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내일(22일)은 24절기 가운데 스무째인 소설입니다. 절기 이름이 작은 눈이 내린다는 뜻으로 소설(小雪)인데 추위가 시작되기 때문에 겨울 채비를 하는 때입니다. 그러나 한겨울에 든 것은 아니고 아직 따뜻한 햇살이 비추므로 작은 봄 곧 소춘(小春)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때는 평균 기온이 5도 아래로 내려가면서 첫 추위가 옵니다. 그래서 “초순의 홑바지가 하순의 솜바지로 바뀐다.”라는 속담이 전할 정도지요. 그런가 하면 “소설 추위는 빚을 내서라도 한다.”라는 속담이 있으며, 소설에 날씨가 추워야 보리농사가 잘 된다고 믿었습니다. 또 사람들은 소설 전에 김장하기 위해 서두르고, 여러 가지 월동 준비를 위한 일들에 분주합니다. 시래기를 엮어 달고 무말랭이나 호박을 썰어 말리고, 목화를 따서 손을 보기도 하며, 겨우내 소먹이로 쓸 볏짚을 모아두기도 하지요. 참고로 같은 동아시아권인 중국과 일본의 소설 풍습 가운데 재미난 것을 알아보겠습니다. 중국 북방 지역에서는 영양 보충과 체온을 높이기 위해 만두, 고기 등을 먹습니다. “겨울엔 따뜻한 음식으로 기를 보한다(补冬)”라는 관념 때문입니다. 그런가 하면 일본은 “츠케모노(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서도좌창 <제전(祭奠)>에 관한 이야기를 하였다. 독백(獨白)형식의 넋두리로 시작하던 노래였다는 이야기부터, 함종은 서도소리의 중시조 김관준(金官俊)이 태어난 곳이며, 그는 재담(才談)과 배뱅이굿을 정리해서 김종조(金宗朝), 최순경(崔順景), 이인수(李仁洙) 등에게 전해 주었고 용강지역은 <긴아리>의 발생지로도 유명한 곳이라는 이야기, <제전>은 푸념조에 이어 창(唱)이 이어졌던 노래였고, 상차림에는 여러 제수들이 올려졌는데, 술 종류도 다양해 <이백의 기경 포도주>, <낙화주(落花酒)> <송엽주(松葉酒>, <도연명의 국화주(菊花酒>, <천일주(千日酒> <감홍로(甘紅露> <홍소주> <청소주>, <약주(藥酒)술> 등이 나온다는 이야기를 했다. 특히 끝부분에 나오는 “왜 죽었소, 왜 죽었소. 옥 같은 나 여기 두고 왜 죽었단 말이요”를 외치는 한 여인의 한 맺힌 절규가 특유의 가락을 타고 흐르면, 듣는 이들은 눈시울을 적시지 않을 수 없다고 이야기하였다. 이 노래를 통해 ‘인생이란 참으
[우리문화신문=김광옥 수원대 명예교수] <조선왕조실록>에 풍운뢰우(風雲雷雨)는 87번이나 등장한다. 이후 문장은 기우제나 산천제와 연결되는 문장이다. * (풍운뢰우제에 쓸 향과 축문을 전하다) 임금이 풍운뢰우제(風雲雷雨祭)에 쓸 향과 축문을 친히 전하였다. (⟪세종실록⟫6/2/3) ‘기우제(祈雨祭)’란 낱말은 모두 822건 등장하는데 세종 때 92건, 숙종ㆍ영조 때도 90여 건이 된다. 세종 때 가뭄이 심한 탓도 있었겠지만 단지 비만의 문제가 아니라 비에 대비한 간척, 저수지, 수로 문제 등 여러 일과 연결되어 있으며, 세종 때 농사에 관해 관심이 컸다는 방증도 되겠다. 세종 때를 중심으로 비에 관한 기사들을 보자. * (풍우 재앙이 심한 영춘ㆍ단양에 조세를 면제하다) 충청도 도관찰사 이종선(李種善)이 계하기를, "영춘(永春)ㆍ단양(丹陽)에 풍우(風雨)의 재앙이 다른 고을보다 배나 되어, 손실(損失)이 8, 9분에 이르렀으니, 원하옵건대, 금년 조세(租稅)는 한 섬[石] 이하의 것은 면제하여 주기를 비옵나이다." 하여, 그대로 따랐다. (⟪세종실록⟫4/10/5) * (장마가 계속될 것 같아 밀·보리가 성숙하는 대로 재촉하여 베게 하다) 경기 감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