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창수기자] [옛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97-아득한 옛날,걸다,어른,겨루다 [우리한글박물관 김상석 관장 도움/ (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은4284해(1951년)펴낸‘우리나라의 발달6-1’의7, 8쪽에서 캐낸 토박이말을 보여드립니다. 이 꼭지 글을 죽 보신 분들은 저와 비슷한 느낌을 가지실 거라 믿습니다.이제까지 봐 온 다른 배움책과 좀 다른 것을 말입니다.다른 배움책에서는 요즘 안 쓰는 토박이말 낱말(단어)을 찾아 보여드렸는데 여기는 낱말보다 쉬운 월과 토막이 참 많습니다. 7쪽 둘째 줄에‘우리 겨레가 이룬 이런 작은 나라가’라는 토막을 비롯해서‘아득한 엣날’이 이어서 나옵니다.이 말은‘태고’라는 한자말을 쉽게 푼 말이라 반가웠습니다.넷째 줄에‘벌어져 있었다’는 말도 쉬운 말입니다. 다섯째 줄에 나온‘땅이 걸고’는‘토지가 비옥하고’를 쉽게 푼 말입니다.말모이 사전에서‘비옥하다’를 찾으면‘걸다’,또는‘기름지다’로 쓰라고 풀이를 하고 있다는 것도 알고 있으면 좋겠습니다. 일곱째 줄에 나오는‘문명이 앞서서’에서‘앞서서’도‘발달해서’를 갈음한 말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아홉째 줄에 나오는‘나라 이름’은‘국호’를 쉽게 풀이한 말이라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지난 이레 여러 곳을 다녀왔습니다.일터를 옮기게 된 언니 아우를 만나 함께 기뻐해 주러 거제에 갔었습니다. 참 많이 뭉쳐 다녔던 때가 엊그제 같은데 세어 보니 벌써 열 세해가 넘었더군요. 아이들이 큰 만큼 저희도 나이를 먹었던 거죠. 새로운 자리에서 잘 지내길 빌어 주었습니다. 지난 닷날과 엿날은 서울을 다녀왔습니다. 셈본(수학)에서 쓰는 갈말(학술용어)을 쉬운 토박이말로 다듬어 쓰는 것이 좋겠다는 글을 쓰신 광운대학교 허민 교수님을 찾아 뵈러 갔었지요. 가서 뵈니 제가 알고 있는 것보다 훨씬 많은 일을 하셨다는 데 많이 놀랐고 이미 그런 생각을 말과 글로 옮기셨다는 것이 우러러보였습니다. 때새 가는 줄 모르고 많은 이야기를 나눴고 앞으로 저희가 마련할 말나눔 잔치에 함께해 주시기로 입다짐을 해 주셔서 짜장 고마웠습니다. 그리고 코엑스에서 열린 초등교육박람회에 가서 많은 것을 보고 배웠습니다. 누구보다 토박이말 살리기에 여러 가지로 도움을 주시는 (주)지란지교컴즈 오진연 대표님께서 해 주신 말씀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곳곳에서 마련한 여러 가지 갈배움감(교수학습자료)들이 제 눈길을 사로잡았습니다. 앞으로 토박이말 놀
[우리문화신문=이창수기자] [옛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96-쇠붙이,처음,틈,뜻,익힘 [우리한글박물관 김상석 관장 도움/ (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은4284해(1951년)펴낸‘우리나라의 발달6-1’의5, 6쪽에서 캐낸 토박이말을 보여드립니다. 5쪽 둘째 줄과 셋째 줄에‘자리를 잡아 집을 짓고,마을을 이루어 살림살이를 하게 되었다’라는 말이 나옵니다. ‘정착 생활’과‘촌락 생활’을 했다는 것을 이렇게 쉽게 풀어 쓸 수 있음을 알게 해 주는 것 같아 기뻤습니다.아이들에게 어떤 말이 더 쉬운 말인지 견주어 보면 될 것입니다. 그 다음 줄에“오래 동안 지나면서 천천히 발달하여 음식도 익혀 먹고 옷도 지어 입으며 쇠붙이도 만들어 쓰게 되었다.”는 월(문장)도 참 쉽다는 느낌이 들어 좋았습니다.저보고 좀 더 다듬어 보라고 한다면‘발달하여’는‘나아져서’로 하고‘음식’은‘먹거리’로 바꿨으면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무엇보다 여섯째 줄에 있었던‘쇠붙이’는 더 반가운 말이었지요. ‘금속’이라는 말을 많이 쓰는 바람에 배움책에‘쇠붙이’라는 말이 안 나와 우리 아이들에게는 낯선 말이 되었습니다. ‘겨레붙이’라는 말도 있고‘피붙이’, ‘살붙이’라는 말도 있는데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길벗 91' 동무들 모임에 다녀왔습니다. 봄내(춘천)를 거쳐 모임을 하는 속새(속초)까지 갔습니다. 덥다 덥다는 말을 입에 달고 살다가 '시원하다'는 말을 얼마나 많이 했는지 모를 만큼 많이 했습니다. 왜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그곳으로 오는지 알겠더군요. 시원한 그곳에서 거의 일곱 달 만에 동무들을 만나 맛있는 것도 먹고 이슥할 때까지 이야기꽃을 피웠습니다. 하루 자고 한나절 놀고 오기엔 아까운 곳이었습니다. 하지만 다들 할 일이 있어서 더 놀 수도 없었지요. 짙은 안개와 비를 뜷고 줄수레(케이블카)로 살뫼(설악산) 구경을 한 뒤 막국수 낮밥(점심)을 먹고 아쉽게도 헤어져야 했습니다. 다섯 달 뒤에 다시 보기로 하고 저마다 집으로 떠났습니다. 다시 만날 때까지 다들 잘 지내다 보면 좋겠습니다. 오늘 맛보여 드릴 토박이말은 '곤댓짓'입니다. '곤대'는 '고운대'의 준말인데 '고운대'는 흙알(토란)의 줄기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흔히 '토란대'라고 하지요. 이 '곤대'가 흔들리는 것을 보신 분이라면 '곤댓짓'의 풀이를 보지 않고도 바로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런 짓을 남들이 좋아하지 않는다는 것을 안다면 삼가야 할 것입니다
[우리문화신문=이창수기자]지난 삿날(수요일) 앞낮(오전) 지혜의 바다 도서관에서 아이들과 뜻 깊은 만남이 있었습니다. '토박이말'과 아랑곳한 책들을 따로 모아 자리를 마련해 놓아서 엄청 반갑고 고마웠습니다. 여기서도 토박이말을 챙기는 구나 싶어서 말이지요. 다만 제 책 '토박이말 맛보기1'이 없는 것은 조금 아쉬웠습니다.^^ 아이들 눈높이에 맞춰 좀 더 쉽고 재미있게 이야기를 하려고 마음을 쓴 보람이었는지 좋은 아이들만 모인 것인지는 몰라도 자리느낌(분위기)도 좋았고 끝난 뒤에 아이들도 재미있다고 해서 기분이 좋았습니다. 모자란 잠을 자야 할 때새(시간)에 자리를 함께해 토박이말 놀배움 맛을 보여주신 이영선 갈침이의 도움이 컸다고 생각합니다. 저녁 때 새로나꽃배곳 글마루(신진초등학교 도서관)에서 있었던 토박이말 다달배움터(월례학교) '판소리와 함께 얼쑤, 토박이말 좋구나 좋아'도 짜장 보람이 있었습니다. 우리 것임에도 쉽게 만날 수 없는 '판소리'를 즐기고 소리말(사설)과 아랑곳한 제 느낌 생각과 여러 가지 '더위' 이야기를 들려드렸습니다. 지난 모임 때 처음 오셨던 분들이 다시 와 주셔서 고마우면서도 기뻤고, 새로 모람(회원) 되신 손영심 갈침이께서 아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옛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95-시칼,밖에,움키다,줍다,비롯하다 [우리한글박물관 김상석 관장 도움/ (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은4284해(1951년)펴낸‘우리나라의 발달6-1’의3, 4쪽에서 캐낸 토박이말을 보여드립니다. 3쪽 네모 안 그림에 있는 말들 가운데 낯선 말들이 둘이나 있습니다.그림 오른쪽에 있는‘돌칼’이나, ‘돌도끼’는 요즘 배움책에서도 볼 수 있는 낯익은 말입니다.하지만‘돌살촉’과‘돌시칼’은 다들 낯선 말일 것입니다. 먼저‘돌살촉’은 요즘 배움책에서는‘돌화살촉’이라고 한다는 풀이를 하지 않아도 바로 알 수 있는 말입니다.다만‘화살’을 줄여‘살’이라는 말을 썼음을 보여 주는 것이기도 합니다.이 말을 보니 몇 날 앞 어느 분이 했던“‘촉’이 토박이말인 줄 알았는데‘한자말’이더라.”는 말이 생각이 났습니다. 책에 나온 것처럼 아주 옛날부터 돌로도 만들어 썼던 몬(물건)이름이 한자말밖에 없었을까 싶어서 말모이(사전)를 찾아보니 옛날에는‘밋’이라고 했다는 풀이가 있었습니다.언제부터 어떻게 안 쓰이게 되었는지 모르지만‘밋’이라 썼던 적이 있음을 알려 주는 게 있어 참 고마웠습니다. 그 아래에 나오는‘돌시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안에 있어도 이렇게 더운데 밖에서 일하시는 분들은 얼마나 더울까? 싶어서 덥다는 말이 나오다가 도로 들어갈 때가 있습니다. 짜장 덥습니다. 가만히 앉아 일을 해도 땀이 나고 몸을 좀 움직이고 나면 땀으로 옷이 흠뻑 젖으니 움직이기가 싫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럴 수도 없으니 움직이고 씻고 또 움직이고 씻기를 되풀이하고 있습니다. 어제처럼 더운 날 토박이말바라기 이바지하기(봉사활동)는 쉬지 않고 움직였습니다. 여드렛날 청주 한국교원대학교에서 열리는 온나라 갈배움 제다스림 생각모임(대한민국 교육자치 콘퍼런스)에 진주행복교육지구 여러 마을배곳을 갈음해 들말마을배곳이 나가기로 했는데 그날 쓸 널알림감(홍보물)이자 겪음감(체험자료)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그곳에 온 사람들에게 들말마을배곳과 토박이말 놀배움을 널리 알릴 생각을 하니 벌써 기분이 좋습니다. 이바지하기를 온 푸름이들은 말할 것도 없고 바쁜 가운데 겨를을 내서 이끌어 주신 이영선, 이정희 갈침이께 고맙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시골 동무가 오랜만에 기별을 해서 참 반가웠습니다. 참 잘 지냈는데 서로 바쁘게 살다보니 만난지 여러 해가 지나버렸네요. 같은 고장에 살지 않지만 멀지는 않으
[우리문화신문=이창수기자]지난 닷날(금요일)은 진주교육지원청에서 마련한 '진주내음 물씬 나는 토박이말 교육' 닦음(연수) 마지막 날이었습니다. 앞낮(오전)에는 제가 '쉬운 배움책'과 아랑곳한 이야기를 했습니다. 옛날 배움책에 나온 토박이말로 된 쉬운 갈말(학술어)을 몇 가지 보여 드리고 쉬운 말로 된 배움책을 만드는 것이 우리 아이들을 행복으로 이끌 지름길이라는 제 말에 많은 분들이 고개를 끄덕여주셨습니다. 이야기 끝에 토박이말을 살려 일으켜 북돋우는 일에 뜻을 함께하는 사람들 모임인 사단법인 토박이말바라기에서 하는 일을 알리는 알림종이(소식지)와 들기바람종이(회원가입 신청서)를 나눠 드렸는데 네 분이나 모람(회원)이 되어 주셨습니다. 게다가 모임돈(회비)까지 절로 빠지게 해 주셔서 짜장 고마웠습니다. 모람이 되어 주시고 모임돈을 내어 주신 오은숙 교장 선생님, 손영심 선생님, 조현정 선생님, 조은경 선생님께 고마운 마음 가득 담아 절을 올립니다.^^ 뒤낮(오후)에는 박용식 교수님께서 '땅이름 속에 담긴 토박이말'과 아랑곳한 말씀을 해 주셨습니다. 땅이름에 남아 있는 옛날 말, 여러 고장에 있는 땅이름 풀이는 말할 것도 없고 제가 살고 있는 진주의 땅이름
[우리문화신문=이창수기자]토박이말을 맛보여 드리는 일에 너무 많은 때새(시간)를 들이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이야기를 가끔 듣습니다. 글을 쓰고 여러 곳에 나르는 것까지 생각하면 그렇다고 하고 또 보는 사람이 얼마나 되는지 똑똑히 알기는 어렵지만 제 글을 둘레 사람들에게 나눠 주는 사람들을 보면 더더욱 보람이 없는 일이라는 말까지 들었습니다. 아주 틀린 말은 아니지만 이제까지 제 글을 봐 주신 분들께 고마운 마음뿐입니다. 둘레 사람들에게 나눠 주시는 분이 많지 않은 것은 제 글이 맛이 없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제가 가진 솜씨가 모자라기 때문인 것이지요. 앞으로 토박이말을 보는 눈높이나 자리느낌(분위기)이 달라질 것이고 그러면 뛰어난 솜씨를 가진 분들이 토박이말을 맛있게 만들어 나눠 줄 거라 믿습니다.^^ 어제 닦음 갖춤(연수 준비)을 해 놓고 어디서 이름을 새로 지을 거라고 해서 나름대로 생각한 좋은 이름을 지어 보내주었습니다. 뽑히지 않을 수도 있지만 그런 말이 좋은 말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을 알리고 싶었습니다. 그리고 제가 살고 있는 고장에서 풀어야 할 풀거리(문제)를 내들고 그것을 반드시 해야 할 까닭을 밝히라고 해서 적어 보냈습니다. 누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옛배움책에서 캐낸 토박이말]94-가름,조각,이루어짐,살림살이 [우리한글박물관 김상석 관장 도움/ (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은4284해(1951년)펴낸‘우리나라의 발달6-1’의1쪽, 2쪽에서 캐낸 토박이말을 보여드립니다. 1쪽 둘째 줄부터 요즘 배움책에서는 볼 수 없는 말들이 많아서 놀라우면서도 참 기뻤습니다.이렇게나 많은 토박이말을 잘 살려 쓴 배움책을 볼 수 있어서 말입니다. 먼저 보이는‘가름’이라는 말이 참 반가웠습니다.요즘 배움책에서는‘단원’이라고 하는 곳이 많고‘마당’이라고 하는 곳이 드물게 있는데 이것을‘가름’이라고 한 것이 새로우면서도 이렇게 쓰는 것도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어느 길로 가야 할지 모를 때 먼저 간 사람들의 발자국을 찾듯이 이렇게 먼저 쓴 말이 있으면 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 다음 셋째 줄에 나오는‘조각’도 반가운 말이었습니다.흔히‘장’이라고 하고 그 보다 작은 것은‘절’이라 하고 합니다.요즘 배움책에서는‘소단원’이라고 하는데‘조각’이라는 말을 생각하지 못했기 때문에 더 그랬는지 모르겠습니다.이 말도 살려 쓰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이어서 나온‘이루어짐’이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