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봄강물 얼음 녹고 봄기운 돌아오네 (달) 움트는 소리에 놀란 봄가슴 (빛) 물오른 버들가지 기웃기웃 (초) 뱃사공 어디 가고 낡은 주막 (돌) ... 25.3.12. 불한시사 합작시 설명 / 근래에는 기후 변화가 심해서 계절 감각도 흐려지고 있지만, 그래도 우수ㆍ경칩이 지나고 나면 얼어붙었던 저 강물이 풀리고 봄기운이 온누리에 아지랑이처럼 피어오르는 듯함을 느낄 수 있다. 강물 따라 청둥오리 물오리들이 날렵하게 자맥질을 하고 강가의 갯버들 가지들이 연둣빛으로 점점 바뀌어 간다. 이런 자연의 변화에 민감했던 농경민들의 후예인 노년기의 우리들이 아직도 이런 봄기운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 것이 고맙고도 애처롭다. 옛 뱃사공과 주막집을 떠올리고 그려보는 마지막 세대의 향수가 봄강물 위에 반짝이는 저 햇살처럼 오래 빛나기를...(옥광) • 불한시사(弗寒詩社) 손말틀 합작시(合作詩) `불한시사(弗寒詩社)'는 문경 ‘불한티산방’에 모이는 벗들 가운데서 시를 쓰는 벗으로 함께 한 시모임이다. 이들은 여러 해 전부터 손말틀(휴대폰)로 서로 합작시(合作詩)를 써 왔다. 시형식은 손말틀 화면에 맞게 1행 10~11자씩 4행시로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진달래 미리 꺾은 봄을 옮겨다가 (석) 어제 빚은 병에 꽂았더니 (빛) 봄이 온 방에 활짝 피었네 (중) 문 열고 벗들을 기다리며 (옥) ... 2024.3.4. 불한시사 합작시 설명 / 불한시사(弗寒詩社) 합작시의 첫 작품이 <진달래>다. 지난해 3월 3일 손말틀(휴대폰)로 쓰는 새로운 시짓기를 제안한 그다음 날 완성한 10자씩, 네 시인의 4행시이다. 처음에는 옥광, 도농, 한빛, 라석 넷이 시작하였으나 가을에 초암이 동참하여 다섯 사람이 쓰고 있다. 돌아가며 시제를 발구(發句)하면 순서 없이 기승전결(起承轉結)로 4행시가 완성되어 가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한 사람은 빠지게 된다. 한 행이 10~11자로 한 것은 손말틀 글자판에 맞춘 것이고 4행의 정형시로 한 것은 시의 완성도를 고려한 것이다. 어느새 합작시 한 돌이 지나서 오늘 ‘꽃샘추위’까지 486수가 쓰였다. 오는 가을에 합작시집 발간과 더불어 "불한시사 시서화전"을 열려고 준비하고 있다. 독자들의 많은 관심을 기대한다. 2025. 3. 19. 불한산방에서 라석 • 불한시사(弗寒詩社) 손말틀 합작시(合作詩) `불한시사(弗寒詩社)'는 문경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단전(丹田) 단심이 있는 그곳 단전인가(돌) 마음이 몸에 자리잡은 게지(심) 분별심 없는 의식의 정수리 (초) 집없는 존재가 존재하는 곳(빛) ... 25.2.24. 불한시사 합작시 설명/ 한 마음을 단전에 모으면 동서남북 사방을 지킬 수 있다. 지금 시국이 국민 각자가 한마음이 되어 사방으로부터 이 나라를 수호하여야 한다.(돌) • 불한시사(弗寒詩社) 손말틀 합작시(合作詩) `불한시사(弗寒詩社)'는 문경 ‘불한티산방’에 모이는 벗들 가운데서 시를 쓰는 벗으로 함께 한 시모임이다. 이들은 여러 해 전부터 손말틀(휴대폰)로 서로 합작시(合作詩)를 써 왔다. 시형식은 손말틀 화면에 맞게 1행 10~11자씩 4행시로 쓰고 있다. 일종의 새로운 정형시운동이다.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불한시사 합작시 1돌 합심해야 합작시 가능하네(석) 합심 합작 어느덧 한해라니(빛) 삐친 가지도 하나 된 어울림(초) 시공 넘어 만나고 헤어지네(심) ... 25.3.6. 불한시사 합작시 설명 / ‘시짓기’의 한 가지, 합작시 제안을 할까하오. (1년전 글) 한ㆍ중ㆍ일 시문학 역사에서 공통으로 운자(韻字)에 맞춰 한 자리에서 화답시를 짓거나 한 행씩 주고받는 방식으로 댓구나 합작시를 짓기도 했다. 조선시대 우리의 시조도 서로 화답하며 지었으며, 일본 역시 에도(江戶)시대에 두 사람이 번갈아 한 행씩 읊는 시놀이 곧 ‘연가(連歌)’를 지었다고 한다. 하이쿠(俳句)도 연가의 첫 구(發句 : 5자, 7자, 5자 모두 17자로 구성)만을 독립시켜 ‘바쇼(芭蕉)’가 발전시킨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불한티산방 시벗님 가운데 누군가 먼저 10(~11)자로 된 첫 시구(詩句)를 발구 하면 다른 벗님이 두 번째 구절을 읊고 네 사람이 한 구절씩 읊어 마치면 한 수(首)의 시가 되고, 그리고 시제(詩題)에 따라 공통관심의 연작(連作)도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기승전결(起承轉結)의 정형시로 하지 않으면 완성도가 떨어지기에 손말틀(휴대폰)에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커 피 130년 전 고종이 처음 마신(달) 서양 기호문화의 첫 도입품(돌) 양탕국이라 이름 붙였었네(초) 지금, 검은 욕망의 국민음료(심) ... 25.2.19. 불한시사 합작시 설명/ 우리나라에 커피가 처음 등장한 것은 1896년 ‘아관파천’ 때 러시아 공사관에 피신한 고종이 커피를 처음 마시게 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130년 전의 일이다. 서양에 견주면 아주 최근에 속하지만 근래의 우리나라 커피 붐은 세계가 주목할 만한 수준이다. 동아시아 녹차의 전파 과정이나 음차 전통과는 큰 차이가 나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다. (옥광) • 불한시사(弗寒詩社) 손말틀 합작시(合作詩) `불한시사(弗寒詩社)'는 문경 ‘불한티산방’에 모이는 벗들 가운데서 시를 쓰는 벗으로 함께 한 시모임이다. 이들은 여러 해 전부터 손말틀(휴대폰)로 서로 합작시(合作詩)를 써 왔다. 시형식은 손말틀 화면에 맞게 1행 10~11자씩 4행시로 쓰고 있다. 일종의 새로운 정형시운동이다.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옛날 옛적 서생에서 고래 잡던 반구대와 서생포(돌) 구, 신석기 오래된 삶의 터(심) 자 떠나자 예쁜 고래 잡으러(빛) 바다 저 바다 신화의 동해로(달) ... 25. 2. 17. 불한시사 합작시 설명 / 부산에서 울산 가는 길옆, 바닷가 서생포는 20세기 중반까지 마지막 고래잡이 곧 포경 사업이 존속했던 곳이다. 멀지 않은 곳엔 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에 걸쳐 형성된 것으로 보는 반구대 암각화가 있어 원시시대와 현대를 잇는 놀라운 삶의 연속성을 말해 준다. 최근 이곳에 암각화박물관이 생겨 둘러봤다. (라석) • 불한시사(弗寒詩社) 손말틀 합작시(合作詩) `불한시사(弗寒詩社)'는 문경 ‘불한티산방’에 모이는 벗들 가운데서 시를 쓰는 벗으로 함께 한 시모임이다. 이들은 여러 해 전부터 손말틀(휴대폰)로 서로 합작시(合作詩)를 써 왔다. 시형식은 손말틀 화면에 맞게 1행 10~11자씩 4행시로 쓰고 있다. 일종의 새로운 정형시운동이다.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별자리(天文) 천문을 읽은 전생 생각느니(돌) 뉘 피운 꽃들인가 여기저기(달) 알알이 박힌 아카식 레코드(초) 천문이 인문이고 권좌일세(심) ... 25.2.5.불한시사 합작시 설명 / 산스크리트어로 아카사(akasa)는 우주 허공 하늘을 뜻한다. 아카식 레코드(Akashic Records)는 신비학에서 우주와 인류의 모든 기록을 담은 초차원의 정보 집합체를 의미한다. 혹은 모든 시간과 상념이 명세되어 있는 세계의 기억이자 경로며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의 움직임을 우주공간에 기록함을 가리킨다. 허공록이나 아카사 연대기라고도 불린다. 헬레나 블라바츠키가 맨 처음 주장했다. 천문(天文)학이란 별자리릍 연구하는 학문으로 천문(文=紋)은 하늘의 무늬 곧 밤하늘 별자리를 뜻한다. (초) • 불한시사(弗寒詩社) 손말틀 합작시(合作詩) `불한시사(弗寒詩社)'는 문경 ‘불한티산방’에 모이는 벗들 가운데서 시를 쓰는 벗으로 함께 한 시모임이다. 이들은 여러 해 전부터 손말틀(휴대폰)로 서로 합작시(合作詩)를 써 왔다. 시형식은 손말틀 화면에 맞게 1행 10~11자씩 4행시로 쓰고 있다. 일종의 새로운 정형시운동이다.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길 길이 끝난 곳에서 길이 나네(달) 새 길은 낡은 길 위에 나기도(돌) 없는 길도 가면 길 되는 것을(초) 모든 길은 돌아가고야 말지(심) ... 25.2.1. 불한시사 합작시 설명: 합작시 '길'의 제목을 보는 순간 펠리니의 대표작인 영화 <길>이 문득 생각났다. 끝내 젤소미나를 사랑한 주인공인 잠파노(안소니 퀸)는 바닷가 마지막의 장면에서 회한에 찬 모습으로 삶의 최후를 맞는다 무엇보다 그 영화를 배경으로 "잠파노의 노래"라는 장시를 써서 동아일보에 발표한 초정 김상옥 시인이 떠오른다. 그가 사랑하는 여인이 진해에 살고 있었기 때문이다. 서로 만날 수 없는 사람을 그리워하며 울부짖듯 노래한 시. 40년 전 시인의 감정이 실린 시 낭독, 떨리던 노시인의 음성과 그 표정이 눈에 선하다.(라석) • 불한시사(弗寒詩社) 손말틀 합작시(合作詩) `불한시사(弗寒詩社)'는 문경 ‘불한티산방’에 모이는 벗들 가운데서 시를 쓰는 벗으로 함께 한 시모임이다. 이들은 여러 해 전부터 손말틀(휴대폰)로 서로 화답 시(和答詩)를 써 왔다. 시형식은 손말틀 화면에 맞게 1행 10~11자씩 4행시로 쓰고 있다. 일종의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운때(時運) 산모퉁이 돌자 새길 나오듯(돌) 새길에서 반가운 님을 보듯(빛) 뿌린 대로 때맞춰 피는 것을(초) 가고 오는 세상만사 운때지(심) --- 25, 1. 11. 불한시사 합작시 설명 ; 우리 말에 운때라는 것이 있다. ‘운(運)’이라는 한자어와 우리말 ‘때’ 곧 시간의 합성어이다. 한자말로 다시 바꾸면 ‘시운(時運)’이다. 그때와 운수(運數)가 합해진 말이다. 사람이 살다 보면 좋은 때가 있기도 하고 운수 곧 관운(官運)과 재수(財數)가 닥치기도 한다. 가장 좋은 경우는 때와 운이 만나 교차하는 것이다. 때는 이르렀는데 수(數)가 모자라면 그 수를 채워야만 하고, 수는 꽉 찼는데 때가 되지 않으면 때를 기다려야 일이 이루어진다. 태공망(太公望, 강태공)이 웨이수이강[渭水]에서 80년 동안 곧은 낚시를 한 것도 백세의 재상이 되어 천하를 경영하기 위함이었듯, 시대의 인물과 군자는 그때를 알아서 처신했다. 개인뿐만 아니라 국운(國運)도 마찬가지라할 것이다.(돌) • 불한시사(弗寒詩社) 손말틀 합작시(合作詩) `불한시사(弗寒詩社)'는 문경 ‘불한티산방’에 모이는 벗들 가운데서 시를 쓰는 벗으로 함께 한 시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부(富)의 심리학 물 쓰듯 돈 쓰면 짜릿하겠지(빛) 짜릿함 멈추면 무엇 남는가(돌) 모든 가치는 상대적인 것을(심) 가난이 없으면 부도 없으리(달) ... 24.12.22. 불한시사합작시 *설명 / 중국의 땅끝 하이난(海南)은 성(省)급에 해당하는 큰 섬으로 옛날엔 버려진 땅이자 적거지로 소동파가 3년 동안 이곳에 귀양을 다녀간 이후 더욱 유명해졌다. 지금은 그 반대로 대륙의 돈 있는 자들 호화 별장이 즐비한 휴양의 섬이 되었다. 황학루(黃鶴樓) 금장의 담배 한 상자가 550만 원을 하고 1억 5천만 원 마오타이 술을 마시는 부자를 소개했더니, 한빛이 부(富)의 심리학을 제목과 더불어 시구를 내었다. (돌) • 불한시사(弗寒詩社) 손말틀 합작시(合作詩) `불한시사(弗寒詩社)'는 문경 ‘불한티산방’에 모이는 벗들 가운데서 시를 쓰는 벗으로 함께 한 시모임이다. 이들은 여러 해 전부터 손말틀(휴대폰)로 서로 합작기(合作詩)를 써 왔다. 시형식은 손말틀 화면에 맞게 1행 10~11자씩 4행시로 쓰고 있다. 일종의 새로운 정형시운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