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공명가> 앞부분을 중심으로 소개하였다. 조조와 대치하고 있는 제갈양, 곧 공명이 오(吳)나라의 주유와 함께 전략을 논의하며 화공(火攻)이어야 승산이 있다는 점에 동의한 뒤, 주유는 걱정만을 하고 있을 때, 공명이 남병산에 올라가 동남풍이 불도록 하늘을 움직였다는 내용을 소개하였다. 이번 주에는 그 이후 부분을 이야기한다. 이러한 신통한 공명의 능력을 보고 난, 동맹국 장수인 오나라의 주유(周瑜)는 시기와 질투심이 생겨나 도움받은 것은 잊은 채, 오히려 공명을 해 칠 계책을 마련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그의 부하들인 서성(徐盛-吳나라의 장수이름), 정봉(丁奉-吳나라의 장수이름) 두 장수에게“공명은 도저히 살려둘 수 없는 모사(謀事)이니, 그의 목을 베어오라”라고 강력하게 지시하였다. 모사(謀事)란 “어떤 일을 꾸민다”라는 의미로 부정적인 일을 획책하는 말이다. 관련하여 속담에 “모사는 재인(在人), 성사(成事)는 재천(在天)”이라는 말, 곧 사람이 일을 꾸미지만, 성사 여부는 하늘이 한다는 말이 떠오른다. 주유의 명령대로 두 부하 장수가 공명을 잡으러 남병산에 올랐으나, 공명은 이미 몸을 피해 그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제갈량(諸葛亮)을 주제로 하는 <공명가(孔明歌>를 소개하면서 왜 이런 노래들을 <잡가>라 불러왔는지?, 또한 산조(散調)음악도 ‘헛튼 가락’ 또는 ‘흐트러진 가락’이라 했는데, 왜 산조를 그렇게 불렀는지를 얘기하면서 경서도 음악의 극치라고 평가되는 맑고 고운 노래들을, 잡가(雜歌)라 부르는 것은 당치 않다고 이야기하였다. 이번 주에는 서도의 대표적인 좌창, <공명가>를 소개한다. 정가(正歌)를 비롯한 판소리가 그러하듯 경서도 지방에서 널리 불려 온 좌창(坐唱)도 가사의 내용을 이해하지 못한 채, 그 소리만을 듣는다면 별반 재미를 느끼기 어렵다. 사설의 이해는 우선 되어야 한다. 공명가의 주된 내용은 조조와 대치하고 있는 공명이 오(吳)의 주유와 함께 전략을 논의하는 데 있어 화공(火攻)이어야 승산이 있다는 점에 공감하게 되지만, 겨울철에 동남풍(東南風)을 어떻게 기대할 수 있겠는가! 인간의 능력으로는 어찌할 수 없는 한계에 모두가 난감해하고 있을 때, 공명이 선뜻 나서서 산에 올라가 동남풍이 불어오도록 하늘을 움직였다는 내용의 노래다. <공명가>에서 파생된 노래로는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중국 촉한(蜀漢)의 명재상이었던 제갈량(諸葛亮)을 주제로 하는 노래, <공명가(孔明歌>를 소개하면서 <수심가>나 <관산융마>와 같이 앉아서 손이나 발, 몸의 움직임을 금기(禁忌)시해 온 좌창들을 왜 <잡가>, <긴잡가>라고 부르고 있는가? 아울러 <긴잡가>라는 이름에서 <긴>은 곡조의 길고 짧음이 아니라, ‘느리다’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이름이란 점도 덧붙여 이야기하였다. 사실, ‘서울의 긴잡가’, 또는‘서도잡가’라는 이름도 어느 특정 부류의 노래들을 가리키는 이름은 아니었다. 과거 전통사회에서 상류사회의 지식인 계층이나 양반들이 부르던 노래는 ‘정가(正歌)’라 통칭해 온 반면, 일반 대중들이 즐겨 부르는 노래들은 ‘소리’ 또는 속가(俗歌)’라 불러오기도 했는데, 이러한 속가들을 통칭해서 부르는 명칭이 바로 잡가(雜歌)였다. 여기서 소개하려는 <공명가>를 비롯해서 <초한가>나 <제전>과 같은 노래들을 <서도의 잡가>, <서도잡가>라 통칭하고 있는데, 잡가란 어떤 노래이고 어떤 의미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