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 후기 2백 년을 대표하는 화가로 3원3재(三園三齋, 단원, 혜원, 오원, 겸재, 관아재, 현재) 가운데 한 사람이 현재 심사정입니다. 그의 작품에 “연지유압도(蓮池柳鴨圖)”라는 것이 있습니다. 심사정 작품으로는 특이하리만큼 화사한 빛깔로 그려져 있는데 이 그림을 보면 연못에서 헤엄치는 오리가 있습니다. 언뜻 생각하면 오리는 암컷과 수컷의 사이가 좋아 부부금실을 나타내는 그림으로 볼 수도 있지요.
하지만, 이 그림에서 오리는 장원급제를 바라는 뜻으로 쓰였습니다. 그림 이름 “연지유압도(蓮池柳鴨圖)”를 보면 오리 “압(鴨)” 자가 있는데 이 “압(鴨)” 자를 나눠보면 “갑(甲)”과 “조(鳥)”가 됩니다. 여기서 “甲”은 으뜸 곧 장원급제를 뜻하는데 오리가 두 마리면 “二甲” 곧 향시(鄕試)와 전시(殿試)에서 모두 장원급제하라는 뜻이지요. 그뿐만이 아닙니다. 연지(蓮池) 곧 연못에는 연밥이 있는데 연밥을 뜻하는 “연과(蓮顆)”는 잇달아 합격한다는 “연과(連科)”와 발음이 같습니다. 그래서 연못에 오리가 두 마리면 ”연과이갑(連科二甲)" 곧 잇달아 두 과거시험에 장원급제하라는 뜻이어서 이 그림은 과거를 보는 선비에겐 최고의 선물이었습니다.
조선시대 선비들은 과거에서 장원급제하는 것이 최고의 목표였기에 이런 그림이 무수히 그려진 것으로 생각됩니다. 요즘도 대학 수학능력시험을 치르는 날이면 수험생 학부모가 학교 정문에 엿을 붙이고 간절히 비는 모습이 흔한데 심사정이 과거시험에 합격하라고 그리던 '연지유압도'의 심정과 크게 다르지 않은 풍습일 것입니다.
※ 참고
향시(鄕試) : 조선 때, 각 도에서 유생(儒生)에게 보이던 과거
전시(殿試) : 조선 때, 문과 1차 시험에서 뽑힌 사람들을 모아 임금이 지켜보는 가운데 보던 과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