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7 (월)

  • 맑음동두천 8.9℃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우리문화편지

2120. 오방색의 두루주머니에 무얼 담을까?

   

주머니는 자잘구레한 물건이나 돈 등을 넣고 입술에 주름을 잡아 졸라매어 허리에 차거나 손에 들고 다니는 장신구를 말합니다. 비단 헝겊으로 만들어 수를 놓거나 금박을 박기도 하는데, 옛날에는 남녀노소 누구나 지녔지요. 특히 한복에는 대한제국 말기에 서양에서 들어온 조끼를 빼고는 물건을 넣을 만한 호주머니가 없어 실용적인 면에서 더욱 필요하였습니다. 그 주머니 가운데 아래는 둥글고 위는 모진 것인데 입구에 잔주름을 잡아 오므리는 주머니를 두루주머니라 합니다.

두루주머니 가운데서도 특히 오방색 곧 노랑, 파랑, 하양, 빨강, 검정의 5가지 빛깔을 써서 아름답게 만든 것이 오방낭자(五方囊子) 곧 오방 두루주머니입니다. 오방 두루주머니 앞면 가운데는 글자를 금박 하거나 수를 놓았으며, 액을 면하고 한 해를 무사히 지내라는 뜻으로 정월 해일(亥日, 돼지날)에 아이들에게 주머니를 선물했습니다.

여기서 오방색이란 음과 양의 기운이 생겨나 하늘과 땅이 되고 다시 음양의 두 기운이 목(木)ㆍ화(火)ㆍ토(土)ㆍ금(金)ㆍ수(水)의 오행을 생성하였다는 음양오행사상을 기초로 한 것이지요. 오방색은 나쁜 기운을 막고 무병장수를 비손해 돌이나 명절에 어린아이에게 색동저고리를 입히는 것, 잔치상 국수에 올리는 오색 고명, 궁궐ㆍ절 등의 단청, 고구려의 고분벽화나 조각보나 공예품 등에 오방색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생일 또는 특별한 날만이라도 아이들에게 서양옷이 아닌 색동한복을 입히고 오방 두루주머니를 차도록 하면 얼마나 예쁠까요?



댓글달기 0

스팸방지
0/30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