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이 흰 저고리와 치마는 김마리아 열사께서 돌아가시기 전까지 입었던 옷입니다. 70년이 넘은 옷이지요. 이 저고리를 보십시오. 안섶과 겉섶의 길이가 다르지 않습니까? 이것은 일제 고문으로 한쪽 가슴을 잃으셨기에 정상인들이 입는 저고리를 입을 수 없어 특별히 체형을 고려하여 지은 옷이지요.” 이는 그제(18일), 서울 정신여자고등학교(교장 최성이) 내 김마리아회관(kimmaria Hall) 전시실에서 조영호 교감선생님이 한 말이다. 김마리아 열사의 흰 치마저고리가 여러 겹의 포장지 속에서 모습을 드러낼 때 기자도 가슴이 뛰었다. 마치 살아생전의 김마리아 열사를 보는 듯 감격스러웠다. 가슴을 도려내는 고문 속에서도 한 치의 흔들림 없이 꿋꿋하게 지켜낸 조국 독립의 의지에 대해 이날 정신여고를 방문한 우리 모두가내내 숙연한 마음이었다. 그제 18일(화), 서울 정신여고를 방문한 사람들은 일본 고려박물관 전 이사장인 하라다 쿄코(原田京子) 씨와 도다 미츠코(戶田光子) 씨였다. 일본 고려박물관의 조선여성사연구회 회원인 이들은 2박 3일의 짧은 방한 기간 중이었지만 평소 존경해오던 김마리아 열사를 비롯한 수많은 여성독립운동가를 배출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부산의 조숙한 문학소녀 경술국치 치욕의 날 자결한 아버지 뒤를 이어 타오르던 항일 투지 끝내 의열단 투신했었지 톨스토이와 투르게네프를 사랑하는 조선의 피 끓는 혁명가와 맺은 언약 신방에 타오르는 촛불 우국의 횃불 삼아 대륙을 휘저으며 일제에 대적하던 여장부 곤륜산 피 튀는 전투에서 마감한 서른네 해 삶 왜적의 총칼에 날개 꺾였으나 나라사랑 마음 생사 따라 변하지 않아 조국의 빛 찾던 날 피 묻은 속적삼 가슴에 품고 고향 땅 돌아온 남편 슬픔 삭일 때 긴 가뭄 끝 밀양 감전동 하늘에 때맞춰 내리던 단비 대지에 피처럼 스며들던 불굴의 투지여라. - 이윤옥 시 ’부산이 낳은 대륙의 불꽃 박차정’ 가운데- 햇살 따스한 어제(4일) 오후 2시, 칠산동(새주소: 동래구 명륜로 98번길)에 자리한 박차정 의사 생가를 오랜만에 다시 찾아 툇마루에 앉았다. 오월의 따스한 햇살이 부드럽다. 마침 그 자리에는 문화재해설사 주용돈 선생이 나그네를 반갑게 맞이한다. 올해 나이 80살이 믿기지 않을 만큼 정정한 주용돈 선생은 박차정 의사 일가의 독립운동사를 마치 한편의 영화를 보는 듯 들려준다. “박차정 의사의 아버지는 일제 침략에 항거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어머니(장경례 지사)는 광주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현, 전남여자고등학교) 제1회 입학생으로 1928년 11월, 동교생이던 장매성, 박옥련 등 11명과 함께 소녀회(少女會)를 만드셨습니다. 조국독립과 여성해방을 목적으로 조직된 소녀회는 1929년 11월 3일, 광주학생독립만세운동이 일어나자 적극 참여하였고 시위 도중 부상을 입은 학생들을 치료하는 등 큰 활약을 했다고 들었습니다. 이때 어머니 나이 17살 때이셨습니다.” 이는 장경례 지사(1913.4.6.~1997.12.1.)의 따님인 허찬희(83살), 허은회(81살) 자매의 증언이다. 가을 햇살이 따스하던 지난 10월 22일 월요일 낮 3시, 기자는 미리 약속한 장경례 지사의 따님이 살고 있는 수원 광교의 한 아파트를 찾았다. 인형작가인 장경례 지사의 큰 따님인 허찬희 씨 집에는가까이에 살고 있는 동생 허은희 씨도 미리 와서 기자를 기다리고 있었다. 아파트 거실 창 너머로 보이는 호수공원에 짧은 가을햇살이 긴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는 가운데 우리는 어머니 장경례 지사의 학창시절 이야기로 시간 가는 줄 몰랐다. “어머니는 당시 광주학생독립만세운동에 참여했다가 잡혀가는 바람에 박옥
[우리문화신문= 블라디보스톡 이윤옥 기자] 혹한의 땅 만주벌서 떠는 동포의 어린 영혼들 보듬으며 겨레 혼 심어주던 임 살 에이는 시베리아 시린 추위 견뎌내라 다독이던 임 어이타 스물일곱 꽃다운 나이에 이국땅서 숨져갔나요 블라디보스톡 한인촌에 혜성처럼 나타나 여장부의 푸른 꿈 내보이다가 활짝 펴지 못하고 떠나던 날 푸르던 하늘도 구슬퍼 핏빛 비를 뿌리었다네 - 이윤옥 ‘블라디보스톡 한인촌 여장부’- 핏빛 비를 뿌리던 하늘은 언제 그랬느냐는 듯 푸르렀다. 가슴 시리도록 푸르른 하늘 아래, 신한촌 집터를 걸으며 나는 끝내 눈물을 흘렸다. 이인순 지사의 삶의 흔적을 찾아 블라디보스톡 신한촌을 찾은 것은 어제(24일) 저녁 5시 무렵이었다. 아무르바닷물이 회색빛을 띄던 그 시각 신한촌도 서서히 해가 지고 있었다. 신한촌은 1911년 무렵부터 형성된 곳으로 많을 때는 1만명 이상의 한인들이 살던 곳이다. 이곳은 연해주 독립운동의 중심지 역할을 했으나 1937년 한인 강제이주가 시작된 이후 폐허로 변했다. 그 뒤 아파트촌이 들어서서 현재는 당시 한인들의 흔적을 찾아보기 어렵게 변모해버렸다. 하지만 다행스럽게도 아파트촌 한 구석에 '서울스카야 2A'라는 번지를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이번 제73돌 광복절을 맞아 98년 전 배화여학교(현, 배화여자고등학교)에 다니던 이 학교 6명의 소녀들이 독립유공자로 추서되어 기쁩니다. 배화여학교의 독립운동은 3.1만세운동 1주년 때인 1920년 3월 1일 일어났습니다. 당시 배화여학교에는 독립정신이 투철하신 남궁 억(1863-1939, 1977, 독립장 추서), 김응집(1897-1937, 2008, 건국포장 추서), 차미리사(1880-1955, 2002, 애족장 추서)와 같은 민족의식이 강한 교사들이 있었습니다.” 이는 배화여자고등학교 오세훈 교장의 이야기다. 오세훈 교장은 지난 9월 12일 수요일 낮 3시, 미리 약속하고 찾아간 기자를 만세운동 자료실로 안내했다. 배화여고 만세운동 자료실에는 벽면 가득히 만세운동 당시의 사진들이 전시되어 있었고 유리 진열대 속에는 졸업장 등 당시 학생들의 자료들이 진열되어 있었다. 이번 8.15 광복절에 국가보훈처로부터 독립유공자로 서훈을 받은 6명의 배화여학교 출신의 여성독립운동가는 김경화(金敬和), 박양순(朴良順), 성혜자(成惠子), 소은명(邵恩明), 안옥자(安玉子), 안희경(安喜敬) 지사다. 배화여학교의 만세운동은 1919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한탄강 굽이친 물 대대로 철원평야 살찌운 땅 알알이 영글던 겨레의 꿈 조각낸 자들 더는 두고 볼 수 없어 쉰여덟 나이로 피울음 토해내며 기미년 삼월 불꽃처럼 타오른 임의 애국혼 조국은 기억하리 영원히 기억하리 곽진근 (郭鎭根, 1861~1940) 애국지사는 강원도 철원에서 만세운동에 앞장섰다. 철원은 강원지역에서 맨 처음 만세운동이 일어난 곳으로 곽진근 지사는1919년 3월 10일 낮 3시, 농업학교에 모인 철원청년회, 농업학교, 보통학교 등 250여 명의 학생들 앞에서 만세운동을 이끌었다. 서울로부터 전해온 만세운동 소식은 철원지역 학생들의 젊은 피를 끓게 했다. 이들은 읍내 중심인 서문거리로 뛰쳐나가 조선의 독립을 외치며 헌병 분견소 쪽을 향했다. 곽진근 지사는 58살의 고령의 나이임에도 젊은 학생들 앞에서 만세시위를 주도했다. 성결교회 경성성서학원을 졸업한 곽진근 지사는 3·1만세운동이 일어나기 4년 전인 1915년부터 철원장로교회 전도사로 활동하고 있었다. 당시 철원장로교회는 1905년 웰번(E.A.Welbon)선교사가 설립했는데 교회 안에 사립 배영학교를 세워 주민들에게 신문화교육, 육영사업, 군사훈련, 민족정신을 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