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05 (일)

  • 구름많음동두천 1.1℃
  • 맑음강릉 3.3℃
  • 구름많음서울 3.0℃
  • 구름조금대전 3.2℃
  • 맑음대구 4.1℃
  • 맑음울산 3.1℃
  • 맑음광주 4.6℃
  • 맑음부산 4.6℃
  • 맑음고창 3.0℃
  • 맑음제주 7.0℃
  • 맑음강화 -2.0℃
  • 맑음보은 0.6℃
  • 맑음금산 1.5℃
  • 맑음강진군 4.3℃
  • 맑음경주시 2.6℃
  • 맑음거제 3.9℃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내4경과 외4경, 이것이 신부여 팔경이다

<윤재환의 신부여팔경> ②

[그림경제=윤재환 기자]  2002년7춸 30일 이른 아침. 서울 서대문구 현저동 독립문 앞으로 네명의 사람이 모였다. 화가 임옥상, 문화재전문감정위원 김영복, 건축설계사 최부득, 그리고 필자였다. 일행은 7시 20분에 부여를 향해 출발했다. 경부고속도로를 달리는 내내 하늘을 몹시 찌푸렸고, 빗방울마저 오락가락했다. 10시 30분경 부영에 도착했고, 부여문화원 김인권 사무국장이 마중을 나왔다. 

우리는 봉화대가 있는 금성산(121.2m)에 먼저 올랐다. 백제의 마지막 도읍 부여가 손에 잡힐 듯 펼쳐져 있다. 백제 26대 성왕은 538년 도읍을 공주에서 사비(부여)로 옮기고 나라 이름도 남부여(南扶餘)로 불렀다. 당시 백제의 왕족들은 자신들이 북방의 부여 출신임을 확실하게 밝힌 것이다. 오늘의 부여라는 지명은 여기서 비롯된 것이며, 백제 왕족들의 성(姓)이 “부여”였다는 것도 관련이 있는 듯싶다. 

사비성은 부소산을 휘감아 돌며 쌓아졌는데, 마치 그 모양이 반달을 닮아 “반월성(半月城)”으로 불리기도 한다. 사비를 보호하기 위해 쌓은 와곽성이 사비성인데, 우리는 이를 “부여 나성”이라 한다.  

사비 백제가 시작된 538년을 전후하여 나성은 쌓아졌을 터인데, 옛 모습 그대로 복원이 불가능하다고 한다. 부소산의 부소산성에서부터 시작해 사비 고을을 감싸듯이 강줄기와 산자락을 따라 축조된 나성은 대략 84km로 추정한다. 지금 능산리 고분군 옆에 가면 나성의 완전한 흔적을 볼 수 있다.  

일행은 금성산에서 내려와 옛 규암나루터 쪽으로 향했다. 백제대교가 놓이면서 옛 모습을 잃어버린 그곳에는 자온대(自溫臺)라 불리는 암벽이 있다. 

전설에 따르면 백제 마지막 임금 의자왕이 왕흥사로 예불을 드리기 위해 왕래할 때 늘 이곳에서 쉬어갔다고 한다. 신하들은 그때마다 임금 몰래 불을 피워 바위를 미리 데워놓았단다. 이를 모르는 임금은 바위가 저절로 따뜻해졌다 하여 “자온대”라는 이름을 붙여 주었다고 한다.  

   
▲ 1900년대 수북정(일제 강점기 엽서)

   
▲ 기원(綺園) 유한지(兪漢芝, 1760~1840)가 쓴 수북정 현판

자온대 위쪽에는 수북정이란 정자가 있다. 조선 광해군 때 양주목사를 지낸 수북 김흥국이 인조반정을 피해 이곳에 살면서 정면 3칸, 측면 2칸의 정자를 짓고, 자신의 호를 따 수북정(水北亭)이라 했다. 현판 글씨는 전서∙예서에 두루 능한 기원(綺園) 유한지(兪漢芝, 1760~1840)가 썼다.   

일행은 구드레 선착장에서 배를 타고 고란사를 찾았다. 고란사가 수줍게 미소를 머금는 지점에 이르자 절벽 중간에 “낙화암(落花巖)”이라는 붉은 빛 한자가 나타났다. 우암 송시열(1607~1689)이 쓴 글씨라 하는데 확인된 바는 없고, 절벽 꼭대기에는 백화정(百花亭)이 반갑게 손짓한다. 

부소산 기슭에 자리한 고란사에 들러 독특한 현판을 봤다. 절 이름 글씨는 해강 김규진의 솜씨인데 현판 여백에는 죽농거사 안순환의 난(蘭) 그림이 그려져 있다. 

백제왕이 마셨다는 고란 약수로 목을 축인 뒤, 일행은 배를 타고 다시 구드레로 돌아왔고, 서둘러 국립부여박물관으로 갔다. 박물관 입구에는 대형 백제대향로(국보 제287호) 조형물이 세워져 있었다. 지금은 이 조형물이 부여에서 공주 논산 방향으로 나가는 로터리에 옮겨져 있다. 

   
▲ 장하리 한산사터 3층석탑을 방문한 노촌 이구영선생, 하홍만 선생, 필자, 문화재감정전문위원 김영복 선생(왼쪽부터), 사진 김문호

오후 4시 무렵 장암면 장하리에 있는 한산사(寒山寺)터 삼층석탑을 찼았다. 야트막한 야산 기슭에, 젼혀 절집이 들어앉을 자리가 아닌 터에 탑은 자리 잡고 있었다. 고려 후기에 거닙된 것으로 알려진 이 탑은 백제계목탑 양식을 그대로 따르고 있는데, 정림사터 오층석탑을 쏙 빼닮았다. 김영복 선생은 이 탑을 가리켜 모딜리아니 조각품 같다고 했다. 이탈리아 화가이자 조각가인 모딜리아니는 길쭉하게 잡아 늘인 인물상을 단순하게 표현하길 즐겼는데, 이를 두고 한 말이었다. 

이어서 일행은 성흥산성 아래 멋진 소나무 우산을 받치고 있는 대조사 석조미륵보살 입상을 만나러 갔다. 백제시대 대표적인 산성인 임천 성흥산성은 501년에 쌓았다고 하며, 그 아래에 황금새 전설을 간직한 대조사와 미륵보살 입상이 있다. 전설 속에 나타난 황금 빛 큰 새를 빌어 절 이름을 대조사(大鳥寺)라 했고, 관세음보살이 나타난 큰 바위에 석불을 조성했다고 한다. 

   
▲ 1900년대 임천 대조사 석조미륵보살 입상(일제강점기 엽서)

장장 12시간에 걸친 예비답사는 그렇게 끝났다.

그리고 일행은 <신(新)부여 팔경> 관한 합의를 보기 시작했다. 기존 부여 팔경은 당시 정서에 어울리게 부여 읍내의 풍광으로만 정해졌다. 승용차 보급이 보편화된 오늘의 생활 유형에도 맞추고 행정구역이 넓어진 부여 지역의 환경에도 어울리게 <신부여 팔경>을 지정해 보기로 했다.  

부여 읍내를 중심으로 한 내사경(內四景)과 읍내를 벗어난 외사경(外四景)으로 그 윤곽을 잡았고, 내사경의 제1경을 ‘금성산 조망’으로, 제2경은 ‘부소산 산책’으로, 제3경은 ‘백제탑 석조’로, 제4경은 ‘궁남지 연꽃’으로 결정했다. 또한 외사경의 제1경은 ‘무량사 매월당’으로, 제2경은 ‘장하리 삼층석탑’으로, 제3경은 ‘대조사 미륵보살’로, 제4경은 ‘주암리 은행나무’로 확정했다. 

예술교양서적을 전문으로 출판하는 세계 굴지의 출판사 <탬슨 앤 허드슨>은 2010년 9월 고급 여행안내서인 《스타일 시티(Style City》열두째 시리즈로 ‘서울편’을 펴냈다. 런던‧파리‧로마‧뉴욕‧바르셀로나‧샌프란시스코‧시드니 등 열한 개 세계 스타일 도시만을 다룬 콧대 높은 책이다.  

2003년 첫 시리즈를 펴낸 이후, 그 목록에 아시아 최초로 서울이 들어간 것이다. 이 책은 서울을 벗어나 잠시 숨을 돌리고 싶으면 백제의 숨결을 느낄 수 있는 부여로 떠나보라고 권하고 있다. 무엇 때문일까? 

한마디로 한국 여행의 추세가 바뀌고 있다는 증거이다. 부여는 세계적인 여행지로 바뀌고 있다. 그것에 맞춘 안내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제부터 <신부여 팔경>의 본격적인 답사를 떠나보기로 한다.

                         * 자세한 내용은 윤재환의 신 부여팔경》, 스펙트럼북스,  2010 참고

(다음 제3편은 금성산은 부여를 바로 보게 만든다.로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