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느리게 걷는 사람에게는 매우 좋은 길

평창강 따라 걷기 제2구간

[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답사 날자> 2021년 3월 11일 (목) 오후 1:45~5:45

<참가자> 이상훈, 이규석, 우명길, 원영환

<답사기 작성 날자> 2021년 3월 21일

 

평창강 제1구간을 걸은 것이 작년 11월이었는데, 해가 바뀌어 2021년 3월 11일에 제2구간을 걷게 되었다. 무려 4달이나 답사를 중단한 것은 코로나 확산을 막기 위해서 모임을 자제하라는 방역당국의 당부 때문이었다고 핑계를 댈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평창의 겨울은 몹시 추워서 아무래도 걷기가 꺼려졌다는 것이 정확한 이유였다. 4달의 동면을 끝내고 평창강 따라 걷기를 다시 시작하였다. 이 해가 가기 전에 평창강 답사를 끝내려면 이제부터는 한 달에 두 번은 걸어야 한다.

 

석주(원영환)는 전날 봉평 우리집에 와서 잤고, 시인마뇽(우명길)은 당일에 군포에서 시외버스를 타고 장평터미날에 12시 10분에 도착하였다. 그런데 답사 전날 나는 반가운 전화를 받았다. 평창군 방림면에 사는 이규석(호가 ‘은곡-隱谷’이므로 이하 그렇게 호칭함)이라는 분이 제2구간을 함께 걷겠다고 자원한 것이다. 그분은 며칠 전에 우연히 만나 점심을 같이 먹은 적이 있으니, 오늘이 2번째 만남이다. 오늘 제2구간은 네 사람이 걷게 되었다.

 

새로 참여하는 은곡과 통성명을 해보니 50년 경인생 호랑이띠로 나와 동갑이어서 반가웠다. 장평터미날에 나타난 은곡은 군복 비슷한 작업복을 입었다. 은곡은 턱수염이 하얗고 등에 작은 걸망을 짊어졌는데, 외모에서부터 기인(奇人)끼가 엿보였다. 은곡이라는 호는 ‘숨은 계곡’이라는 뜻이라는데, 실제로 그는 1985년에 계방산 아래 용평면 속사리 계곡에 들어와 살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계산해 보니 그는 36년 동안이나 도시를 떠나 평창군 계곡에서 숨어 살고 있다.

 

우리는 장평에서 점심으로 추어탕을 먹은 뒤에 차를 타고 오늘 걸을 구간의 시점으로 이동하였다. 오늘은 강의 우안에 나은 424번 지방도로를 걸을 것이다. 좌안과 우안은 상대적인 개념이다. 서서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좌우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사전을 찾아보면 우안이란 하천 흐름의 진행 방향에서 볼 때 오른쪽 제방을 말한다. 강의 좌안은 용평면 재산리이고, 강의 우안은 봉평면 유포리이다. 유포리는 원래 강가에 버드나무가 많아서 버들개 또는 유포리(柳浦里)라고 부른다고 한다.

 

 

<평창군 지명지>를 읽어보면 평창(平昌) 땅은 태기산을 중심으로 선사시대 부족국가 예맥국에 속했다. 원래 우오현(于烏縣)이라고 불렀는데 장수왕 때에 고구려에 흡수되어 욱오현(郁烏縣)이라고 이름이 바뀌었다. 6세기 중엽 신라 진흥왕 때에 신라 영토에 속하게 된 뒤 백오현(白烏縣)이라고 이름이 다시 바뀌었다. 고려가 시작되면서 평창현(平昌縣)으로 바뀌었고 조선이 등장하면서 평창군(平昌郡)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평창군을 흐르는 가장 큰 강의 이름은 당연히 평창강이라고 이름 지었을 것이다. 우리가 오늘 걷는 길은 금당계곡길이다. 금당이라는 말은 비단결같이 아름다운 못이 곳곳에 있다고 해서 비단 금(錦), 못 당(塘) 자를 쓴다고 한다. 금당계곡은 여름에 래프팅을 할 수 있는 장소로도 알려져 있는데, 금당산의 바위들과 평창강이 잘 어우러져 경치 좋은 곳이 많다. 유포리에 있는 금당아트갤러리 관장인 이선열 화백에게 물어보니 금당계곡은 경치가 아름다워 사진작가들이 즐겨 찾는 명소이며 화가들도 자주 찾는다고 한다.

 

 

우리는 낮 1시 45분에 출발했다. 초봄이 느껴지는 날씨였다. 기온은 10도 정도로 추운 기운은 없다. 걷기에 좋은 날씨다. 남부 지방에는 매화꽃이 피었다지만 여기 평창은 아직은 겨울의 끝자락이다. 하늘에는 엷은 구름 사이로 푸른 하늘이 간간이 보이기도 한다. 올겨울에는 평창에 눈이 자주 왔다. 길가에는 눈이 없지만, 산의 북사면에는 아직도 잔설이 남아 있다. 길의 왼쪽으로 흐르는 평창강에는 눈 녹은 물이 많아져서 그런지 물소리가 시원스럽다. 은곡은 “강물 소리가 계절에 따라 다르다. 이른 봄 눈 녹을 때 물소리가 가장 아름답다.”라고 말하였다. 무려 36년 동안 관찰한 결과이니 은곡의 말은 틀림없을 것이다.


 

 

오늘 평창강을 따라 걷는 네 사람은 비슷한 연배였기 때문에 대화하기가 편했다. 옛날 가난했던 어린 시절 이야기에는 모두 공감하였다. 이후 산업화 시대와 민주화 시대를 살아온 경험이 비슷하니 아무래도 대화하기가 쉽다. 요즘 젊은이들은 우리와는 사고방식이 매우 다르다는 생각도 비슷했다.

 

강 따라서 조금 걷다 보니 왼편으로 커다랗고 넓적한 바위가 보인다.

 

 

커다란 바위 건너편, 길의 오른쪽에는 ‘페르마타’라는 이름의 예쁘장한 펜션이 사시사철 커다란 바위를 바라보고 있다. 평창신문 2020년 7월호(창간호)에는 페르마타 펜션의 주인장에 대한 소개글이 나온다. 일부를 인용해 보자.

 

 

“펜션을 운영하는 채평부ㆍ김명옥 부부는 원래 독일에서 어학원 사업을 했는데 사기를 당해 한국으로 돌아왔다. 부부는 귀국 뒤에 우연히 평창으로 여행 왔다가 펜션 앞의 큰바위 얼굴을 한 아름다운 금당적벽에 반하여 펜션을 인수하였다. 두 사람은 손님을 가족처럼 대하면서 선하고 순수한 친절을 베풀었다. 부부가 펜션을 운영한 지 만 2년 만에 이곳을 다녀간 여행자들의 평점을 기준으로 세계적인 여행기업 부킹닷컴이 시상하는 ‘고객 후기 우수상(Guest Review Award)’을 2017년과 2018년 연속으로 수상하였다.”

 

나는 친절하다고 세계적으로 소문이 난 펜션 주인장을 한번 만나고 싶었다. 그래서 펜션으로 올라갔는데, 주차장에 차는 보이지 않고 개 두 마리가 사납게 짖어댄다. “여보세요!”라고 불러 봐도 대답이 없다. 문이 닫혀 있다. 아마 부부가 외출 중인 모양이다. 나중에 페르마타 주인장을 꼭 한번 만나고 싶다.

 

(답사가 끝난 뒤에 유포리에 사는 유상민 선생에게 물어보니 바위 이름을 ‘치마바위’라고 부른다고 한다. 옛날에 아버지가 장평에서 약주 한잔 드시고 걸어오다가 치마바위를 향하여 “개똥아(아들 이름), 아버지 간다”라고 외친다. 그러면 소리가 메아리쳐서 건너편 마을에서 아들이 마중 나왔다고 한다. 치마바위를 원주민들은 치마벼루라고도 부른다. 벼루(벼랑)는 바위를 말한다. 바위가 마치 여자가 치마를 입고 늘어뜨리고 있는 모양과 같다고 하여 그렇게 부른다고 한다.

 

평창군 향토사학자인 정원대 선생에게 물어보니 바위를 ‘가매바위‘라고도 부른단다. 가매’는 이 지방 사투리로서 가마솥뚜껑을 말한다. 바위 모양이 가마솥뚜껑과 비슷하다고 보았나 보다. 페르마타 펜션 주인장에게 전화로 물어보니 이 바위를 ‘시계바위’라고도 부른다고 한다. 시계판처럼 넓적한 바위의 어느 곳에 해가 비치는지를 보면 시간을 알 수가 있다나…. 바위는 하나인데 이름은 여러 가지다.)

 

우리가 걷고 있는 424번 지방도로는 금당계곡을 따라서 장평에서 평창으로 가는 우회도로다. 빨리 가려는 사람들은 금당산 동쪽으로 나 있는 31번 국도를 이용한다. 국도에는 신호등도 있고 차도 많아서 나는 신호등이 하나도 없고 차는 매우 드물고 한적한 이 도로를 선호한다. 지방도로를 이용하면 거리는 조금 멀지만, 시간상으로는 장평에서 평창까지 5분 정도 느릴 뿐이다. 나는 5분 늦게 가더라도 금당계곡 경치를 즐길 수 있는 이 길을 매우 좋아한다.

 

나는 느리게 살고 싶은 사람이다. 서울에서 살 때도 그랬지만, 평창에 이사 온 뒤에도 나는 가능하면 느리게 살려고 의도적으로 노력한다. 요즘에는 시골에 사는 사람들도 빠른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424번 지방도로를 이용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금당계곡로는 우리처럼 하늘과 산과 강을 바라보며 느리게 걷는 사람에게는 매우 좋은 길이다.

 

나는 은곡과 함께 걷고, 몇 걸음 떨어져서 시인마뇽은 석주와 함께 걷는다. 나는 은곡을 오늘 2번째 만나기 때문에 궁금한 점이 많았다. 그래서 이것저것 물어보았다. 그는 기본적으로 자유로운 예능인이었다. 본업은 목각 조각이고 부인이 카페를 운영한다고 한다. 딸은 속사초등학교를 졸업했는데, 판소리를 공부했단다. 초등학교 5학년인 딸 아이에게 판소리를 가르치기 위하여 은곡은 8년 동안 일주일에 한 번씩 평창에서 스승이 있는 전주까지 차를 운전하여 딸과 함께 다녀왔다니 대단하다. 고사에 나오는 맹모삼천을 무색하게 하는 지극한 교육열이다. 딸이 판소리를 배울 때에 자신도 어깨 너머로 판소리와 북을 배웠다고 한다.

 

강 따라 한참 내려가자 유포교 다리가 있는 삼거리가 나온다. 무당벌레 모양을 한 예쁜 이정표가 왼쪽에 서 있다. 왼쪽길이 금당계곡을 따라 내려가는 길이다. 오른쪽으로 들어가면 유포3리인데 솔섬오토캠핑장이 나오고 더 들어가면 청태산(1200m)에 막혀 길이 끝난다. 유포교 중간에서 평창강 상류를 바라보니 절벽과 강물이 어우러져 경치가 아름답다. 아직 나뭇잎이 나오지 않아 녹색은 아니지만, 사진이 잘 나올 것 같아서 한 컷 찍었다.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