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지구에서 달에게 이 편지를 씁니다 수십억 년 세월 중 한순간을 살지만 살기가 매우 어렵다는 소식을 전합니다 코비드는 우연히 생긴 병이 아닙니다 인간의 끝이 없는 욕망이 원인입니다 지구가 매우 심하게 오염되었기 때문이죠 생명체가 살기에 달세계는 어떤가요? 인간이 살 수 있는 길을 찾고 있습니다 그래서 우주선 편에 이 편지를 띄웁니다 ...... 달에게, 구충회 미국에 사는 한국인이 쓴 시조다. 이 시조가 지난주 달에 도착했다. 메모리 카드에 담겨 우주선을 타고 달에 착륙한 것이다. 메모리 카드에는 우리 말 시조뿐 아니라 영어로 쓴 시조도 들어있다. I saw the pale crescent moon when I learned of mom’s passing. Halfmoon, smudged by the night cloud, gazed at me when dad departed. Dear moon, with your caressing smile, who are you comforting tonight? ...... Moon, Lucy Park 루시 박이라는 여성이 쓴 영어시조다. 3행으로 되었다. 시조 형식으로 번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1909년 10월 26일 하얼빈역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암살한 안중근 의사는 이듬해 2월 14일 중국 여순의 일본 관동군 관할 법정에서 사형선고를 받고 감방으로 돌아와 이렇게 말했다. "재판은 생각했던 대로 결말이 났지만, 동양의 대세를 설득해서 동양평화정책을 주장하려고 했는데, 수포로 돌아가고 말았다. 통탄스러운 일이다. 하지만 일본의 4천 만인(당시)이 안중근이란 이름을 크게 부르는 날이 머지않아 다가올 것이다. 이 같은 백년의 풍운은 언제나 그칠 것인가?" 안중근을 우리 역사에 크게 부각시킨 분은 역사학자로 알려진 박은식 씨다. 안중근과 같은 황해도 출신으로 일찍이 안중근의 아버지 안태훈과도 교류했던 박은식 씨는 역사학과 함께 항일운동에 뛰어들어 상해 임시정부의 2대 대통령을 지낸 분이기도 하다. 그의 저서 《한국통사》는 나라를 잃은 우리 민족의 아픈 역사를 정리한 명저로 유명한데 거기에서 안중근 의사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역사에 근거하여 안중근을 평가할 때 대한 사람은 몸 바쳐 나라를 구한 지사라 하였고 또는 한국을 위해 복수한 열렬한 협객이라고 하였다. 나는 이런 찬사에 그친다면 미진한 바가 있다고 생각한다, 안중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울릉도 동남쪽 뱃길 따라 200리 외로운 섬 하나 새들의 고향 그 누가 아무리 자기네 땅이라고 우겨도 독도는 우리땅(우리땅) 경상북도 울릉군 남면도동 1번지 동경 132 북위 37 평균기온 12도 강수량은 1300 독도는 우리땅(우리땅)♬♩ 1982년 6월부터 방송을 통해 불리기 시작한 이 노래 「독도는 우리 땅」, 이 노래를 듣고 따라 부르지 않은 우리 국민은 없을 것이다. 짧은 4행시 가사가 이어지며 그 행 마지막에 ‘독도는 우리 땅’ 후렴구는 다시 ‘우리 땅’이란 코러스로 받는 이 노래는 경쾌한 동요풍으로서 아무리 들어도 지겹지 않고, 금방 따라 부르며 독도에 대한 우리들의 인식을 바꾸는 국민가요가 되었다. 이 노래를 작사 작곡한 분은 방송국 피디였던 박인호 씨다. 본명이 박문영으로 고등학교 때 현악반 반원으로 필자의 1년 선배였던 박인호 씨는 이 노래가 크게 히트한 이후 1990년에는 <우리 역사를 빛낸 100명의 위인들>이란 노래를 다시 잇달아 발표해 역시 큰 인기를 끌었다. 이 노래의 2집 합창단으로 참여한 서선택 씨는 이후 방송국 레크레이션 진행자였던 자신의 운명을 바꾸었다. 서 씨는 자신의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눈 내리는 밤 숲 가에 멈춰 섰다 이게 누구의 동네인지 나는 알 것도 같다. 그는 모를 것이다. 내가 여기 멈춰 서서 눈 덮인 그 동네를 보고 있는 것을. 내 조랑말은 농가 하나 안 보이는 곳에 일년 중 가장 어두운 밤 숲과 얼어붙은 호수 사이에 이렇게 멈춰 서 있는 걸 이상히 여길 것이다. 무슨 착오라도 일으킨 게 아니냐는 듯 말은 흰 입김을 내뿜으며 주인의 결정을 기다린다. 그르릉 하는 엔진 소리 외에는 솔솔 부는 바람과 솜처럼 부드럽게 눈 내리는 소리뿐...... 내가 좋아하는 미국 시인 로버트 프로스트의 시를 패러디해서 시 한 수 베껴보았다. 조랑말(pony)이란 표현을 자동차로 대치하면 그게 어느 눈 내리는 겨울 저녁 날 나의 추억이다. 이 시의 주인공은 내가 아니라 나의 자동차다. 그것을 몰고 밤길을 가다가 문득 차를 세우고 건너편 산자락과 마을을 보며 흰 눈에 덮이는 경치를 감상한 것인데 그때가 다시 생각이 난 것은 이제 이 자동차와 이별했기 때문이다. 12년 반 동안 쓰던 자동차다. 한 미국 자동차 판매사가 2012년 말 연말 할인행사에 맞춰 생각보다 저렴하게 차를 팔기에, 미국 사람들이 우리나라 자동차를 많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매서운 강추위가 이어지던 지난 일요일은 무슨 날인가요? 우리는 특별한 날이 아니지요. 그런데 미국에서는 이날이 세계 결혼의 날(World Marriage Day)이네요. 해마다 2월 둘째 일요일이랍니다. 다른 말로 세계 결혼기념일이라고도 하겠는데 결혼의 중요성을 서로 더 많이 알고 성공적인 결혼생활을 위해 모두가 참여해서 가꾸어나가자는 뜻에서 미국을 중심으로 한 여러 나라에서 기리며 관련 행사도 많이 한다고 합니다. 우리들이 평소에 무슨 무슨 기념일을 많이도 챙기지만, 결혼의 날이라고 결혼을 공개적으로 기념하는 날도 있다니 조금은 민망합니다. 결혼기념일이라고 하면 아무래도 결혼생활을 잘 하자는 다짐 같은 것으로 생각되는 데 그만큼 현대에 결혼생활이 순탄치 않은 사람들이 많으니 이런 날도 생긴 것일까요? 처음 시작된 게 1981년 미국 루이지애나주의 바톤루지라는 도시이고, 그곳에 사는 몇몇 결혼한 카톨릭 신자 부부들(당연히 모범적인 부부들일 것이겠는데)이 2월14일 발렌타인데이를 '우리가 결혼을 믿는 날( We Believe in Marriage Day)로 선포해달라고 그 도시의 시장과 주지사, 교구의 주교에 요청하는 운동을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마침내 그 불상이 본래 있던 자리로 돌아가게 되었다. 처음 일본 쓰시마(對馬島)의 간논지(觀音寺)라는 절에서 우리 국내 절도단에 의해 강제로 한국으로 옮겨진 지 13년 만이고, 이 불상의 소유권에 대해 우리 법원이 마지막으로 일본 쪽 손을 들어 준 뒤에도 1년 반이 지나서이다. 알려진 대로 우리 국민 몇 사람이 2012년 10월 초 일본 쓰시마(對馬島)의 간논지(觀音寺)에 들어가 절에 모셔져 있던 높이 50.5cm의 금동관음보살좌상을, 가이진(海神) 신사(神社)에서는 38.2cm의 동제 보살입상을 훔쳐 부산을 통해 국내에 밀반입하였다. 도난 사실을 안 일본의 수사 의뢰를 받은 우리 정부는 석 달 만인 이듬해 1월 범인들을 검거하고 마산의 한 창고에 보관 중이던 불상들을 회수했다. 범인들은 징역 1년에서 4년 형을 선고받았다. 두 점의 불상 가운데 가이진 신사 보살 입상은 국내에서 소유권을 주장한 사람이 없어 2015년 반환되었지만 14세기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어 일본에서 1973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금동관음보살좌상은 충남 서산 부석사가 “원래 우리 불상이니 돌려달라”고 요구하면서 소유권 분쟁이 시작됐다. 부석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영국의 수필가 찰스 램은 사람마다 모두 생일이 둘이라고 말한다. 한 번은 각별한 생각으로 축하를 주고받는 자기의 생일이라는 날이고 다른 하나는 새해의 탄생이란다. 이날을 기점으로 누구나 자기의 시간을 셈해보고 남은 날을 헤아리기에 이날이 우리 인류 공동의 생일이란다. 우리 한국인에게는 설이 두 번이 있다. 양력으로 1월 1일 새해가 그것이요, 음력으로 1월 1일 설날이 그것이다. 양력의 설은 (요즘엔 그냥 새해 첫날이라고만 부르고 설은 음력에만 쓰는 것이 보통이지만) 글자 그대로 지구가 태양을 한 바퀴 돌아 365일 만에 맞는 새날이요, 음력으로 맞는 설은 달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해서 마음으로 맞는 새해다. 우리는 이미 한 달 전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라고 덕담했지만, 다시 음력의 설에도 새해 복 많이 받으시라는 덕담을 나눈다. 어릴 때는 뭐 새해를 두 번이나 맞고 인사를 두 번이나 올리냐고 쑥스러워했지만, 양력 1월 1일을 하루만 쉬게 하고 음력설을 앞뒤 사흘쯤 쉬게 하니 음력으로 맞는 1월 1일이 진정으로 새해의 기쁨을 가정과 이웃 친지들과 함께 나는 명절이자 잔치 날이 되고, 그러다 보니 새해 덕담을 두 번 하면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우리가 흔히 대만이라고 읽고 중국 발음으로는 타이완(臺灣)이라고 하는 이 작은 섬나라를 생각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1949년 중국 대륙을 모택동(毛澤東 마오쩌둥)의 공산당 세력에 내주고 섬나라로 내려온 장개석(蔣介石, 장제스)과 국민당 정권일 것이지만 관광으로 대만을 가는 이유가 무엇이냐고 물으면 아마도 세계적인 박물관으로 꼽히는 고궁박물원이 있기 때문이라고 말하는 분들이 많을 것이다. 이 박물관의 소장품의 수는 70만 점이나 되어 영국 런던의 영국박물관, 프랑스 파리의 루브르박물관, 러시아 페테르부르크의 에르미타쥬 미술관과 함께 세계 4대 박물관이라고 하기도 하고 미국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박물관을 넣어 5대 박물관이라고도 하는데 어떻든 유물이 그만큼 엄청나게 많다는 것이고 워낙 유물이 많아서 박물관에서는 3달에 1번씩 전시하는 소장품을 교환 전시하고 있는데도 모든 소장품을 관람하려면 8년 정도 걸린다고 한다. 그런 점들이 대만 관광의 포인트로서 관광객들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킨다. 흔히들 고궁박물관이라고 말하지만, 정식 이름은 국립고궁박물원(國立故宮博物院)으로 대만(정식 국호는 중화민국)의 행정원 산하기관이다. 잘 알다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1949년10월1일 중국공산당의 지도자인 마오쩌둥(毛澤東)은 북경의 천안문광장 높은 문 위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의 건국을 정식으로 선포했다. 중국 대륙의 주인공이 완전히 바뀌었음을 세계에 알린 것이다. 공산당과의 전쟁에서 패한 장제스( 蔣介石)는 그해 12월에 대만(臺灣)으로 옮겨와 중화민국의 성립을 알렸다. 그리고 대만의 중화민국이 유엔에서 나오고 그 자리에 중화인민공화국이 대신 들어감으로써 대만의 중화민국은 국제사회에서 독립국이 아니라 중국의 속국 신세로 주저앉았다. 중화민국 총통을 지낸 장세스(蔣介石)를 우리는 예전에 장개석으로 불렀다. 원래 이름은 장중정(蔣中正)이고 개석(介石)은 자(字)인데 흔히 장개석으로 통용되었다. 대만 발음도 장개석에 가깝다. 그 뒤 중국 보통화의 독법대로 이름이 장제스로 바뀌어 불린다. 그래도 나 같은 사람은 예전대로 장개석으로 부르는 것이 편하다. 마찬가지로 타이완(臺灣)도 대만으로 표기한다. 1989년 6월4일 중국 북경에서는 천안문 사건이 발생해 중국 정부에 대해 민주화를 요구하며 광장을 메우고 있던 대학생들이 중국 인민해방군의 강제진압에 의해 많은 사상자를 내며 진압되었는데 당시 한달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눈을 들어 앞을 보니 8개의 기둥이 수평으로 길게 늘어져 있다. 기둥 사이 7칸의 공간이 하나하나 병풍의 면처럼 보인다. 둥글넓적한 자연 그대로의 돌을 다듬지 않고 주춧돌로 놓고 그 위에 기둥을 세운 <덤벙주초>의 누각 건물, 2층에는 마루를 깔았다. 정면이 7칸이지만 측면은 2칸이니 우리나라에서 가장 길쭉한 건물이라고 하겠다. 이 건물이 만대루(晩對樓)다. 이 만대루가 새해부터 사람들의 주목을 받았다. 모 방송국에서 드라마를 찍으면서 만대루에 소품으로 청사초롱을 걸어놓기 위해 기둥에 못을 박은 것이 알려졌기 때문이다. 당연히 난리가 났다. 어떻게 보물로 지정된 문화재에 못질을 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드라마 제작진의 부주의 혹은 실수에 대한 질책이 쏟아졌고 이 문화재를 관리 감독하는 사람들에 대한 책임문제도 거론되었다. 그런데 만대루는 뭐 하는 곳이고 만대루는 무슨 뜻인가? 만대라, 늦을 ‘만(晩)’, 마주볼 ‘대(對)’, 늦게까지 마주 본다라는 뜻이란다. 무엇을 마주 볼까? 만대루 앞에는 강이 흐르고 강 건너가 병산(屛山이다. 병풍산이란 이름 그대로 만대루 앞에 산이 병풍처럼 수직으로 펼쳐져 있다. 나무계단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