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유니세프 한국위원회(회장 정갑영)는 11월 20일 세계 어린이의 날을 맞아 산돌(대표이사 윤영호)과 함께 ‘유니세프 어린이 손글씨 글꼴(폰트)’ 3종을 공개했다. ‘유니세프 어린이 손글씨 글꼴(폰트)’은 제1회 ‘유니세프 어린이 손글씨 쓰기 대회’ 수상작의 필체로 개발된 디지털 글꼴이다. 이 글꼴은 손글씨 쓰기 대회를 통해 18살 미만 어린이가 누려야 할 모든 권리가 담긴 국제적 약속인 ‘유엔아동권리협약’ 중 가장 인상 깊은 조항을 어린이가 직접 써보며 완성한 것으로, 어린이의 꿈과 권리가 담겨 있다. 이번 글꼴 개발은 지난 7월 유니세프 한국위원회와 콘텐츠 창작 승강장 기업 ㈜산돌이 맺은 협약을 바탕으로 진행됐다. 산돌은 손글씨 쓰기 대회 수상 어린이의 필체를 다양한 크기와 환경에서도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분석하고 다듬어 어린이 글씨 특유의 느낌을 유지한 글꼴을 개발했다. 손글씨는 물론 어린이들이 그림처럼 남겨둔 작은 표시나 낙서 요소까지 정교하게 분석해 모바일 환경에서 감정 표현에 활용할 수 있는 이미지글자(딩벳) 글꼴도 함께 제작했다. 이번에 공개한 글꼴트 3종은 대상 수상자 김소율 학생의 단정하고 균일한 필체를 기반으로 개발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정종섭)은 근ㆍ현대 시기에 창작된 장편 기행가사 다섯 편을 현대어로 번역하여 《어와 벗님네야 구경가자》를 펴냈다. 이는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내방가사를 현대어로 번역하여 단행본으로 발간한 첫 사례다. 한글 장편 기행가사, 현대 독자를 위한 번역서 발간 《어와 벗님네야 구경가자》에는 여성들의 여행담을 가사로 써 내려간 「청량산유산록」, 「관해록」, 「종반송별(송별답가)」, 「관해가」등 모두 5편의 내방가사를 수록하였다. 가사의 운율과 정취를 살리면서 일반 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현대어로 뒤쳤고, 정보무늬(QR코드)를 통해 디지털 원문도 열람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원문을 그대로 수록하고 상세한 주석을 담은 교주본과 원문 영인을 실어 학술적 활용도까지 높였다. 《어와 벗님네야 구경가자》를 통해 여성의 눈으로 본 근ㆍ현대 시기의 여행담을 음미해 볼 수 있다. 과거와 현재를 넘나드는 20세기 여성의 여행 20세기에 들어서며 여성들은 ‘내방’이라는 제한된 공간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세상을 여행할 수 있게 되었다. 경북 지역의 여성들은 바깥세상에서 보고 들은 것을 내방가사로 노래하듯 써 내려갔다. 봉화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서울 종묘 주변에 초고층 건물을 지을 수 있도록 허용된 것에 문화체육관광부 최휘영 장관과 국가문화유산청 허민 청장이 나란히 세계문화유산 서울 종묘를 찾아 모든 수단을 동원해 반드시 막겠다며 강경 대응을 예고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종묘 세운4구역 관련해서 입장발표문을 통해 “종묘는 대한민국 정부가 1995년 첫 등재한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며, 500년 넘게 이어오는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이 정기적으로 이어지는 공간으로 살아있는 유산입니다. 하지만, 이 종묘가 지금 심각한 위험에 처해있습니다. 종묘 앞에 세워질 종로타워 수준 높이의 건물들은 서울 내 조선왕실 유산들이 수백 년 동안 유지해 온 역사문화경관과 종합적 값어치를 직접적으로 위협할 것입니다. 국가유산청은 정부의 지원 아래 주어진 권한 아래 세계유산법 개정 등 모든 방법을 세워 종묘의 세계유산 지위를 지키고, 종묘가 가진 값어치가 미래 세대에게 온전히 전승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오늘 이 사안은 단순히 높이냐, 그늘이냐의 문제가 아닙니다. 초고층 건물들이 세계유산 종묘를 에워싼 채 발밑에 두고 내려다보는 것을 상상해 보십시오. 미래세대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