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3 (토)

  • 구름조금동두천 9.8℃
  • 구름많음강릉 6.8℃
  • 맑음서울 10.3℃
  • 맑음대전 10.0℃
  • 맑음대구 10.0℃
  • 구름조금울산 9.5℃
  • 맑음광주 10.5℃
  • 맑음부산 11.7℃
  • 맑음고창 8.7℃
  • 흐림제주 11.8℃
  • 맑음강화 7.1℃
  • 맑음보은 10.1℃
  • 맑음금산 9.3℃
  • 맑음강진군 11.1℃
  • 구름조금경주시 8.3℃
  • 구름많음거제 12.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한글 그리고 우리말

서방님의 말밑(어원)

재미있는 우리말 말밑 이야기 1

[그린경제=반재원 소장]  서방(書房)’을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 

*서방 - 남편을 속되게 이르는 말.
지난날 벼슬이 없는 남자의 성 뒤에 붙여 일컫던 말. ~ , ~ .
                                          손아래 친척 여자의 남편 성 뒤에 붙여 일컫던 말.
*서방님 - 남편을 높여 일 컽는 말. 결혼한 시동생을 일컽는 말. 지난 날 상사람이 벼슬 없는 선비를 일컽는 말.
*서방맞다 - 남편을 얻는 일.
*서방맞이 - 남편을 맞는 일.
*서방 맞히다 - 남편을 얻게 하는 일.
*서방질 - 남편이 있는 여자가 새 서방을 보는 것.  
                                                           (이기문 감수. 동아출판사. 동아새국어사전≫)

 *서방(書房) - 고려 때 최이(崔怡)가 자기 집에 둔 임시 특별관청. 문신 및 유학자들을 교대로 숙직시키며 나랏일을 의논하였음.
*서방 가다 - 장가가다(함경도).
*서방 보내다 - 장가들이다(함경도).
*서방재 - 신랑(함경도).
                                                       (신기철, 신용철. 삼성출판사. 새우리말큰사전≫)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서방은 주로 벼슬 없는 남자의 성 뒤에 붙여 일컫는 말이거나 장인, 장모 등 처가 집의 윗사람이 사위를 부를 때 쓰이는 말임을 알 수 있다. 서방님은 주로 남편을 높여 일컫는 말로 쓰였으며 또한 결혼한 시동생을 높여 부르는 호칭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낱말이 나타내는 글방(書房)의 뜻은 찾아볼 수 없다. 글 읽는 총각이라든지 글방 훈장이라든지 하는 뜻은 그 어디에도 나타나 있지 않다.  

여기서 잠깐 사위에 대하여 살펴보면 사위란 딸의 남편으로 직접 호칭은 ‘~ 서방’ ‘여보게등이고 지칭은 사위’ ‘여서女壻등으로 나와 있다. 동상(東床)‘이라는 말이 사위의 뜻으로 쓰이며 새사위를 일컽는 말이라고 되어있다.  

*동상(東床) - 남의 새사위를 높여 일컽는 말. 저~ 님은 글씨를 잘 쓰더라.
*동상(東牀) - 사위. 왕희지(王羲之) 고사에서 온 말. 왕희지는 태위(太尉, 영의정격) 극감(郄鑒)의 사위였다. 왕희지의 천자문은 주흥보다 100년이 빠르다.
*동상례(東床禮) - 혼례식이 끝난 뒤 신랑이 신부집에서 마을 사람 및 친구들에게 음식을 대접하는 말
                                              (신기철, 신용철. 삼성 출판사. 새 우리말큰 전≫)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상사위를 이르는 말이며 동상례란 혼례가 끝난 뒤 신랑이 신부집에서 마을 사람 및 처가 동네의 친척과 친구들에게 음식을 대접하면서 처족들에게 올리는 일종의 신고식이라 하겠다. 동상례동쪽에 상을 차리는 예또는 사위가 동쪽으로 와서 상을 차리는 예를 이르는 말로 보인다. 그렇다면 그 말은 곧 그 사위가 서쪽에서 왔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즉 서쪽에서 동쪽으로 장가들었으므로 동쪽에서 상을 차려 신고식을 하는 것이며 따라서 서방이라는 말은 사위가 살던 곳이 서방(西方)이라는 방향을 따서 부른 말로 보는 것이다.  

그리하여 아내에게는 서방에서 온 사람’, ‘서방에서 온 님이란 뜻으로 서방인(西方人)’ ‘서방님(西方任)’이 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삼황오제(三皇五帝) 시대에 신농(神農) 이 서쪽인 섬서성(陝西省) 서안(西安)에서 황제(黃帝) 집안인 동쪽 산동성(山東省) 곡부(曲阜)로 장가든 방향과 일치하니 서쪽에서 동쪽으로 장가(丈家) 온 사람이라는 뜻으로 서방님(西方任)’으로 불렸던 것으로 짐작된다. 그 당시에는 ()’()’이 모두 사람이라는 뜻으로 함께 쓰였다. 지금도 산동 지방에서는 사위(女婿)동상(동상)’이라고 부르고 있으며 동상례도 東牀禮가 아니라東床禮로 쓰고 있는 점으로 보아 왕희지 고사보다 훨씬 이전에 쓰였던 말로 보는 것이다.  

장가든다’, ‘장가들인다’, ‘장가보낸다라는 말도 장가(丈家) 즉 처가 집으로 아들을 들여보낸다는 뜻이다. 그 당시는 모계 사회였으므로 남자가 여자 집으로 장가들어 처가살이를 하던 시대였다. 그래서 우리도 불과 한 세대 전 까지만 하더라도 여자 집에 가서 혼례를 치르고는 신부는 처가에 남겨 두고 수시로 왔다 갔다 하다가 석 달, 여섯 달, 또는 한해 만에 신부를 데리고 오는 유풍이 남아 있었다

그것은 비록 부계사회로 바뀌면서 여자가 남자 집으로 시집오게 되었지만 그 풍습이 단번에 변하지 않고 유구한 세월에 걸쳐 서서히 바뀌어 온 과정으로 보인다. 서방님도 처음에는 서방인(西方人)’ 또는 서방님(西方任)’이던 것이 장차 서방님이 될 도련님이 주로 글방에서 글 읽던 것에 기인하여 시대의 흐름에 따라 서방님(書房任)’이 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