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사단법인 한국문화가치연구협회(이사장 오우식)가 주최하고, 문화체육관광부ㆍ퍼포먼스웨이컨설팅·엑스포디자인그룹ㆍ우리문화신문ㆍ시사앤피플이 후원하는 「2025 한국문화가치대상」 시상식이 오는 9월 24일(수) 낮 3시 온라인으로 열린다. 한국문화가치대상은 지방자치단체가 지난 한 해 동안 추진해 온 문화·관광ㆍ예술분야 사업 성과를 점검하고, 한국 문화가치의 수준 향상에 이바지하기 위해 마련된 행사다. 올해는 특히 문화재단까지 참여 범위를 확대해 의미를 더했다. 이번 시상식에서는 모두 25개 기관이 수상의 영예를 안는다. 구체적으로 ▲대상(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 1개 기관, ▲최우수상 8개 기관, ▲우수상 12개 기관, ▲특별상 4개 기관이 뽑힌다. 시상식은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수상기관 관계자들이 함께 참여한다. 협회 쪽은 “한국문화가치대상이 단순한 시상식에 그치지 않고, 문화의 값어치를 함께 만들어가고 널리 알리는 관문이 되길 희망한다”라고 말했다. ☎ 문의처 한국문화가치연구협회 사무국 담당자: 조경수 본부장 전화: 070-4032-3953 번개글: kscho9@nate.com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장상훈)은 2025년 9월 17일(수)부터 11월 3일(월)까지 국립민속박물관 기획전시실 2에서 문화유산의 복원을 다룬 《다시 만난 하늘: 보물 신ㆍ구법천문도 복원기》 특별전을 연다. 전시는 낱장 형태로 훼손되었던 유물을 원래의 병풍 형태로 복원한 보물 <신·구법천문도>와 보존 전문가의 치열했던 복원 과정 이야기 및 관련 도구들을 소개한다. 보존 전문가의 애환을 담은 전시 신ㆍ구법천문도는 조선시대 전통적인 천문도인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와 서양의 '황도남북총성도(黃道南北兩總星圖)'를 하나의 병풍에 그린 것이다. 옛사람들은 하늘의 별을 보고 개인과 나라의 길흉화복을 예측했다. 동서양의 밤하늘을 함께 그려, 하늘의 뜻을 이해하려 한 귀한 천문도다. 1994년 국립민속박물관은 천문도를 입수했고, 2001년에 보물로 지정되었다. 입수 당시 천문도의 상태는 좋지 못했다. 원래는 병풍 형태로 만들어진 것인데, 세월을 겪으면서 낱장으로 흩어지게 되었다. 입수 당시부터 복원과 보존처리 의견이 꾸준히 제기되었다. 국립민속박물관 보존 전문가인 전지연 학예연구사의 주도로 10여 년의 관찰 기간, 6년의 집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장상훈)은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보물 신ㆍ구법천문도(新舊法天文圖)》(유물보존총서 Ⅺ)를 펴냈다. 이 책은 박물관이 소장한 천문도의 병풍 복원 과정을 중심으로, 나라 안팎 유사 천문도 조사, 과학적 분석, 천문학적 고증을 종합한 연구 성과를 담았으며, ‘신‧구법천문도’라는 주제에 주목한 나라 안팎 첫 전문서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조선에서만 제작된 신ㆍ구법천문도 신ㆍ구법천문도는 조선에서만 제작된 독특한 형식의 천문도로, 조선의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와 서양식‘황도남북양총성도(黃道南北兩總星圖)’를 하나의 병풍에 나란히 배치한 보기 드문 자료다. 동서양 천문학이 공존하는 이 자료는 18~19세기 조선의 과학 인식과 외래 문물 수용 양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평가된다. 입수부터 복원까지 상세한 내용을 기록 국립민속박물관 소장본은 1994년 8폭의 낱장 상태로 입수되었으며, 국내 현존 유일본으로서 2001년 보물로 지정되면서‘신ㆍ구법천문도’라는 이름이 붙었었다. 이후 20여 년 동안 낱폭 상태로 보관되었으나, 보존과 전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2019년부터 병풍 장황의 원형 복원에 관한 연구를 추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한가위를 앞두고 택배 물량이 폭증하면서, 스미싱 문자와 개인정보 유출 위험이 커지고 있다. 특히 ‘주소 오류’, ‘배송 확인’ 등으로 속인 스미싱 문자는 사용자를 속여 악성 앱 설치와 금융정보 탈취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운송장 관리 소홀로 인해 이름, 주소, 연락처 등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는 사례도 반복되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명절 택배로 속인 스미싱 수법과 개인정보 유출 예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한가위 연휴 앞뒤로 대량 발송되는 스미싱 문자는 대개 악성 링크를 누를 것을 유도해 악성 앱을 설치하게 하고, 이 탓에 개인정보와 금융정보 탈취로 이어진다. 문제는 이렇게 유출된 개인정보가 다시 또 다른 스미싱에 악용되며 피해의 악순환이 반복된다는 점이다. 특히 택배 운송장에 기재된 이름, 연락처, 주소, 바코드 정보가 그대로 노출된 채 배송되는 경우가 많아 제3자가 개인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한다. 여기에 기존 운송장 위에 새 운송장을 덧붙이거나, 확인증을 제거하지 않고 부착한 채 배송되는 사례가 있어 다른 사람의 정보까지 함께 노출되는 사례가 반복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운송장을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산과 물의 풍경 산수의 풍경이 좋다고 한들 (돌) 심사가 틀리면 말짱 도루묵 (빛) 자연은 호불호, 선악이 없네 (심) 마음 맑아야 풍경이 비치고 (달) ... 25.9.13. 불한시사 합작시 셋째 구의 "자연은 호불호(好不好), 선악이 없네"에서 왕양명의 사구교(四句敎) 가운데 첫번째 구가 생각난다. "무선무악성지체(無善無惡性之體)," 곧 착함도 악함도 없는 것이 본성의 본체(本體)라는 뜻으로 인간 자체도 자연체(自然體)이니, 자연성 역시 호불호가 없는 무선무악이라 할 것이다. 양명의 이 구절은 혜능(惠能)의 게송에서 나왔다는 설이 있다. 결구의 마음이 맑아야 풍경이 비친다는 것은 사람의 마음거울이 밝으면 풍경뿐만 아니라 삼라만상이 그대로 조응(照應)한다는 뜻이리라. 필자의 발구(發句)는 "산수풍경운호운, 수심선행불여야(山水風景云好云 修心善行不如也)"의 첫 구절에서 옮겨 왔다.(라석) ㆍ불한시사(弗寒詩社)는 문경의 불한티산방에서 만나는 시벗들의 모임이다. 여러 해 전부터 카톡을 주고받으며 화답시(和答詩)와 합작시(合作詩)를 써 왔다. 합작시의 형식은 손말틀(휴대폰) 화면에 맞도록 1행에 11자씩 기승전결의 모두 4행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서울옥션은 오는 9월 23일 화요일 저녁 4시 서울옥션 강남센터에서 <제186회 미술품 경매>를 연다. 경매의 고미술 섹션에서는 석창 홍세섭의 <영모도>가 남다른 의미를 갖는다. 조선 말기 문인화가인 홍세섭의 작품으로 당시 화단을 지배하던 남종문인화풍과는 다른 참신하고 이색적인 화풍을 보여준다. 개화기 사진 자료를 통해 원형이 확인된 이 작품은 흩어져 있던 그림이 다시 모여 본래의 10폭 병풍 구성을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미가 크다. 조선 전기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백자청화매조문유개호>와 <백자청화송하인물문호>는 형태와 문양의 아름다움이 두드러지는 귀한 작품이다. 세밀한 묘사와 격조 높은 필치로 그려진 문양들이 고유한 기형과 조화를 이루며 예술성과 희소성을 모두 갖추고 있다. 또한 근현대미술 섹션에서는 한국을 대표하는 작가들의 대작이 중심을 이룬다. 하종현의 200호 크기 <Conjunction 07-19 (A)>는 작가가 1970년대부터 지속해 온 '접합' 연작의 정수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화면 전면을 채운 검은 물감과 마대의 질감, 물감 속 기름이 번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장상훈)은 충주박물관(관장 박흥수)과 함께 2025 K-musems 《연기 위에 지어진 삶, 충주 엽연초 이야기》 공동기획전을 연다. 오는 9월 11일(목)부터 12월 14일(일)까지 충주박물관 2관 2층 전시실에서 열리는 이번 전시는 120여 년 동안 이어온 충주의 담배 농사와 농민의 삶을 주제로, 충주의 주요 특산물이었던 황색종 잎담배와 함께 삶을 일구어 온 지역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아냈다. 바다 건너 온 담배, 충주에 뿌리내리다 “연초(煙草)” 충주의 특산물이오 동시에 충주의 생명선과 다름없는 황색연초… 1938. 6. 30. 동아일보 일제강점기의 한 신문기사에서는 이름도 낯선 ‘황색연초’를 충주의 생명선과 다름없는 특산물이라고 소개했다. 여기서 ‘황색연초’는 황색종 담배의 잎을 말린 것으로, 황색종 담배는 상품성이 좋아 지금까지도 세계적으로 널리 재배되는 품종이다. 본래 충주에는 개천초(開天草)라는 재래종 담배가 있었지만, 특산물로 불릴 정도로 큰 규모로 재배하는 수준은 아니었다. 충주 땅에 외래종인 황색종 담배가 처음 뿌리를 내린 것은 1912년의 일이다. 당시 전매작물인 담배의 재배를 장려하기 위해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가을 오는 소리 달빛 젖은 귀뚜리 울음소리 (돌) 소리로 존재 깨닫는 가을밤 (심) 보이는 소리 들리는 저 달빛 (초) 둥근 달을 품고 서성이노라 (달) ... 25.9.6. 불한시사 합작시 어느새 올해도 가을의 문턱으로 접어들었다. 나무 위의 매미 소리 사그라지고 풀섶 귀뚜리 소리 요란하다. 다 자기가 맡은바 자기의 몫에 저마다 충실하는 것일 게다. 윤달이 들어 한가위도 한 달을 남겨 두고 있으나 내일이 벌써 백로절(白露節)이니, 밤기운이 이슬점 이하로 내려가 풀이나 거미줄에 은구슬 이슬이 맺힌다. 초로(草露)의 인생이라 했던가! 오늘은 윤달의 보름이니 어젯밤 달빛이 유난히 청량하였다. 요양원에, 병원에 있는 벗이 그리워지는 밤이었다. 계절은 지구촌 곳곳에 다른 시기, 다른 모습으로 찾아온다. 남미의 아르헨티나는 5월인데 가로수가 누렇게 물들어 가는 가을이었다. 오래전 지인 감독의 영화 <8월의 크리스마스>가 이해가 되기도 했던 이색 체험이었다. 마야인들은 13개월 28일 고정 달력을 쓴다. 요임금 때 없어진 마고력도 같은 체제 달력을 썼다고 신라시대 박제상이 저술한 《부도지(符都志)》란 책에 기록되어 있다. 백두산에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420년 전통의 경수연(慶壽宴) 가족잔치가 오는 9월 20일(토) 낮 1시부터 저녁 5시까지 경수연 보존회(대표 이광해) 주최로 서울 광화문 앞 ‘의정부터’에서 재현된다. 경수연은 7년 동안 임진왜란이 끝나고 1605년 몇몇 대신들이 양로계를 만들어 살아계신 100살, 70살 이상의 노부모들을 위해 연 잔치다. 참담한 전쟁으로 수많은 백성이 죽었기에 100살를 넘긴 노모가 살아계신 것은 나라를 위한 좋은 징조라 여기고, 선조는 궁중기관인 장악원과 조찬소를 통해 궁중음악과 음식을 선물하였고 자녀들은 부모의 장수를 기원하고 술과 절을 드리고 가마로 부모님을 모셨던 잔치다. 경수연은 임금이 노인만을 궁중으로 모신 양로연과 달리 가족이 함께한 가족잔치며, 70살 이상의 은퇴한 대신을 궁중에 모신 기로연과도 달리 가족이 주최다. 이렇듯 경수연은 민가에서 행해졌지만, 임금에 의한 사연(賜宴) 곧 나라에서 베푸는 잔치의 성격도 어느 정도 있기에 민가에서 궁중음식을 맛보고 궁중악을 체험했던 우리나라만의 독특하고 유일한 행사다. 경수연은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선조(1605), 인조(1630), 숙종(1692)에 치러진 기록이 있으며, 경수연도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장상훈)은 9월 4일(목)부터 9월 7일(일)까지 광주광역시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2025 박물관ㆍ미술관 박람회」에 참여하여 다채로운 전시와 체험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이번 박람회에서 국립민속박물관은 국내 박물관에서 유일하게 운영 중인 ‘찾아가는 어린이박물관 버스(마법의 방-세계 인형의 전시)’와 박물관이 자체 개발한 다문화 꾸러미(10개국) 가운데 베트남 꾸러미를 현장에 선보여 현장을 찾는 관람객에게 흥미로운 볼거리를 제공할 예정이다. 아울러, ▲박물관 소장 디지털 아카이브 가운데 기증자 컬렉션, ▲박물관 교육 교구재, ▲국·내외에서 수행한 각종 조사연구 보고서, ▲20여 년 동안 축적ㆍ발간해 온 한국민속대백과사전, ▲특별전 및 유물 도록 등 한국민속문화를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는 자료도 선보일 예정이다. 국립민속박물관은 이번 박람회를 통해 그동안 축적한 전문성과 사업 성과를 공유하고, 관계기관 및 박물관 관계자들과의 교류 협력을 강화하여 박물관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