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국가보훈처(처장 박삼득)는 ‘제78주년 대한민국임시정부 대일 선전포고 기념식’이 오는 10일(화) 오전 11시,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사)한국광복군동지회(회장 김영관) 주관으로 진행된다. 이날 기념식에는 오진영 서울지방보훈청장, 김원웅 광복회장을 비롯한 원로 애국지사, 독립운동 관련 단체장과 회원, 시민 등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회사 및 축사, ‘대한민국임시헌장’과 ‘대일선전성명서’ 낭독, 국방군악대의 독립군가, 만세삼창 등의 순으로 진행되며, 이어 ‘한국광복군 창군 및 대일선전포고의 역사적 의의’에 대한 학술강연이 있을 예정이다. 참고로, 대한민국임시정부는 일본이 진주만을 습격하여 태평양 전쟁을 일으키자, 1941년 12월 10일에 김구 주석과 조소앙 외무부장 명의로 ‘대일선전성명서(對日宣戰聲明書)’를 발표하고, 우리 민족의 자주독립의지를 세계만방에 드러냈다. 대한민국임시정부「대일선전성명서」 우리들은 3천만 한국인 및 정부를 대표하여 중ㆍ영ㆍ미ㆍ하ㆍ가ㆍ호(中ㆍ英ㆍ美ㆍ荷ㆍ加ㆍ濠) 및 기타 제국의 대일선전을 삼가 축하한다. 그것이 일본을 격파하고 동아(東亞)를 재조(再造)하는 데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나는 그냥 평범한 사람으로 지내고 싶어. 내가 잘 난 사람도 아니고 뭐 큰일 했다고... 남이 알아주면 그것이 좋은 일이지. 지금 이렇게 편하게 살 수 있게 해준 나라에 감사한 거지. 다른 나라의 독립운동가에 대한 복지보다는 덜하다는 게 아쉽지만.” 이는 오희옥 애국지사의 이야기가 담긴 《마지막 증언》 집에 나오는 오희옥 지사의 말이다. 《마지막 증언》(2019.7. 북앤스토리) 은 여성독립운동가 오희옥 지사의 증언을 토대로 박숙현 씨가 쓴 책이다. 오희옥 지사(94)는 생존 애국지사로 구순이 넘은 나이에도 광복군 시절을 증언하는 등 활약하다가 지난해 3월 쓰러져 1년 9개월 째 서울 중앙보훈병원에서 입원 치료중이다. 어제(7일) 네 달 만에 오희옥 지사의 병실을 찾았다. 자주 찾아뵙던 병실을 네 달 동안 찾아뵙지 못했던 것은 기자의 친정어머니가 노환으로 지난 9월 말 돌아가셨기 때문이었다. 언제나 주말이면 병실을 지키는 아드님과 오희옥 지사를 휠체어에 태워 밖이 내다보이는 창가 복도로 나왔다. 지난여름 찾아뵌 이래 가을도 훌쩍 지나버리고 어느새 겨울로 들어선 병원 밖은 잎새를 모두 떨군 황량한 은행나무 가지만 쓸쓸히 서 있었다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대한민국역사박물관(관장 주진오)은 연말을 맞아 올 한해 3․1운동 100년의 기념활동을 돌아보는 현대사 토크콘서트를 연다. 2019년 12월 11일 저녁 7시, 대한민국역사박물관 3층에서 열릴 이번 행사는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의 현대사 구술채록 프로그램인 <토크콘서트 : 한국 현대사를 만나다>의 네 번째이자 올해 마지막 순서로 진행된다. 1919년은 대한독립이이라는 간절한 염원이 함성의 열기로 바뀌어 온 거리를 가득 채운 대한민국 역사상 가장 뜨거웠던 시절이었다. 그로부터 100년이 지난 2019년, 《1919: 대한민국의 첫 번째 봄》의 저자 박찬승 교수(한양대)와 《오늘과 마주한 3.1운동》의 저자 김정인 교수(춘천교대)와 함께 3·1만세운동과 3·1만세운동 100년 기념활동의 의미를 되새겨 보는 자리를 마련한다. 이번 토크콘서트에는 역사학을 전공한 방송인 정재환이 진행을 맡았으며, 장유정 교수(단국대)와 신혜승 교수(연세대)가 3·1만세운동의 기억과 기념이 담긴 음악 공연을 펼친다. 토크콘서트 참가 신청은 선착순 모집으로 박물관 누리집 링크를 통해 할 수 있다. 신청은 누구나 할 수 있고 별도의 참가비는 없다. 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