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량사 매월당, 고암 정병례, 돌, 2007 [한국문화신문 = 윤재환 기자] 부여는 백마강을 끼고 완만한 구릉들 사이에 있어 눈길을 쳐들고 올려다볼 만한 산이 없다. 그런데 40번 국도를 따라 보령 방면 방향으로 20여 km를 달리면 해발 575m 만수산을 만나게 된다.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에 자리 잡은 이 산의 기슭에 무량사가 앉아 있다. 대부분의 절은 속세와 떨어진 한적한 데에 자리를 잡는다. 그런데 무량사는 다른 절의 한적함보다도 한결 아늑하다. 한창이던 시절 무량사는 열두 개의 암자를 거느렸는데, 지금은 도솔암, 무진암, 북진암 등이 있다. 예로부터 고시준비를 이곳에서 하면 뜻을 이룬다고 해서 고시준비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무량사 창건에 관한 기록은 네댓 가지가 있으나 각각 차이가 있어 초창 시기나 창건주를 명확하게 밝히기가 어렵다. 하지만 범일(梵日, 810~889)이 창건했다는 기록은 일치한다. 범일은 당나라에서 수도를 하고 847년에 귀국한다. 범일은 귀국 뒤 상릉시 구정면 학산리에 사굴산문을 개산(開山)하여 40여 년 동안 이곳을 중심으로 활동한 스님이다. 그렇다면 무량사의 창건 시기는 9세기 말 이후로 봐야 하는 것이 무리가 없
[한국문화신문 = 윤재환 기자] 궁남지(宮南池)는 말 그대로 왕궁 남쪽에 조성된 연못이란 뜻에서 얻은 이름이다. 이곳은 미래방죽으로도 불렀다. 방죽의 원말은 방축(防築)인데, 물의 침범을 막기 위해 쌓은 둑을 가리킨다. 하지만 둑은 아니었고 농지와 모호하게 뒤섞인 습지연못이었다. 습지와 논이 혼재한 한켠에는 쓰레기더미가 쌓이기 시작했고, 일부는 택지로 변해갔다. 미래방죽 주위에는 휘늘어진 버드나무가 빙 둘러 있었고, 그것을 그늘로 삼은 대나무 낚시꾼이 항상 있었다. 어린 필자는 낚시꾼들 사이를 비집고 물밤으로 불리는 마름 열매를 건져내던 기억이 아직도 남아 있다. 마름은 물 위에 떠서 자란다. 뿌리를 물밑의 진흙 속에 내리며, 물 위까지 뻗어 있는 줄기 끝에 많은 잎들이 빽빽하게 달린다. 꽃은 7~8월에 피고, 흰색도 있고, 담홍색도 있다. 열매는 9~10월에 익는데 물에 잠긴다. 이것을 건져 삶아 말린 뒤 가루를 만들었다가 죽을 쑤어 먹으면 몸 안의 기운을 왕성하게 하고, 허약체질을 개선한다고 전한다. 그 마름 열매는 가끔 화석으로 발견되기도 하는데, 이는 그 식물의 연대가 그만큼 오래 되었다는 걸 말해준다. ▲ 궁남지 포룡정,김억,다색목판,2007년
▲ 신부여팔경, 고암 정병례, 돌, 2007 [그린경제/얼레빗 = 윤재환 기자] 한국브리태니커회사로부터 독립한 뿌리깊은나무 출판사는 1978년 현대판 《택리지》라 할 《한국의 발견》(전11권)을 펴냈다. 그 시리즈 가운데 충청남도 편에 보면 1920년대에 찍은 국보 제9호 백제탑이 수록되어 있다. 탑 가까이에 초가집 여러 채도 함께 찍힌 빛바랜 흑백사진이다. 그 초가집 가운데 탑과 가장 가까운 왼쪽 초가집이 필자의 선친이 태어난 곳이다. 선친은 백제탑 주변을 마당 겸 텃밭으로 삼아 생활했다. 할머니와 선친은 늘 백제탑 이야기를 어린 필자에게 들려주셨다. 필자 역시 백제탑 옆 백제초등학교를 졸업했고, 이웃한 부여중학교를 다녔다. 유년시절과 청소년 시절을 백제탑과 더불어 보낸 셈이다. 그러나 백제탑 알기를 돌로만 알았을 뿐 그 가치는 전혀 모른 채 자랐다. 홋날 백제탑이 국보 제9호이고, 부여 백제에 남아 있는 거의 유일한 탑이란 사실을 알게 되었다. 부끄러운 무지를 지금도 다 가시지 못한 채 살고 있다. 어린 시절 필자가 들은 그 탑의 이름은 평제탑(平濟塔)이었다. 청소년 시절에는 백제탑으로 불리었고, 그 뒤에는 정림사지오층석탑으로 부른다. 백제가 멸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