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삼족오(三足烏) 세 발로 우뚝 선 고구려의 꿈 (빛) 어둠을 내쫓는 태양의 새여! (돌) 천지인 아울러 큰 날개 펴니 (초) 이 땅을 밝히며 날아오르네 (달) ... 24.11.13. 불한시사 합작시 지난해 늦가을, 불한시사(弗寒詩社)의 시벗들과 함께 고구려의 도읍지 국내성(國內城)이 있는 집안(輯安/集安)을 찾았다. 압록강 물빛은 유리같이 맑았고, 오녀산성(홀승골성)과 환도성(위나암성) 등 산등성이마다 옛 성곽의 흔적이 아직 남아 있었다. 우리는 고구려 벽화고분과 박물관의 유물을 두루 살펴보다가, 태양 속에 새겨진 삼족오(三足烏) 상을 마주하고 저마다 감흥을 얻어 이 짧은 합작시를 지었다. 삼족오는 본래 태양의 새(陽鳥)로서, 세 발은 천지인(天ㆍ地ㆍ人)의 삼재를 상징하며, 세 가지 발이 균형을 이루어 움직이는 형상은 만물의 조화와 순환, 도(道)의 삼원(心ㆍ物ㆍ行)을 뜻한다. 그 깃은 검어 현묘하고 으뜸된 기운(玄元之氣)을 품고, 그 몸은 붉어 태양의 따뜻한 빛(火德之光)을 머금으며, 날개를 펼칠 때 우주의 질서가 함께 돌아간다. 고구려인에게 삼족오는 단순한 신화의 새가 아니었다. 그것은 왕도(王道)의 상징이자, 민족의 혼을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압록강 가을 가을비 오네 강 건너 북녘땅 (달) 헐벗은 산하 돌아갈 길 먼데 (돌) 강 안개 강버들 기러기 날고 (빛) 찬 비 너머 북녘 더 쓸쓸하네 (심) ... 24.11.10. 불한산방합작시 지난해 가을 이맘때였다. 불한시사 시벗들과 고구려의 옛 땅을 따라 며칠을 걷던 여정이었다. 국내성과 환도성이 있는 집안(輯安) 지역을 거닐며, 이 강산에 켜켜이 스며든 역사의 숨결을 함께 되새겼다. 그때 주고받던 합작시(合作詩) 가운데 하나가 오늘의 시로 남았다. 날마다 아침 압록강가를 걸으며 북한 땅을 바라보던 그 순간, 그 심정을 한민족이라면 어찌 짐작하지 못하겠는가. 말로 다할 수 없는 괴로움, 오직 침묵으로 삼켜야 했던 아픔이었다. 몇 겹의 철조망 넘어, 푸른 강물을 건너다보이는 민둥산의 연봉들, 초라한 마을들과 그 아래로 자리 잡은 초소와 병영들, 그 모든 풍경이 침묵으로만 응답하였다. 그날의 강바람과 낙엽, 희미하게 내리던 눈발과 흩뿌리던 빗줄기 사이로 우리는 무언의 소원을 되뇌었다. 언제쯤이면 이 강과 저 산을 마음껏 건너고 가로질러 달릴 수 있을까. 언제쯤이면 고구려의 광대한 고토와 산야를 우리의 품 안에서 다시 안아볼 수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가을 강 시월의 저 강물 쓸쓸하구나 (달) 낙엽으로 용비늘 걸쳤으니 (빛) 하늘로 날아오름도 슬프다 (심) 높이 오른 용 뉘우침 있으니 (돌) ... 24.10.17. 불한시사 합작시 한가위도 지나고 찬 이슬 내리는 한로(寒露) 절(節)이다. 곧 이어질 절기는 만물이 스러지는 상강(霜降), 본격적으로 나뭇잎이 시들어 떨어지는 계절이다. 서릿발이 삼라만상(森羅萬象)의 초목(草木)을 시들게 하고, 단풍잎은 누렇게 물들다 흩날린다. 며칠째 내린 가을비가 기온을 낮추어, 산방(山房)에서는 한기가 더욱 사무친다. 상경한 김에 시우(詩友)들과 함께 양수리 벗을 찾았다. 남한강과 북한강이 서로 만나 나룻터를 이룬 섬두랫길을 따라, 따스한 햇살 속을 천천히 걸었다. 그곳 다산(茶山)의 시가 바위에 새겨져 있었기에, 그 운(韻)에 화답하여 동이문(東夷文, 漢文-한문의 근원은 갑골문 따라서 우리 겨레의 동이문이라고 생각한다.)으로 한 수를 지었다. 주역(周易)의 건괘(乾卦) 첫 효(爻)인 초구(初九)에 “잠룡(潛龍)이니 헛되이 쓰지 말라(勿用)” 하였고, 이어 둘째 효인 구이(九二)에는 “용이 밭에 나타난다(見龍在田)” 하였다. 셋째 효인 구삼(九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오륙도(五六島) 있는 것 안 보일 때 있는 인생 (초) 안 보이는 것 볼 때 있는 인생 (심) 안 보일 때 다섯 보일 때 여섯 (빛) 나고 사라짐, 유무형의 공존 (돌) ... 25.10.10. 불한시사 합작시 부산의 오륙도는 잘 알다시피 다섯 개나 여섯 개로 달리 보이는 섬들로 유명하다. 동쪽에서 서쪽 방향으로 방패섬, 솔섬, 굴섬, 촛대섬, 수리섬, 등대섬 등으로 불리는 부산의 대표적 표징 같은 섬이기도 하다. 이 가운데 방패섬과 솔섬이 조수가 빠지면 다른 섬처럼 뵈지만, 조수가 들면 연결되어 하나로 보이기에 그렇게 불렸다. 바다속 작은 섬들은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르게 보일 수 있다. 왜 오륙도를 떠올리는가? 본다는 것이 무엇인가를 생각하게 해준다. 5와 6이 아니라 수면 아래로 내려가면 섬은 사라지고 모두 하나, 한 뿌리임을 깨닫게 하는 귀한 풍경이 아닐 수 없다. 우리나라 해양의 관문인 부산바다에 서 있는 유구한 천연의 상징물이라 할 만하다. (옥광) ㆍ불한시사(弗寒詩社)는 문경의 불한티산방에서 만나는 시벗들의 모임이다. 여러 해 전부터 카톡을 주고받으며 화답시(和答詩)와 합작시(合作詩)를 써 왔다. 합작시의 형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한강(漢江)과 한강(韓江) 은하수처럼 흐르는 저 강물 (돌) 세월 따라 담는 의미도 달라 (초) 아리 아리 아리수 한물 났네 (빛) 두 한이 하나 되는 한강이여 (심) ... 25.10.3. 불한시사 합작시 한강의 옛 이름은 순수 우리말 ‘아리수’였다. 이 ‘아리수(阿利水)’라는 이름은 다행히도 압록강을 건너 고구려의 수도 국내성 집안(輯安)에 서 있는 광개토대왕비문에 새겨져 있다. 무려 1,600여 년 전의 기록이다. 지난해 11월 고구려 유적을 답사하던 길에 불한시사의 시벗들과 함께 그 비문에서 이를 직접 확인하고 크게 기뻐한 바 있다. 또한 한강의 다른 이름인 열수(洌水) 역시 ‘아리수’를 다시 한자화한 이름이리라. 한강(漢江)의 ‘한(漢)’은 흔히 오해하듯 중국 ‘한나라 한(漢)’의 사대적 의미가 아니라, ‘은하수 한(漢)’의 뜻이다. 곧 은하수(銀河)가 서울의 중심을 관통하며 흐르는 ‘은하수의 가람(江)’이라는, 매우 시적이고 아름다운 이름이다. 서울의 옛 중국식 호칭 ‘한성(漢城)’을 ‘서울(首爾)’로 개칭했을 때 중국인들이 반발한 것도, 그들이 이를 자신들의 한족(漢族) 문화의 이탈로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이는 어처구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거문고 산조(散調) 천년 오동 깊은 가락 감추고 (돌) 만년의 바람 소리 벗하는데 (달) 간만에 술대 잡고 궤 짚으며 (빛) 이어질 듯 끊어질 듯 탄다네 (심) ... 25.9.26. 불한시사 합작시 새재는 영남의 선비들이 한양으로 과거 보러 가던 길. 새재 곧 조령(鳥嶺)은 길이 가파르고 평탄치 않다. 세 개의 관문을 통과해야 하는데, 과거에 통과한 선비의 경사스러운 소식은 이 새재를 통해 재빨리 넘어온다. 그래서 경사스러운 소식을 남 먼저 듣는 곳이 바로 문경(聞慶)이다. 낙방한 선비들은 다리에 힘이 빠진 채 다음을 기약하며 이 조령을 되넘어 온다. 지금도 첫 관문 입구에 옛길박물관이 있고 아리랑노래 비석공원이 있다. 진도아리랑에 문경새재가 나오는 연유는 뭘까? 기쁜 소식 들으려 호남선비도 이 새재를 넘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문경의 옛 지명은 문희(聞喜)였다. 기쁜 소리를 듣는 고을이다. 온천마을 문경읍에서 북쪽을 바라보면 제주 성산일출봉을 닮은 주흘산이 있고, 동남쪽을 바라보면 운달산(雲達山)이 보인다. 그 남쪽 기슭에 있는 금용사(金龍寺) 소속 암자에 한 산승이 독거하고 있었다. 그 승려가 거문고의 숨은 실력자라는 소문을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억새풀 가을바람에 흰머리 날리며 (달) 우는 소린가 너털웃음인가 (심) 으악새는 새인가 갈대인가 (돌) 잎새 슬피울어 하얘진 넋들 (초) ... 25.9.19. 불한시사 합작시 1970년 이전에 태어난 세대들은 가을이면 문득 떠오르는 노래 가사가 있다. 박영효 작사, 손목인이 작곡하고 고복수가 부른 <짝사랑>이다. 바로 이 노래에는 "아~ 으악새 슬피우니 가을인가요"라는 대목이 나온다. 여기서 사람들 대부분은 으악새가 쓸쓸한 가을숲에서 저 혼자 울고 있는 '새(鳥)'를 연상한다. 어른들이 부르는 대로 따라 흥얼거렸을 뿐 나도 그렇게 생각하고 있었다. 그 새가 어떻게 생겼는지, 왜 가을이 되면 슬피 우는지 젊을 땐 관심조차 가지지 않았으니까. 80년대 부산에 살 때였다. 예총부산지부 부회장을 지내던 천봉이라는 연예분과 원로에게 "으악새는 어떤 새인가?" 물었다. 그는 <앵두나무 우물가에>, <엽전열단냥> 등 히트곡을 수없이 작사한 분이었다. 그로부터 돌아온 답은 실망스럽게도 새가 아닌 갈대과의 '억새'풀의 사투리였다. 마른 억새잎들끼리 바람에 서걱이며 부딪치는 소리를 소쩍새 슬피 울듯 '슬피 운다'라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산과 물의 풍경 산수의 풍경이 좋다고 한들 (돌) 심사가 틀리면 말짱 도루묵 (빛) 자연은 호불호, 선악이 없네 (심) 마음 맑아야 풍경이 비치고 (달) ... 25.9.13. 불한시사 합작시 셋째 구의 "자연은 호불호(好不好), 선악이 없네"에서 왕양명의 사구교(四句敎) 가운데 첫번째 구가 생각난다. "무선무악성지체(無善無惡性之體)," 곧 착함도 악함도 없는 것이 본성의 본체(本體)라는 뜻으로 인간 자체도 자연체(自然體)이니, 자연성 역시 호불호가 없는 무선무악이라 할 것이다. 양명의 이 구절은 혜능(惠能)의 게송에서 나왔다는 설이 있다. 결구의 마음이 맑아야 풍경이 비친다는 것은 사람의 마음거울이 밝으면 풍경뿐만 아니라 삼라만상이 그대로 조응(照應)한다는 뜻이리라. 필자의 발구(發句)는 "산수풍경운호운, 수심선행불여야(山水風景云好云 修心善行不如也)"의 첫 구절에서 옮겨 왔다.(라석) ㆍ불한시사(弗寒詩社)는 문경의 불한티산방에서 만나는 시벗들의 모임이다. 여러 해 전부터 카톡을 주고받으며 화답시(和答詩)와 합작시(合作詩)를 써 왔다. 합작시의 형식은 손말틀(휴대폰) 화면에 맞도록 1행에 11자씩 기승전결의 모두 4행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가을 오는 소리 달빛 젖은 귀뚜리 울음소리 (돌) 소리로 존재 깨닫는 가을밤 (심) 보이는 소리 들리는 저 달빛 (초) 둥근 달을 품고 서성이노라 (달) ... 25.9.6. 불한시사 합작시 어느새 올해도 가을의 문턱으로 접어들었다. 나무 위의 매미 소리 사그라지고 풀섶 귀뚜리 소리 요란하다. 다 자기가 맡은바 자기의 몫에 저마다 충실하는 것일 게다. 윤달이 들어 한가위도 한 달을 남겨 두고 있으나 내일이 벌써 백로절(白露節)이니, 밤기운이 이슬점 이하로 내려가 풀이나 거미줄에 은구슬 이슬이 맺힌다. 초로(草露)의 인생이라 했던가! 오늘은 윤달의 보름이니 어젯밤 달빛이 유난히 청량하였다. 요양원에, 병원에 있는 벗이 그리워지는 밤이었다. 계절은 지구촌 곳곳에 다른 시기, 다른 모습으로 찾아온다. 남미의 아르헨티나는 5월인데 가로수가 누렇게 물들어 가는 가을이었다. 오래전 지인 감독의 영화 <8월의 크리스마스>가 이해가 되기도 했던 이색 체험이었다. 마야인들은 13개월 28일 고정 달력을 쓴다. 요임금 때 없어진 마고력도 같은 체제 달력을 썼다고 신라시대 박제상이 저술한 《부도지(符都志)》란 책에 기록되어 있다. 백두산에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청렴새(淸鳥) 희고 맑은 선풍 도골 그립네 (돌) 아침 이슬에 젖은 저 백로여 (달) 해맑은 눈망울엔 꿈이 가득 (빛) 백로는 백로로 살고 있다네 (심) ... 25.9.1. 불한시사 합작시 청렴새(淸鳥) 또는 현조(懸鳥)는 두루미과에 속하는 백로(白鷺)의 다른 이름이다. 백로가 공식 이름이지만 문헌상에서 다양한 별칭이 보인다. 품위 있는 자세에 흰 깃털의 깨끗한 이미지릍 통해 예로부터 청렴새로 지칭되기도 했다. 선비들이 닮고자 했던 이유도 그 맑고 흰 청렴성 때문이었으리라 짐작된다. 차가운 가을 강기슭에 긴 다리로 홀로 선 우아한 자태는 선풍도골(仙風道骨, 신선의 풍채와 도인의 골격)이 아닐 수 없다. 그래서 선금(仙禽) 곧 두루미에 속한다. 두루미과에 속하는 새 가운데는 백로 말고도 단정학, 재두루미, 흑두루미 그리고 왜가리 등이 있다. 그 가운데서도 단정학(丹頂鶴)이 단연 아름다움의 으뜸이다. 그 까닭은 흰 몸체에 목과 꼬리부분이 검은 데다 정수리에 붉은 점이 있기 때문이다. 흔히들 자세가 단정해서 단정학인 줄 알고 있으나 그렇지 않다. 단정학 또는 선학(仙鶴)은 과거로부터 우리 삶에 긴밀히 연관돼 왔다. 특히 단정학은 신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