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평창강은 삼거리에 있는 유포교 아래로 흘러 도로의 오른쪽으로 방향을 튼다. 유포교 중간 지점이 봉평면과 대화면의 경계가 된다. 유포교를 지나면 대화면 개수리다. 나중에 개수리의 어원을 《평창군 지명지》에서 찾아보았다. 마을에 둘레 약 2.6m의 큰 소나무가 외따로 떨어져 서 있는데, 이 소나무를 외솔배기 또는 독송정이라고도 부른다. 그 옆을 흐르는 큰 갯가에 소(沼)가 있어 개소라고 부르다가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을 하면서 개수리(介水里)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또 다른 설로는 물 사이에 끼어 있는 마을이라고 해서 끼일 개(介)자를 써서 개수리라고 이름 붙였다고도 한다. 유포교를 지나 오른쪽을 바라보니 강가에 무리 지어 서 있는 갯버들에 물이 오른 모양이다. 버들강아지를 피우려고 준비하는지 가지 끝부분에서 옅은 초록색이 뚜렷하게 보인다. 개울가에서 잘 자라는 갯버들은 버드나무과에 속하는데, 키가 2~3m 정도로서 크게 자라지 않는 나무다. 이른 봄에 잎보다 먼저 꽃이 피는데, 기다란 꽃이삭을 흔히 버들강아지라고 부른다. 조금 지나면 이곳 평창강가에도 사방에서 잎이 돋아나고 꽃이 피고 새가 지저귀고. 화려한 봄이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한 달 전쯤인 지난달 중순 과천에 있는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서울올림픽 30돌을 기리는 작은 전시회가 열린다는 소식에 과천의 국립현대미술관을 다시 가게 되었다. 예전에 KBS기자로 있을 때는 회사의 취재차량을 타고 갔고, 퇴직 후에는 어쩌다 가게 되면 미술관에서 운영하는 셔틀버스를 합정동 로터리에서 타고 가곤 했는데, 이날은 코로나 사태로 서울 시내에서 갈 수 있는 셔틀버스는 운영을 중지해, 과천 서울대공원역 4번 출구에서 미술관으로 왕복하는 셔틀버스를 타고 올라가게 되었다. 새로 전시회가 열리지만, 이날도 코로나 여파로 손님은 나를 포함해 둘 뿐, 작은 승합차를 타고 구불구불 진입로를 따라 돌아 미술관을 올라가면서 나의 머리는 35년 전인 1986년 8월로 돌아가고 있었다. 1986년 8월 25일 과천 국립현대미술관 2층 연회장, 새로 완공된 현대미술관의 위용을 보며 내심 흐뭇해하던 전두환 대통령과 이원홍 문화공보부 장관, 그리고 이경성 국립현대미술관장을 비롯한 미술계 원로, 현역들이 줄줄이 모여 서 있었다. 시설을 둘러보고 이같이 좋은 미술관을 갖춘 데 대한 치하의 말을 기대하고 있던 전두환 대통령, 몇 마디 치하의 말이 미
[우리문화신문=우지원 기자] 흔히, 우리가 사극 속에서 보는 옛 삶의 모습은 상당히 아름답다. 한복은 고운 빛을 발하고 모든 것이 질서정연하며, 선비는 유배를 가서도 용모단정하다. 성균관 유생들은 막힘없이 문장을 외우고 임금을 수행하는 내시도 그렇게 힘들어 보이지 않는다. 이런 사극을 보노라면, 한 번쯤 과거로 돌아가서 사는 것도 재미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오늘부터 진짜 과거로 돌아간다면? 그때부터는 무슨 일이 벌어질까? 돌아가자마자, 내가 여기를 왜 왔나 싶을 법한 고단한 삶의 현장이 기다리고 있다. 이 책 《LET’S G古 시간탐험대》는 실제로 연예인들이 과거로 돌아가 그 시대의 삶을 그대로 살아보는, tvN의 역사 예능 프로그램 <LET’S G古 시간탐험대>의 내용을 재구성해 만든 책이다. 이 프로그램은 2013년 첫 방영된 이후 참신한 기획과 구성으로 시청자들의 큰 관심을 받았고, 시즌 3까지 제작되며 역사 예능의 한 획을 그었다. 출연진은 ‘우리 조상들이 살았던 생생한 과거로의 여행! 영혼까지 탈탈 털리는 생고생(生古生) 프로그램’이라는 제작의도에 걸맞게 완전히 옛날로 돌아가 양반과 노비, 성균관 유생과 반인, 임금과 내시의 삶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