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고려는 삼국시대 이래로 불교가 숭상되었던 불교국가였다. 따라서 전국 곳곳에는 신라시대를 이은 절들과 불상들이 많이 조성되었다. 그런 까닭으로 고려시대의 절 건축물은 매우 정교하고 아름답게 조성되었다. 현재 남아있는 고려시대의 건축물들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 대표적인 고려시대 건축물은 부석사 무량수전과 수덕사 대웅전이다. 이 건축물들은 고려시대에 지어진 건축물들 가운데 가장 잘 지은 건축물이라고는 말하기 어렵지만, 이후 지어진 조선시대의 그 어떤 건축물들 보다도 비례감도 좋고, 각 부재들의 가공기법도 뛰어나다. 그런데 고려시대의 조각품들은 남북국시대(통일신라)의 조각품들과는 매우 다르다는 느낌을 받는다. 삼국시대 이래 남북국시대의 조각품들은 불상들의 조각상이 매우 정교하고 비례감이 뛰어난 반면, 고려시대의 조각들은 정교한 비례감은 오히려 떨어지고 그 규모가 커졌다. 이는 지역별 그 지방의 호족들이 자신들의 권위를 나타내기 위하여, 규모를 강조한 탓도 있겠지만 아름다움을 느끼는 감각도 바뀐 탓이 아닌가 한다. 이를 현대미술과 빗대어 보면 정교한 사실적인 작품들은 너무나 현실적이기에 오히려 급이 낮아보이고, 예술에 추상성을 도입하여 조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에 있는 중원미륵대원터에는 신라말 경순왕의 왕자인 마의태자가 세운 절터에 미륵불과 미륵불의 주변에 대형 석재를 쌓아서 인공석굴식 법당을 조성한 석굴사원이 있다. (사적 제317호) 이 미륵대원은 석굴식 법당의 중앙에 서있는 미륵불 입상을 봉안하고, 좌우측면과 뒷벽면에는 감실을 만들어 작은 불상들을 모셨으며, 미륵불의 윗부분에는 목조건물을 지어 비를 맞지 않도록 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지만, 지금은 지붕이 없는 상태로 미륵불상만이 쓸쓸히 서있다. 이 미륵대원은 불상의 조성기법으로 보아 고려초에 조성한 것으로 보고 있으며, 그 조성자는 신라 마지막왕인 경순왕의 아들인 마의태자가 신라를 떠나 개골산(금강산)으로 가던 중 이곳에 석불을 세웠다고 전한다. 자신이 이어야할 왕조를 고려태조 왕건에 나라를 바친 경순왕을 원망하면서도 미래 언젠가 이세상에 다시 올 미륵불을 의지하여 마음을 달래며 세웠을 것 같은 생각에 마음이 애잔해진다. 고려시대 미륵대원은 경상도에서 개경으로 가는 큰 길목이었기에 먼길을 오고가는 나그네의 쉼터로 원(院, 주막과 숙소)이 있어 번창하였는데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문경에 조령이 만들어지면서 그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