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심리학자의 말에 따르면 사랑의 유효기간은 길어야 3년이라고 합니다. 사람이 사랑에 빠지면 각종 행복 물질이 쏟아지게 되지요. 도파민, 엔도르핀, 세로토닌이 그런 호르몬입니다. 그런데 세월이 흘러 관계가 시들해지고 나면 더 이상 행복 물질이 쏟아지지 않는다는 것이지요. 그럼, 사랑은 끝난 겁니다. 그러니 부부가 2~30년을 함께 살기는 매우 어려운 일임은 틀림없습니다. 인간의 뇌 속에서 행복을 만드는 물질은 엔도르핀입니다. 엔도르핀은 과거의 행복한 추억 때문에 생기는 게 아닙니다. 지금 내가 즐거워야 엔도르핀이 형성됩니다. 인생을 살면서 오늘, 지금, 이곳이 제일 중요하다는 말이 옳습니다. 지금이 즐거워야 행복 물질이 분비되니까요. 내가 아파트를 나서면 인사성이 바른 경비원을 만납니다. 그는 아무리 봐도 힘든 삶인데 나보다 여유롭습니다. 나보다 늙었고 부양가족이 많아 부담 속에 살 텐데도 행복해 보입니다. 옛날엔 가난했어도 행복 지수가 대체로 높았습니다. 그건 가진 것에 만족했으니까 가능한 일이지요. 절대적인 기준에서 보면 우리나라 사람은 무조건 다 행복해야 옳습니다. 1960년대보다 훨씬 잘살고 있으며, 죽으로 연명하는 사람
[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새벽 6시에 잠이 깨어 일어나 보니 연담거사가 안 보인다. 어디로 갔을까? 한참 지나 단정한 모습의 연담거사가 들어온다. 물어보니 새벽 4시에 일어나 택시를 타고 무등산에 있는 증심사에 가서 참선을 1시간 하고 왔단다. 부지런하기도 하지. 불교를 믿으려면 저 정도는 되어야 하는데. 증심사에 가 보니 법정 스님이 법회를 하러 오신다는 현수막이 붙어 있더란다. 법정 스님은 내가 좋아하는 스님인데. 나는 법정 스님의 작은 수필집 《무소유》를 좋아한다. 혼자 읽기에는 정말 내용이 좋고, 또 내가 보는 관점에서는 환경 문제의 해결책이 담겨 있는 책이라고 생각되어 나는 내가 가르치는 모든 과목에서 학생들에게 《무소유》를 읽고 독후감을 3장 이상으로 써내라는 과제를 낸다. 독후감을 내는 학생에게는 무조건 5점을 준다. 이러한 다소 엉뚱한 과제를 1990년부터 시작했으니까 아마도 3,000권 이상 책을 팔아주었을 것이다. 그날은 바빠서 증심사에 못 갔지만 언제 법정 스님을 만나면 내가 많은 책을 팔아주었으니 점심이라도 한 끼 사시라고 청해야겠다. (주: 그 후 인연이 닿지 않아서인지 법정 스님을 만나지는 못했다. 스님은 2010년에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봄이 사실상 마감되고 더위가 시작된다고 호들갑 비슷하게 떨던 게 보름 전, 그때 24절기 소만을 지났다고 했는데 다시 보름이 지나니 이젠 소만 다음의 절기인 망종이란다. 망종? 어감상으로는 망둥이 같은 종자... 뭐 이런 뜻이 아닐까 싶은데 그것은 한자로 ‘亡種’이고, 지금 이야기하는 절기상의 망종은 ‘芒種’이다. 앞의 ‘亡’은 망할 망이니 별로 전망도 없는 개망나니 같은 종자라는 뜻이라 생각되는데, 뒤의 ‘芒’은 작물의 수염 부분을 뜻하는 글자이니 곧 벼나 보리의 이삭 부분에 나오는 까칠까칠한 까끄라기(난 까시랭이로 들었지만 이게 표준어인듯)를 말함이렸다. 우리들이 도회지에 살다 보면 벼건 보리건 다 껍질을 벗기는 도정작업을 해서 매끈한 속 알곡만 보는데 우리 어릴 때는 시골에서 크다 보니 까끄라기들을 보는 것은 물론 여름에 보리 타작, 가을에 벼 타작한다고 탈곡기나 도리깨로 털어내는 과정에서 끼끄라기들이 공중으로 날아들어 목덜미가 근질근질한 경험이 다 있는데 우리야 그렇지만 우리 애들, 손주들은 이런 경험도, 이런 말도 모를 것이다. 경험하지 않았으니 모르는 것을 뭐라고 할 수는 없지만, 어쩌면 이 세상 식물의 생장에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