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신문 = 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조선의 아악을 이해하고 그 보존의 필요성을 강조했던 상진행과 전변상웅(田邊尙雄-다나베히사오)에 관한 이야기를 하였다.
상진행은 일본 궁내성 악부(樂府)의 책임자였고, 다나베는 부속 기관이었던 아악연습소의 강사였는데, 어느 날 그의 스승 상진행 악장으로부터 당시 조선의 아악부가 폐지될 위기에 처해 있다는 이야기를 듣게 된다. 이 당시 총독부의 반응은 동물원과 아악부 중 동물원을 남기고 아악을 폐지한다는 결정을 내렸는데, 이미 그 이전부터 아악부는 재정곤란을 이유로 악인들이 감축되고 있었다. 1917년 무렵에는 겨우 50여명이 남게 되었다가 폐지가 결정되면서 명완벽 등 6명의 노악사만이 남아 잔무를 처리 중에 있었다. 일본 악부의 책임자였던 상진행 악장 역시 어떻게든 이 문제를 해결해 보고 싶다는 의견을 피력하고 있었다.
![]() |
||
▲ 다나베가 찍은 종묘등가악(宗廟登歌樂), 1921년 대 |
그렇다.
놀라지 않을 수 없는 지극히 불행한 사건이 벌어지고 있었던 것이다.
어떻게 이어온 아악부인가!! 저 멀리 신라시대부터 국가의 음악을 관장해 오던 음성서(音聲署)란 국가기관이 그 뒤 대악감이나 전악서 등으로 이름은 바뀌었으나 고려 500년을 거쳐 조선으로 이어져 왔는데, 이제 조선 말엽에 와서 1500년을 이어온 음악기관이 없어지게 되었다니 이러한 불행이 또 어디에 있는가!
총독부의 의견이 “동물원은 일반인에게 구경거리를 제공하지만, 아악부는 별로 도움이 되지 않기에 아악부를 폐지하기로 결정했다”는 것이었는데, 이것은 결코 무엇을 의미하고 있는 것인가! 이 불행은 단지 음악에 종사했던 악인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이 사실 앞에 조선의 궁정은 말할 것도 없고, 조선인 모두가 울분을 토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일본인 다나베 역시 이 말을 상(上)악장으로부터 전해 듣고는 적잖이 놀라면서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스승님, 동물원이라면 지금 폐지하더라고 또 다시 필요할 경우, 각국에서 동물을 사들여 오면 언제라도 훌륭하게 부활시킬 수 있지 않겠습니까? 그것이 총독부의 말처럼 인민에게 이익이 된다면 그것은 이왕가에게 경영시키기보다는 총독부 자체에서 해야 할 일입니다. 총독부에서 비용을 내어 이왕가로부터 넘겨받아야 마땅할 것입니다.
그러나 아악과 같은 고전의 악무(樂舞)는 일단 사라지면 그것은 영원히 없어지고 맙니다. 이를테면 음악만을 악보로 남겨둔다 한들, 악보만으로는 완전하게 전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지금 이 《조선악개요》 자료를 보니 이왕가의 아악은 세계의 문화사 가운데 매우 귀중한 예술인 듯 생각됩니다. 지금 총독부의 의견에 따라 이것을 영원히 없애 버리는 것은 일본정부의 크나 큰 책임입니다.”
![]() |
||
▲ 아악의 보존을 일본당국에 청원한 다나베 |
놀라지 않을 수 없는 사실이다. 그는 분명 조선 사람이 아니었고 일본인이었음에도 아악부의 폐지는 일본정부의 책임이라고 단호하게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강제합방이 되어 여러 가지로 매우 어려운 상황에 처해져 있었을 당시, 이왕직 아악부의 존폐문제를 그는 매우 솔직하고 긍정적으로 기록해 둔 것이다. 그러면서 그는 그의 스승에게 이렇게 간청했다고 한다.
“나는 지금 곧 조선에 가서 이것을 상세하게 조사하는 것과 함께 그 보존의 필요성을 총독부에 진언하여 그 폐지를 극력 방지토록 노력하려고 생각합니다. 스승님, 그러기 위해 나를 궁내성 악부의 직원 자격으로 출장조치를 명하는 것을 배려해 주시기 바랍니다. 당장 조선으로 출장가겠습니다.”
다나베의 결의에 찬 주장을 듣게 된 스승, 상진행은 흡족해 하면서 조선 출장을 적극적으로 동의해 주었다 한다. 이렇게 해서 연구경비도 협찬을 받고, 촬영준비를 갖추어 1921년 4월, 다나베는 조선으로 음악 조사기행을 시작하게 되었다.
일본 악부의 악장, 상진행이나 그의 제자 다나베 등이 일본 아악의 거목들이었지만, 조선아악과 같은 고전 악무(樂舞)가 사라지면 그것은 영원히 절멸시켜 버리는 것이라고 주장한 점과, 그것이 일본 정부의 큰 책임이라고 주장한 점은 예술가의 양심을 읽을 수 있는 대목이어서 매우 다행한 일이었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이러한 마음들이 모이고 모여 결국 아악부의 존속은 유지되었고, 아악부에서는 종전의 계획보다 더 확대된 계획으로 악생들을 더 뽑기 시작하였다. 원래 일반 공모로 악생들을 선발하기 시작한 해는 1919년이다. 그 이전에는 대부분 세습제도로 악생들을 충원해 왔으나 그것을 일반인 중에서 공모하기 시작하였다는 점도 당시로 보면 대단한 변화가 아닐 수 없다. (다음주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