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사의 흉상 아래에 묘소가 있다. |
이준 열사의 흉상과 돌벽 |
열사의 묘(태극문양의 덮개돌이 놓여있다) |
이준열사의 묘역 전경 |
[그린경제/얼레빗 = 최우성 기자] 1859년 1월 21일 출생하여 1907년 7월 14일 머나먼 이국땅 네델란드 헤이그에서 돌아가신 열사다.
열사는 1894년 함흥에 순릉의 능참봉이 되었으나 1895년 갑오경장으로 김홍집내각이 들어서자 사직하고 한양으로 올라와 법관양성소를 마치고 한성재판소의 검사보로 법관생활을 하였다. 법관생활 중에는 대관 중신들의 비행과 비리를 들추어내어 올바른 사회정의를 위해 애쓰기도 하였다. 그러나 탐관오리들의 중상모략으로 오랫동안 법관생활을 하지 못하고 사퇴하고 말았다.
이후 서재필등이 미국에서 귀국하자 협성회를 조직하여 구국운동에 투신하였고 독립협회에 평의원으로 피선되고 독립신문발간과 독립문건립 가두연설등으로 활약하였다. 만인공동회에서는 정부의 비리를 탄핵하다 체포되어 이승만 이동휘 등과 함께 투옥되었다.
1902년에는 효율적인 독립운동을 전개하기 위하여 민영환, 이상재, 이상설, 이동휘, 양기탁, 남궁억, 노백린, 장지연 등과 함께 개혁당을 창립하였다.
1905년 을사늑약으로 외교권이 박탈당하자, 비분강해하여 민영환이 순국하자 상해에서 귀국하여 을사늑약의 폐지를 강력히 상소하고 시위를 전개 하였다. 1906년에는 국민교육회를 조직하고 전재산을 투자하여 보광학교를 설립하여 청년계몽운동을 전개하였다. 1906년 3월에는 대한자강회를 창립하여 애국계몽운동을 전개하고 안창호, 김덕기, 이동녕과 함께 비밀결사조직인 신민회를 조직하여 장기적 구국운동을 전개하였다.
1907년 7월 헤의그에서 만국평화회의가 개최된다는 소식을 들은 선생은 비밀리에 고종을 만나 만국평화회의에 특사파견을 건의하였고, 을사늑약의 부당성을 세계만방에 알리고 조약의 무효임을 선언하자고 하였다. 이 건의가 받아들여져 이상설 이위종과 함게 특사로 파견되었다.
특사가 된 선생은 한양-부산-불라디보스톡-뻬쩨르부르그-베를린을 거처 헤이그에 도착하였다. 헤이그에 도착한 특사는 6월 28일 일인들의 불법성을 기술한 책자를 40여 회원국들에게 보내고 러시아 대표이며 평화회의 의장인 넬리도프를 만났으나 네델란드의 정부소개가 없다고 하여 만남이 거절되었다. 이에 30일 네델란드 전 외무대신인 표토르를 만났으나 역시 거절되어 평화회의에서의 발언을 하지 못하고 말았다.
만국평화회의는 1907년 6월 15일 부터 1개월에 거치는 기간동안 개최되었으나, 일본과 영국의 방해공작으로 외교권이 박탈당한 조선은 발언조차 하지 못하고 말았다. 하지만 특사3인은 각국의 신문기자들을 모아놓고 고종이 서명한 장서를 공개하고 평화회의보에 장서의 전문을 게재하기도 하였다.
이에 7월 9일 협회회합의 귀빈으로 초대되어 연설할 기회를 얻게 되었고 이위종은 불어로 연설하여 각국의 대표들과 수행원들을 감화시켰다. 하지만 각국의 대표들을 공례를 빙자하여 조선의 청원은 받아들이지 않았고 이준열사는 7월 14일 애통해 하다가 먼 이국 땅에서 한을 남긴채 순국하고 말았다.
선생은 순국 3일후 헤의그 공동묘지에 안장되었다가 9월 5일 102달러 75센트를 지불하고 묘지 영구임대계약을 체결하고 장례식을 치렀다. 순국 55년 후인 1963년 10월 4일 조국의 품으로 다시 돌아와 수유리 선열묘역에 고이 잠들었다. 본래 선생이 묻혔던 헤의그에는 선생의 흉상과 기념비가 건립되었다.
뒤늦게나마 선생은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사진은 현재 이준열사가 누워계신 수유리 독립유공자묘역의 현황이다. 멀지도 않은 곳에 누워계신 열사들의 묘역 잊지 말고 한번씩 찾아가서 보는 것도 오늘을 사는 후손으로서의 작은 도리가 아닌가 싶다. 오랫만에 찾아본 열사의 묘역은 주변에 심은 나무들이 숲을 이루어 석재의 곳곳에 푸른 이끼가 뒤덮고 있고, 음습하여 한국인의 묘소로서는 양명하지가 못하여 못내 아쉬웠다. 주변이 북한산국립공원지역이다 보니 나무한그루 풀한포기도 손대기가 어렵다고 한다. 하지만 순국열사 독립지사의 묘역을 이곳에 설치했다면 관리가 잘 되도록 하는 것이 마땅한 도리가 아닐까?
최우성 (건축사.문화재수리기술자. 한겨레건축사사무소 대표)
문화재수리기술자로 한국인의 삶을 담아온 전통건축의 소중한 가치를 찾아 기록하고 보존하는 일을 하고 있다. 파주 화석정, 파산서원 등과 영주 소수서원의 정밀실측설계, 불국사 일주문, 안동하회마을, 제주성읍마을, 영주 무섬마을 등 문화재보수설계 일을 맡아했다. 포천시민의 종 종각설계, 용마산 고구려정, 도피안사 대웅전, 봉선사 종각 등을 설계하였다. 현재 한국불교사진협회 회원, 해리티지채널사진기자, 불혹의 포토클럽 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