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서울 종묘 주변에 초고층 건물을 지을 수 있도록 허용된 것에 문화체육관광부 최휘영 장관과 국가문화유산청 허민 청장이 나란히 세계문화유산 서울 종묘를 찾아 모든 수단을 동원해 반드시 막겠다며 강경 대응을 예고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종묘 세운4구역 관련해서 입장발표문을 통해 “종묘는 대한민국 정부가 1995년 첫 등재한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며, 500년 넘게 이어오는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이 정기적으로 이어지는 공간으로 살아있는 유산입니다. 하지만, 이 종묘가 지금 심각한 위험에 처해있습니다. 종묘 앞에 세워질 종로타워 수준 높이의 건물들은 서울 내 조선왕실 유산들이 수백 년 동안 유지해 온 역사문화경관과 종합적 값어치를 직접적으로 위협할 것입니다. 국가유산청은 정부의 지원 아래 주어진 권한 아래 세계유산법 개정 등 모든 방법을 세워 종묘의 세계유산 지위를 지키고, 종묘가 가진 값어치가 미래 세대에게 온전히 전승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오늘 이 사안은 단순히 높이냐, 그늘이냐의 문제가 아닙니다. 초고층 건물들이 세계유산 종묘를 에워싼 채 발밑에 두고 내려다보는 것을 상상해 보십시오. 미래세대에게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맑은 날이든 흐린 날이든, 문득 하늘을 올려다보면 그곳을 떠다니는 구름이 있을 때가 많습니다. 오늘도 맑은 하늘이지만 곳곳에 구름이 있습니다. 오늘은 그렇게 하늘에 떴다가 우리 마음에도 살며시 떠오르는 말, '뜬구름'을 모셔왔습니다. 우리가 '뜬구름'이라 할 때는 크게 두 가지 뜻을 담고 있습니다. 말집(사전)에서는 이 말을 어떻게 풀고 있는지 찬찬히 들여다볼까요? 첫째 뜻은 '하늘에 떠다니는 구름'입니다. 다음과 같은 보기월이 있습니다. 하늘에 떠다니는 한 조각의 뜬구름. 《표준국어대사전》 뜬구름이 떠다니다. 《고려대한국어대사전》 둘째 뜻은 '덧없는 세상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다음과 같은 보기월이 있습니다. 세상사 뜬구름과 같다.(표준국어대사전) 그에게는 부귀영화와 공명도 모두 뜬구름으로 여겨졌다.(고려대한국어대사전) 두 말집(사전) 모두 '하늘에 떠가는 구름'이라는 눈에 보이는 모습과, '덧없고 허무한 일'이라는 마음속 느낌을 똑같이 담고 있지요. 비슷한 뜻을 가진 한자말(한자에서 온 말)로 '부운(浮雲)'이나 '유운(流雲)'이 있지만, '뜬구름'만큼 그 모습과 느낌을 잘 나타내는 말도 드문 듯합니다. "뜬구름 잡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오늘도 하늘에는 구름들이 저마다 다른 이야기와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한 쪽에서는 해와 어울린 것처럼 보이기도 하고, 한쪽에는 곧 비를 뿌릴 듯 검은 낯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처럼 구름을 보며 그저 '희다', '검다' 또는 '비가 오겠다' 하고 생각하지만, 구름에도 저마다 다른 됨됨(성질)이 있답니다.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그 이름만 들어도 마음이 포근해지는 '따뜻한구름'입니다. '따뜻한구름'이라니, 왠지 햇볕을 받아 따끈해진 구름을 말하는 것 같지요? 그런 느낌도 담겨 있지만, 이 말은 날씨 갈말(기상 용어)로서 좀 더 깊은 뜻을 품고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따뜻한구름'을 '온도가 평균 이상으로 높은 구름'이라고 풀이하고 있습니다. 조금 더 깊이 들어가 볼까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바와 같이, 높은 하늘은 기온이 낮아 춥습니다. 그래서 많은 구름이 물방울뿐만 아니라 아주 작은 '얼음 알갱이(빙정)'들을 함께 품고 있지요. 하지만, '따뜻한구름'은 다릅니다. 이 구름은 구름을 이루는 모든 곳의 따뜻한 정도(온도)가 물이 어는 0도보다 높은 구름을 가리킵니다. 곧 얼음 알갱이 하나 없이 오롯이 작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