳도 있었습니다. 많은 비가 짧게 내리고 그쳐서 낫다는 생각을 하면서도 바쁘다는 핑계로 오랫동안 씻지 못해서 먼지가 쌓여 있는 수레 생각이 났습니다. 세차게 내리던 그 비를 맞았으면 하얀 제 수레가 좀 해말개지지 않았을까 싶어서 말이죠. 오늘 알려드릴 토박이말이 '해말갛다'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하얗고 말갛다'라고 풀이를 하고 있고 '고려대한국어대사전'에는 '빛깔이 희고 말갛다'고 풀이를 하고 있습니다. 보시다시피 '해말갛다'는 '해'+'말갛다'의 짜임으로 된 말입니다. '해'는 앞서 본 '해뜩'에서 '희다'와 아랑곳한 말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말갛다'는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산뜻하게 맑다', '국물 따위가 진하지 않고 묽다', '눈이 맑고 생기가 있다'는 뜻이 있다고 풀이를 하고 있네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새벽에 비가 내렸는지 땅이 젖어 있었습니다. 지나가는 수레 가운데 젖어 있는 수레가 있는 걸로 봐서 다른 곳에서 비를 맞고 온 것 같았습니다. 온 나라에 비가 올 거라고 합니다. 곳에 따라 많이 오는 곳도 있을 거라고 하지만 아무 어려움 주지 않고 잘 내렸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오늘 알려드릴 토박이말은 '해뜩발긋'입니다. '해뜩발긋' 이 말을 처음 보시는 분들이 많을듯 한데, 처음 보시고 어떤 느낌이 드시고 또 어떤 뜻일 것 같으신지요? '뭐 이런 말도 있었어?'라는 생각을 하시는 분도 계실 것 같습니다. 얼른 뜻을 어림하기가 쉽지 않을 수도 있는데 어제 알려드린 '해뜩'이라는 말을 떠올려 보시면 조금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해뜩'이 가진 세 가지 뜻 가운데 '흰 빛깔이 다른 빛깔 사이에 섞여 있는 모양을 나타내는 말'이라는 뜻이 있었습니다. 이와 이어지는 말이 바로 '해뜩발긋'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조금 하얗고 발그스름한 모양'이라고 풀이를 하고 있고 '고려대한국어대사전'에는 '빛깔이 조금 희고 발그스름한 모양을 나타내는 말'이라고 풀이를 하고 있습니다. 저는 '고려대한국어대사전' 풀이가 더 마음에 드는데 여러분은 어
[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대체로 고귀함은 천함을 근본으로 하고 높은 것은 낮은 것을 근거로 합니다. 그래서 예로부터 통치자는 스스로를 고인(孤人. 어리석은 사람), 과인(寡人,모자라는 사람), 불곡인(不穀人,곡식을 번창하게 못 하는 사람)이라 불러 스스로 자기의 고귀함이 낮은 것, 천한 것을 기초로 해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항상 자각하고 있었습니다. 통치자가 이런 모습은 천한 것을 근본으로 삼고 단순한 겸손을 넘어, 권력의 근원이 백성에게 있음을 인지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사실 살다 보면, 별것도 아닌 몇 줌이 되지도 않는 명예인데 이 명예를 지키려다 더 큰 것을 잃는 경우를 많이 봅니다. 그러니 옥같이 빛나는 복덕을 추구하지 말고 구슬처럼 빛나려 하지 말아야 합니다. 그냥 순수한 돌처럼 소박해야 하지요. 빛이 난다는 것은 하나의 방향으로 무엇인가 드러나고 있다는 의미이기 때문입니다. 정말 좋은 사람은 빛나되 그 빛이 다른 먼지들과 조화를 이루어 눈부시지 않은 사람입니다. 우리는 흔히 높은 곳에 오르고, 많은 것을 소유하고, 빛나는 존재가 되기를 꿈꿉니다. 하지만 진정한 고귀함은 낮은 곳에서부터 시작됩니다. 빛나는 보석도 어둠 속에서 더욱 빛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