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3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우리문화 톺아보기

전체기사 보기


원숭이, 농익은 포도넝쿨 사이를 뛰놀다

‘백자 철화 포도원숭이무늬 항아리’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단정하면서도 넉넉하게 생긴 항아리 표면에 새겨진 능숙한 화원(畫員)의 솜씨로 보이는 무늬가 한 폭의 그림을 보는 듯합니다. 철화(鐵畫) 물감으로 그린 그림은 물감이 바탕흙[胎土]에 스며드는 성질 때문에 뭉그러진 부분도 있지만, 오히려 묵화(墨畫) 같은 깊은 감흥을 불러일으킵니다. 한쪽 면에는 포도 넝쿨 사이에서 노니는 원숭이 한 마리가 보입니다. 조선 철화백자의 대표작으로 손꼽히는 작품입니다. 몸체가 어깨부터 둥글게 부풀어 올랐다가 허리부터 서서히 좁아져 바닥에서 약간 벌어진 모습의 항아리입니다. 입 부분은 곧고 낮게 만들었는데, 이와 같은 형태는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전반에 만들어졌던 항아리들의 특징입니다. 철화 물감을 사용해 입 둘레에 연속적인 무늬를 장식하고, 어깨에서 허리 부분에 걸쳐 능숙한 필치로 포도와 넝쿨을 그려 넣었습니다. 원래 철화 물감은 태토에 스며드는 성질이 강한데, 이 작품의 경우 물감이 너무 많이 묻어서 포도와 잎이 엉켜 버렸습니다. 그러나 그림을 그린 화원의 성숙한 필력(筆力)과 적절한 구도는 살펴볼 수 있지요. 장인(匠人)이 정성 들여 수비(水飛, 곡식의 가루나 그릇을 만드는 흙 따위를 물에 넣고

재일동포 김석출 화백 기증, 유관순 그림 특별전

천안시 삼거리갤러리에서 9월 17일부터 23일까지 <맛있는 일본이야기 740>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광복 80ehf을 기fl고 유관순 열사의 나라사랑 정신을 되새기는 아주 특별한 전시가 충남 천안의 삼거리갤러리에서 9월 17일(수)부터 23일(화)까지 열린다. 전시 이름은 <재일동포 김석출 화백 유관순 열사 그림 특별전시회>다. 재일동포 화백이 유관순 열사 그림을? 이라고 생각할 사람들이 있겠지만 1949년 일본 기후현 출신인 김석출 화백(76)은 일본에서는 이름이 널리 알려진 유명한 작가다. “독립운동가 사진이라고 하면 그 전까지는 끔찍한 고문을 당해 퉁퉁 붓고 무표정한 얼굴을 한 수형자카드의 사진이 거의 전부였습니다. 제가 유관순 열사를 그리게 된 계기는 1993년 서울서림에서 출판된 동화책 『조선의 잔다르크:유관순』을 쓴 아동문학가 나카무라 오사무 글에 삽화를 그리면서부터입니다. 그 뒤 2001년, 한국에 유관순 열사의 초상화가 몇 점밖에 없을뿐더러 고문으로 부어있는 모습이 안타까워 유관순 작품을 제작하기로 결심했습니다” 라고 말하는 김석출 화백의 유관순 열사 작품 32점이 천안 유관순열사기념관에 기증되었다. 이 작품들은 광복 80돌을 기리는 뜻에서 <재일동포 김석출 화백 기증, 유관순 열사 그림 특별전시회

득인위최(得人爲最, 인재를 얻는 것이 먼저 할 일

사자성어(四字成語)로 보는 세종의 사상 44

[우리문화신문=김광옥 수원대 명예교수] 세종은 정치를 펴는 데 있어서 제일 먼저 해야 할 일로 인재들을 모으고 합당한 임무를 주고 뒤에서 보조해 주는 데 있었다. 임금이 인재등용의 중요성에 대해 이조에 전지한다. 이조에 전지하기를, "정치하는 요체는 인재를 얻는 것이 가장 먼저 할 일이다. 관원이 그 직무에 적당한 자면, 모든 일이 다 다스려지나니, 그 직위에 있는 동반 6품과 서반 4품 이상으로 하여금 현직이나 해직 중을 가리지 말고 슬기로움과 씩씩함이 뛰어나서 가히 변방을 지킬 만한 사람과 공정하고 총명하여 가히 수령직에 대비할 수 있는 자와, 사무에 능숙하고 두뇌가 명석하여 극히 번거로운 자리에 감당할 수 있는 자 3명을 각각 천거하여 임용에 충당하게 하되, 혹 그 인재를 알기 어렵거든 과목마다 반드시 각기 한 사람씩을 찾아서 구할 것 없이 다만 아는 대로 〈쓸 만한 사람〉 3인을 천거하게 하라. 만약 사정에 따라 잘못 천거하여, 〈그 사람이〉 재물을 탐하고 정사를 어지럽게 하여, 그 해가 백성에게 미치게 한 자는 율문을 살펴서 죄를 과하되, 조금이라도 가차 없게 하라." 하였다. (⟪세종실록⟫5/11/25) 인재 추천을 통해 임용에 임하되 정사를 어지

서도좌창 <초한가>는 초(楚)와 한(漢) 전쟁 이야기

[서한범 교수의 우리음악 이야기 748]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만고영웅 호걸들아 초한 승부(楚漢勝負) 들어보소. 절인지용(絶人之勇) 부질없고 순민심이 으뜸이라”로 시작하는 서도 좌창, 초한가(楚漢歌>는 초(楚)패왕 항우와 한(漢)패공, 유방(劉邦)의 전쟁 이야기이다. 이 싸움에서 항우가 패하고, 유방이 이긴 내용을 서도특유의 창법으로 부르는 노래가 바로 초한가인데, 그 첫대목의“절인지용 부질없고 순민심이 으뜸”이라는 말이 우리를 감동시키는 것이다, 곧 남이 따를 수 없을 만큼 뛰어난 용기도 중요하지만, 그보다는 백성들 마음에 순응하는 순민심(順民心)이 더더욱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는 말이어서 더더욱 감동적이다. 상대의 마음에 순응하여 그들의 마음을 얻는 일, 그 일이 어찌 전쟁이나 정치에만 한정되는 말일까? 우리의 일상에서도 수없이 확인되는 대상이 분명하다. 다시 말해 아주 사소한 일이라도 매사가 상대의 마음을 얻지 못한다면, 나와 그가 진정으로 통하는 길은 없기 때문이다. 각설하고. 지난번 인천에서 개최된 2025년도 <유춘랑 서도소리 발표회> 무대에서 그의 선창(先唱)으로 시작한 서도좌창, <초한가(楚漢歌>는 초와 한나라의 싸움을 주제로 부르는 노래

경주 노서동 금팔찌

가족들이 전하는 마지막 인사 [큐레이터 추천 소장품 136]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삼국시대 팔찌는 주로 무덤에서 출토되는데, 무덤에 묻힌 사람의 신분과 사회적 지위에 따라 팔찌의 재질이나 수량이 달라집니다. 왕족 무덤에서는 금, 금도금, 은으로 만든 팔찌가 같이 나올 때가 많고, 그보다 지위가 낮은 사람의 무덤에서는 은 또는 구리로 만든 팔찌가 적지 않게 확인됩니다. 특히 많은 수의 팔찌가 확인된 곳은 신라의 왕경(王京)이었던 ‘경주’로, 5~6세기 경주 곳곳에 만들어진 돌무지덧널무덤[적석목곽묘, 積石木槨墓]에서 수십 점의 팔찌가 출토되었습니다. 오늘날에는 돌무지덧널무덤에서 출토된 다양한 껴묻거리(부장품)를 통해 무덤에 묻힌 사람의 신분과 위계가 각기 달랐다는 데 대부분 동의합니다. 국립박물관에서 찬란한 빛을 뽐내고 있는 금관과 금제 허리띠, 금귀걸이와 금팔찌, 금반지 등은 모두 마립간(임금)과 부인, 자식 등 가족의 무덤에서 출토되었습니다. 황남대총과 금관총, 서봉총, 천마총, 금령총 등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무덤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가장 화려한 신라 목걸이, 그리고 ‘금팔찌’ 하지만 금관이 출토되지 않은 무덤에서 금팔찌가 확인된 예도 있습니다. 경주 노서리 215번지 무덤이 바로 그 주인공입니다. 일제강

오오타 준이치의 "반도의 스케치 1985' 전

인천관동갤러리에서 9월12일부터 10월 19일까지 <맛있는 일본이야기 739>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40여 년 전, 나는 오사카시 이쿠노구에 위치하는 ‘이카이노’라고 하는 동네를 다니면서 사진을 찍기 시작했습니다. 거기는 재일교포가 많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일본인인 나와는 다른 문화를 가진 사람들의 일상생활을 기록으로 남기고 싶었습니다. 때마침 교포 2세 3세 젊은이들이 남북 입장 차이를 넘어 하나가 되어 민족 문화와 마음을 지켜가자고 '이쿠노 민족문화 축제'를 개최하려고 했었고, 이카이노에는 그 준비에 분주한 그들의 열기가 소용돌이치고 있었습니다. 2년이 지난 1985년 여름, 나는 그들의 부모님, 조부모님이 태어난 ‘고국’이 어떤 곳인지 궁금해서 한국을 찾았습니다. 대도시 서울을 피해 첫 목적지로 택한 곳은 경주와 부산이었습니다. 불과 1주일간의 짧은 여행이었지만, 나에게는 처음 접하는 외국이었고, 무척 긴장하면서 혼자 거리를 헤매면서 커다란 문화 충격을 마음껏 겪었습니다. 낯선 곳을 찾아 거기 사람들 사이에 끼어들 때, 나에게는 ‘통행 어음’과 같은 사진기가 있었습니다. 나는 떠나기 전 벼락공부로 외운 한국어 “사진을 찍어도 좋습니까?”를 반복하면서 셔터를 눌렀습니다." -오오타 준이치- 오는 9월 12일부터 인천관동갤러리

학살된 조선인 위한 치바현 관음사의 종루 보수 완공

일본 관동대학살 (關東大虐殺)로 희생된 조선인을 추모하며 <맛있는 일본이야기 738>

[우리문화신문= 이윤옥 기자] 지난 8월 26일(화), 일본 치바현 야치요시 다카츠 (千葉県八千代市高津)에 있는 일본 조동종사원 (曹洞宗寺院)인 관음사(観音寺)에서는 한일 두 나라 시민이 참석한 가운데 아주 뜻깊은 행사가 열렸다. 이날 행사는 1923년 9월 1일 관동대지진을 틈타 8일(5명), 9일(1명) 조선인이 일본의 자경단(自警團)에 의해 학살되었는데 이들을 위무하기 1985년 세운 종각의 개보수가 필요하여 한일 양국의 시민들이 합심하여 개보수를 마친 기념으로 <조선인 희생자 위령 종루 '보화종루' 개수완공기념식(朝鮮人犠牲者慰霊の鐘楼 「普化鐘楼」 改修完工記念式)>을 연 것이다. 26일 오후 3시부터 관음사 경내의 보화종루(普化鍾樓) 앞에서 거행된 이날 행사는 2부로 나뉘어 진행되었는데 1부의 시작은 관음사 세키 타쿠마(関琢磨) 주지가 보화종루에 꽃을 바치는 개안공양(開眼供養)을 시작으로 조화선 선생의 살풀이춤으로 이어졌다. 이어서 관음사가 자리한 야치요시(八千代市)의 시장 및 다카츠 특별위원회 위원장(高津特別委員会委員長) 등의 인사가 있었고, 한국측 대표로 유라시아문화연대 신이영 이사장의 축사가 이어졌다. 곧이어 개보수된 보화종루 안에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