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밀꽃 필 무렵》 허생원ㆍ동이의 여정을 쫓아서
[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들어가는 말> 필자는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에 2015년에 귀촌하여 살고 있다. 우리나라 단편소설 가운데서 가장 빼어난 작품으로 평가되는 《메밀꽃 필 무렵》을 쓴 가산 이효석은 1907년에 봉평에서 태어났다. 가산은 평창읍에서 하숙하면서 초등학교를 졸업하였다. 가산은 개학이 될 때, 그리고 방학이 될 때면, 봉평에서 평창읍까지 100리 길을 아버지를 따라 걸었다고 한다. 평창군에서는 가산이 걸었던 옛날 길을 둘레길로 조성하여 2012년부터 관광객들에게 개방하고 있다. 필자는 평창에 사는 지인들과 함께 두 주에 한 번씩 ‘효석문학100리길’을 걷고 있다. 필자가 투고하는 답사기는 한 주에 한 꼭지씩 5달에 걸쳐서 연재할 예정이다. 답사 날짜: 2024년 4월 8일(월) 답사 참가자: 김수용 윤상조 윤석윤 이상훈(필자) 전선숙 최동철 황병무 (7명) 답사기 쓴 날짜: 2024년 4월 29일 ‘효석문학100리길’이 있는 평창(平昌) 지명을 조사해 보았다. 《세종실록지리지》에 “강원도는 본래 예맥(濊貊)의 땅인데 후에 고구려의 소유가 되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고구려 시대 평창군의
- 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 2024-05-16 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