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수업 명예교수] ‘고맙다’는 아무리 많이 들어도 귀가 아프지 않고 늘 반가운 낱말 가운데 첫손 꼽힐 것이다. 그런데 일제 침략 뒤로 일본 한자말 ‘감사하다’에 짓밟히고, 광복 뒤로 미국말 ‘땡큐’에 밀려서 안방을 빼앗기고 내쫓겨 요즘은 목숨마저 간당간당한다. 우리말을 아끼고 가꾸려는 뜻을 굳게 세우고 생각의 끈을 단단히 다잡는 사람이 아니면 입에서 ‘감사하다’ 소리가 절로 나오고, 새로운 세상에 남보다 앞장서려는 사람들 입에서는 ‘땡큐’ 소리까지 보란 듯이 쏟아져 나오기 때문이다. ‘고맙다’는 ‘곰’에서 말미암았다. 단군 이야기에 단군을 낳으신 어머니로 나오는 ‘곰’, 굴 속에서 쑥과 마늘만 먹으며 백일기도를 드리고 마침내 사람으로 탈바꿈하여, 하늘에서 내려오신 환웅의 아내가 되어 단군을 낳았다는 바로 그 ‘곰’이다. 이 곰은 본디 하늘 위에서 온갖 목숨을 세상으로 내려보내고 해와 달을 거느려 목숨을 살리고 다스리는 하늘 서낭[천신]과 맞잡이로, 땅 밑에서 온갖 목숨을 세상으로 밀어 올리고 비와 바람을 다스려 목숨을 살리고 북돋우는 땅 서낭[지신]의 이름이다. 이런 땅 서낭 ‘곰’을, 우리 글자가 없던 시절의 《삼국유사》에서는 ‘熊(곰 웅
[우리문화신문=김수업 명예교수] ‘거짓말’은 왜 하는 것일까? 거짓말의 첫걸음은 스스로를 지켜서 살아남으려는 마음에서 비롯한다. 사람뿐 아니라 목숨 있는 모든 것은 배우지 않아도 스스로를 지켜서 살아남으려고 안간힘을 다한다. 그런 안간힘으로 스스로를 지킬 수 있는 마땅한 길을 찾아 익히며 살아남는다. 거짓말은 사람이 스스로를 지켜서 살아남으려고 안간힘을 다하며 찾아낸 속임수 가운데 맨 첫걸음이다. 사람은 세상으로부터 저를 지켜야 한다는 것을 알아차린 때에 무엇보다 먼저 거짓말을 방패로 삼는다. 세상이 저를 못살게 군다는 것을 알아차리면, 사람은 맨 먼저 거짓말이라는 속임수로 스스로를 지키려 든다. 이러한 것은 말을 마음대로 하고 들을 수 있으며 집 밖에 나가서 이웃 아이들과 어울리면서 세상이 무섭다는 것을 배우는 때, 곧 너덧 살 때부터 비롯한다. 그러나 거짓말은 이런 첫걸음에서 그치지 않는다. 거짓말의 둘째 걸음은 속임수가 먹혀들어 갔을 적에 돌아오는 야릇한 기쁨을 맛보려는 마음에서 비롯한다. 견디기 힘든 어려움이나 참기 어려운 괴로움에 빠져 헤어날 길이 없을 적에, 세 치 혀로만 내뱉는 손쉬운 거짓말 한마디로 거뜬히 거기서 벗어나면 그때 돌아오는 기쁨
[우리문화신문=김수업 명예교수] ‘가시버시’는 요즘 널리 쓰이지 않는 낱말이다. 그런데 누리집에 가보면 이것을 두고 말들이 없지 않다. 우리 토박이말을 알고 싶은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자주 쓰지 않는 토박이말이 이야깃거리가 되어서 그런가 보다. 이것은 참으로 반가운 노릇이다. 그런데 누리집에서 오가는 말들이 국어사전의 풀이 때문에 큰 잘못으로 빠지는 듯하다. 낱말의 뜻을 국어사전이 잘못 풀이하면, 그것은 법률의 뜻을 대법원이 잘못 풀이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바로잡을 길이 없다. 그런데 ‘가시버시’가 바로 그런 꼴이 되어 있다. 1) 부부. 2) ‘부부’를 속되게 이르는 말. 3) ‘부부’를 낮잡아 이르는 말. 세 국어사전이 ‘가시버시’를 이렇게 풀이해 놓았는데 모두들 잘못 풀이한 것이다. 우선 ‘속되게 이르는 말’이니 ‘낮잡아 이르는 말’이니 하는 것부터 잘못 짚은 것이다. 알다시피 우리는 상스러운 말과 점잖은 말을 가려 써야 한다는 가르침을 줄곧 받았고, 두 국어사전에서 말하는 ‘속되다’, ‘낮잡다’는 것은 곧 상스럽다는 뜻임에 틀림없다. 그러니까 ‘부부’는 점잖은 말이거나 적어도 여느 말인데, ‘가시버시’는 그것을 속되게 이르거나 낮잡아 이른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