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유용우 한의사] 인간은 존재를 유지하기 위해 끊임없는 활동을 하고 있다. 내부적으로는 스스로 생명활동을 유지하기 위하여 발전하고, 외부적으로는 끊임없는 소통을 통하여 방어와 흡수, 방출하고 있다. 이러한 외부와의 교류에서 자신을 보호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인간의 활동을 호흡, 소화, 면역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인간의 활동은 무수한 세월 속에 자연과 적응을 마쳤으며 현재도 발전적인 방향으로 진보되고 있다. 결국, 최근의 코로나19와 같은 전 세계적인 판데믹 상황도 결국은 인간을 발전시키고 진화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러한 바탕은 한의학의 기본으로 인간은 소우주(小宇宙)라는 전제 속에 우주의 진리와 규칙이 내 몸에 존재하는 것으로 자체적으로 완전(完全)함을 의미한다. 곧 인간이 외부와 소통하는 통로로서 피부에서 충분한 방어가 이루어지도록 탄생했다는 것이 전제된다. 점막과 호흡기 통로에서 충분히 방어하거나 완충해주고 면역이 이루어진다. 또한, 소화기 점막에서 충실하게 소화되고 면역이 이루어지도록 태어났다는 것이다. 설혹 일시적인 부담으로 침입을 허용하더라도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어시스템이 내재하여 있어서 결국은 침입을 물리치고 정상 생활을 할
[우리문화신문=글ㆍ사진 이영일 생태과학연구가] 흰말채나무[학명: Cornus alba L.]는 층층나무과의 ‘낙엽 지는 작은 키의 떨기나무’다. 이름의 유래는 봄에 새로 나온 가지가 말채찍으로 쓰면 좋다고 하여 말채나무라는 했다는 설과 옛날 무사가 나라를 위하여 싸우다가 전사하였는데 그 무사가 쓰던 말채찍을 땅에 꽂아 놓았는데 그것이 자란 나무란 설도 있다. 나무껍질은 붉은빛을 띠어서 홍서목(紅瑞木)이라고 한다. 다른 이름으로 백옥수목(白玉樹木), 백오수목(白五樹木), 량자목(凉子木) 등이라고도 한다. 영명은 ‘korean cogwood’다. 영명에 공통적으로 'dogwood'란 단어가 들어가는 것은 17세기 초 영국에서 cornus속에 속하는 나무들의 껍질이나 열매를 넣어 다린 물로 진드기가 붙은 개를 목욕시키거나, 개에 물린 상처를 치료하는데 쓰여 'Hound's tree(사냥개 나무)', ‘dogberry(개열매)'로 불리다가 지금의 cornus 속에 통칭하여 ‘독우드(dogwood)'란 이름이 붙어졌다는 설이 있다. 꽃말은 ‘당신을 보호해 드리겠습니다’다. 관상적 값어치가 뛰어나 생울타리나 경계를 긋는 용으로 재배하면 매우 좋다. 공원 등에 무리지어
[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척제현람(滌除玄覽)” 노자의 《도덕경(道德經)》에 나오는 멋진 말입니다. 하루는 노자가 왕에게 묻지요. "백성들이 밭일하고 돌아와 섬돌 위를 깨끗하게 닦아주고, 그 마루 아래의 어두운 곳까지 살펴볼 수 있습니까?" 곧 높은 자리에 있으면서도 자신을 숙여서 백성들의 어려움을 해결해 줄 수 있느냐는 질문입니다. 흙과 먼지가 쌓인 바닥을 쓸고, 그 아래에 있는 팍팍한 살림살이를 들여다보려면 내 무릎도 더럽혀지고, 지저분해질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그런 수고로움을 마다하지 않고 아랫사람을 돌볼 수 있느냐는 것이지요. 위로 올라가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그러나 더 어려운 것은 위에 있으면서 처신을 겸손하게 하는 것입니다. 누구나 올챙이 적 시절은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일단 개구리가 되고 나서 올챙이 적 시절을 망각하지 않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은 아니지요. 쉽지 않기에 그런 분들이 존경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저는 고등학교 때 ‘도덕 재무장(MRA)’이라는 동아리 활동을 했습니다. 그때 Sing-Out 공연 때문에 서울본부에 다녀올 기회가 있었는데요. 사무실에 들어서자 공연 준비로 매우 정신이 없었는데 초입에 초로의 신사가 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