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몰 위기 「안동 용계리 은행나무」 구출 30돌 기림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물에 잠길 위기에 있던 노거수를 이식하여 자연유산 보존의 대표사례가 된 「안동 용계리 은행나무」의 상식 30돌을 맞이하여 11월 5일 낮 2시에 용계리 은행나무 앞에서 기념행사를 연다. * 상식: 나무를 있는 자리에서 그대로 흙을 북돋아 올려 심는 것 1966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안동 용계리 은행나무」는 우리나라 은행나무 가운데서도 수령이 오래되고 규모가 클 뿐만 아니라, 마을 주민이 행계(杏契, 은행나무의 보호와 친목 도모를 위하여 마을 주민이 만든 모임)를 만들고 해마다 제사를 지내며 보호해 온 나무로 높은 학술적, 민속적 값어치를 지녔다. 1985년 안동 임하댐 건설 계획에 따라 용계리 은행나무가 물속에 잠길 위험에 처하자, 관련 기관과 전국 각지의 나무 전문가들이 힘을 합쳐 나무가 자리 잡은 땅을 보강해 높이는 방식을 통해 500여 톤 상당에 달하는 나무를 있던 자리에서 그대로 15m가량 수직으로만 끌어올려 물에 잠기지 않게 하는 상식 작업을 진행한 바 있다. 작업에는 1990년부터 4년이 소요되었으며, 사업비도 당시 25억 원이나 투입됐다. 이 덕분에 용계리 은행나무는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