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호는 기산(箕山). 김준근의 생애와 이력에 대한 기록은 거의 남아 있지 않다. 다만 그가 19세기 말 부산ㆍ원산 등의 개항장에서 풍속화를 그려 주로 서양인들에게 판매하였다는 사실만이 알려져 있다. 그 풍속화가 한국은 물론 독일ㆍ프랑스ㆍ영국ㆍ덴마크ㆍ네덜란드ㆍ오스트리아ㆍ러시아ㆍ미국ㆍ캐나다ㆍ일본 등 전 세계 20여 곳의 박물관에 1,500여 점이 남아 있고, 당시 조선을 방문한 서양인들의 각종 여행기에 삽화로 사용되면서, 조선의 풍속을 세계에 널리 알린 화가가 되었다” 이는 기산(箕山) 김준근(金俊根)이 소개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글이다. 여기엔 나와 있지 않지만, 《다음백과》에는 인천 제물포도 김준근이 활동했던 지역으로 나온다. 여기 인천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전통연희단 잔치마당(대표 서광일)’이 오는 10월 24~25일 이틀에 걸쳐 부평아트센터 해누리극장에서 문화체육관광부, 인천광역시 후원과 협력 부평구문화재단 후원으로 여는 창작판놀음 《1883년 인천 그리고 기산 김준근》 공연을 연다. 어제(9월 15일) 낮 2시 국악전용극장 ‘잔치마당’에서 언론인들을 초대해 그 제작발표회를 열었다. 현대의 작가도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지난 2014년에 개봉한 영화 가운데 ‘상의원’이 있었습니다. 조선시대 왕실의 의복을 만들던 공간 ‘상의원’에서 펼쳐지는 아름다움을 향한 대결이 조선의 운명을 뒤흔드는 영화였습니다. 순제작비 72억 가운데 의상비로만 10억을 썼으며 진연 장면에서 오아비 역의 박신혜가 입은 진연복의 무게는 40kg, 가체들은 20kg에 달했다고 합니다. 이 영화를 놓고 국내 평론가들의 평은 그다지 좋지 않은 편이었지만, 국내 관객들과 나라 밖 관객들에게는 평이 좋았다고 합니다. ‘상의원(尙衣院)’은 조선시대에 왕실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복식 일체를 관장하며, 재물과 보화를 관리하고 제조하고 공급하던 공조(工曹) 소속의 관아입니다. 이 관아에서는 일상적인 관례에 따라 매달 초하루와 보름, 생일, 명절, 절기에, 대전ㆍ대왕대비전ㆍ중궁전ㆍ세자궁ㆍ빈궁 등 각 전과 각궁에 정해진 물품을 진상하고, 가례(왕실의 혼례), 책례(상왕ㆍ대비ㆍ왕비ㆍ왕세자ㆍ왕세자빈 등을 책봉하던 의례), 존숭(임금이나 왕비에게 존호를 올리는 일), 능행(금이 능에 거둥함) 등 왕실 의례가 있을 때, 또는 임금의 명령이 있을 때 필요한 물품을 공급하였습니다. 《경국대전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산(算) 잘 놓는 장자방(張子房)은 계명산 추야월에 옥통소를 슬피 불어 팔천제자(八千弟子) 해산할 제, 때는 마침 어느 때뇨. 구추삼경(九秋三更) 깊은 밤에 하늘이 높고 달 밝은데, 외기러기 슬피 울어 객(客)의 수심(愁心)을 돋워 주고 장자방의 사향가(思鄕歌)를 부는 퉁소가락이 얼마나 애절했으면 항우(項羽)의 8천 군사가 일제히 전의(戰意)를 잃고 항복하고 말았을까요? 퉁소를 퉁수, 또는 퉁애라고도 하는데 이 악기는 단소에 견줘 보다 굵고 긴 세로악기여서 저음을 내고 있지만, 대금처럼 청공(淸孔)이 있어서 그 음색이 매우 아름답기도 하려니와, 흥겹고 장쾌한 가락이나 리듬에 모두가 하나가 되는 힘을 지닌 악기기도 합니다. 원래 소(簫)라는 악기는 위가 열려있고 밑은 닫혀 있는 세로 부는 관악기지만, 퉁소는 위와 아래가 통했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일 것입니다. 하지만, 지금 퉁소를 연주하는 사람이 많지 않고 북청사자놀음의 반주음악이나 시나위 음악을 통하여 그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는 점이 안타깝습니다. 현재 함경남도 무형문화재 퉁소 신아우(북한에서 옛날부터 널리 연주 보급된 민속 기악곡) 예능 보유자는 동선본 선생입니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1910년 오늘(9월 10일)은 시인이자 역사학자이며, 독립운동가인 매천 황현(黃玹) 선생이 한일병탄으로 나라를 일제에 빼앗기자 스스로 목숨을 끊어 순국한 날입니다. 선생은 28살 때 보거과(保擧科, 뛰어난 인재를 추천받아 시험을 치르는 별시)에 응시해 초시에서 1등으로 뽑혔지만, 시험관은 그가 시골 출신이라는 이유로 2등으로 낮췄습니다. 이에 조정의 부패를 절감한 선생은 관직을 포기하고 고향 구례로 내려왔지요. 이후 구안실(苟安室)이라는 작은 초가집을 짓고 학문 연구와 후진 양성에 전념했습니다. “넉넉하지는 않지만 편안하다”라는 뜻이 담긴 구안실은 선생의 문학과 학문의 산실이었지요. 그곳에 16해 정도를 살면서 무려 1천 수가 넘는 시를 지었는데 음풍농월(吟風弄月: 맑은 바람과 밝은 달을 대상으로 시를 짓고 흥취를 즐김)이 아닌 절의를 지킨 역사적 인물이나 사실을 주로 읊었습니다. 그런 선생은 한일병탄이 되자 “훗날 이런 치욕의 날 누구 하나 책임감 있는 행동을 안 한다면 그것 역시 치욕이다.”라는 말을 토했습니다. 그 뒤 9월 10일 선생은 “새도 짐승도 슬피 울고 강산마저 찡그리니 / 무궁화 세상 이미 빼앗겨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시간은 참 빠르게 흐른다. 1986년 처음 장구채를 잡았다. 그때 풍물은 민주화의 ‘수단’이었다. 1990년대 풍물은 먹고 살기 위한 ‘생존’이었다. 전통연희단 잔치마당을 창단할 때만 해도 이 길을 35년 넘게 이어가리라 생각하지 못했다. 저자는 35년 동안 예술현장에서 창작과 기획, 교육과 경영을 병행하며 무(無)에서 유(有)를 만들어내는 고된 여정을 이어왔다.” 전통연희단 <잔치마당> 서광일 대표가 펴낸 《AI시대, 예술가처럼 경영하라》 책 머리는 이런 말로 시작했다. 인천 부평구에 있는 잔치마당은 전통문화의 대중화와 생활화를 위해 우리 조상들이 물려준 소중한 풍물장단을 기본으로 전통타악과 현대 창작타악을 펼치는 전문 예술 공연활동과 교육을 담당하며, 또한 회원 상호 취미 여가 활동의 마당을 마련하여 친목과 결속을 도모하고 이를 계기로 우리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을 두는 사회적기업체다. 서광일 대표는 드물게 예술과 경영, 두 마리 토끼를 잡은 흔치 않은 인물로 꼽힌다. 장구채를 잡은 지 35년, 이제 인천 부평구에 전문 공연장을 갖추고 전통문화를 성공적으로 세상에 퍼뜨리는데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우리는 장승과 벅수에 관해서 헷갈립니다. 그러나 쟝승은 길을 가는 나그네와 벼슬아치들에게 빠르고 안전한 '길'을 안내하기 위하여 만들어 세운 단순한 기능의 ‘푯말’(이정표)로 ‘우편제도’가 도입된 뒤인 1895년 기존 ‘역참제도’가 기능을 다하고 폐지되어, 임무가 끝나 우리 땅에서 사라졌습니다. 그래서 장승에는 늘 이 마을에서 어디까지는 몇 리라는 글이 쓰여 있었습니다. 그와는 달리 벅수는 얼굴이 험악하고 무서운 모습을 하고 있는데 '중국땅'에서 몰려오는 무서운 '역병'과 '잡귀'들을 막아내기 위하여, '역병'과 '잡귀'들의 고향땅 중국을 다스리는, 무섭고 힘센 임금이나 ‘장수’의 모습을, '벅수'로 표현하여, 거꾸로 이용했다고 합니다. 또 어떤 벅수는 투박한 모습을 하는 것들도 있습니다. 지금은 찾아보기가 매우 귀한 벅수지만 조선시대 말기까지도 마을의 들머리에는 벅수들이 세워졌었지요. 벅수는 주로 나무로 만든 것이 많지만, 더러는 돌로 만들어졌는데, 마을 들머리에서 마을의 재앙을 막아주는 수호신의 역할을 하였습니다. 벅수는 자연의 신령스러운 기운을 사람의 모습으로 형상화한 존재였지요. 벅수 옆에는 의례 큰 당산나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문익점은 중국에서 목면(木綿)을 몰래 가져와 사람들에게 직조(織造)를 가르쳤으니, 백성들에게 이롭게 한 사실이 이와 같았습니다. 공정대왕(恭靖大王, 정종)께서 그가 백성들에게 옷을 입힌 큰 공을 생각하여 강성군(江城君)을 추봉(追封)하였으며 태종조(太宗朝)에서 서원(書院)을 세우라 명하였고, 세조조(世祖朝)에서는 부민후(富民候)를 추봉하였으며, 충선(忠宣)이라 시호를 내렸습니다.“ 이는 《정조실록》 20권, 정조 9년(1785년) 9월 5일 문익점에 관한 기록입니다. 우리는 그동안 문익점이 원나라에서 붓두껍에 목화씨를 훔쳐 왔다고 배웠습니다. 물론 위 기록에서 ‘문익점이 목면을 몰래 가져왔다’라고 돼 있는데 다른 기록을 보면 전혀 사실과 다릅니다. 《태조실록》 7년(1398년) 6월 13일 기록에는 “문익점이 서장관(書狀官)이 되어 원(元)나라 조정에 갔다가, 장차 돌아오려고 할 때에 길가의 목면(木緜) 나무를 보고 그 씨 10여 개를 따서 주머니에 넣어 가져왔다.”라고 하였습니다. 또 이어지는 《태조실록》 기록에는 중국 승려가 조선에서 목면을 보고는 기뻐 울기까지 했다는 내용이 있어 당시 목화가 금수 품목이 아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코스모스 - 이춘우 어머니 닮은 코스모스 삽짝에 서서 날 반겨주고 떠나올 때도 손짓으로 나를 보냈다 "잘 살아야 한데이" 어머니의 걱정에 눈시울 뜨거워지고 나는 어느새 코스모스 키를 훌쩍 넘어섰다 코스모스, 우리말로 ‘살사리꽃’이라 한다. 앞장서서 가을을 맞이하는 꽃으로 예부터 시인, 가객들이 즐겨 노래로 읊조렸다. 우리에게 익숙한 한해살이풀 코스모스는 멕시코가 원산지로 1910년 무렵 건너왔다고 하며, 가을바람에 살랑살랑 흔들리며 하늘거리는 모양이 참 아름답게 보여 ‘살사리꽃’이라고 했으리라 짐작된다. 다만 이 아름다운 말은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코스모스의 잘못된 이름” 또는 “코스모스의 비표준어”라고 깎아내려 사람들이 잘 쓰지 않는 것이 안타깝다. 이제 이틀 뒤면 24절기의 열다섯째 <백로(白露)>다. 이때쯤 보내는 옛 편지 첫머리를 보면 “포도순절(葡萄旬節)에 기체만강하시고…….” 하는 구절을 잘 썼는데, 포도가 익어 수확하는 백로에서 한가위까지를 <포도순절>이라 했다. 또 부모에게 배은망덕한 행위를 했을 때 <포도지정(葡萄之情)>을 잊었다고 하는데 이 “포도의 정”이란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102년 전(1923년) 오늘 9월 1일은 일본에서 관동대지진이 일어난 날입니다. 리히터 지진계로 7.9도를 기록한 이날의 대지진을 일본에서는 관동대진재(関東大震災)라 부르는데 우리는 이날을 조선인 관동대학살의 날로 기억합니다. 관동대지진은 일본이 명치유신 뒤 근대사회로 진입하여 맞이한 가장 큰 재난이었습니다. 지진으로 도쿄, 요코하마를 중심으로 한 관동지방에 수많은 이재민과 사상자가 발생하였고 도쿄 일대가 잿더미로 변하는 등 상당한 재산피해를 입었다. 문제는 무고한 조선인들이 일본의 군경과 민간인에게 학살당하는 만행이 벌어진 것입니다. 이 때 학살당한 조선인 수를 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상하이 임시정부의 기간지인 《독립신문》에 발표된 학살자 수는 6,661명에 이릅니다. 경찰이 계엄령을 선포한 뒤 ‘조선인이 우물에 독을 탄다.’, ‘조선인이 폭동을 일으켰다.’라는 유언비어가 경찰에 의하여 유포되었고 일본 민간인 자경단(自警団)이 조선인을 무차별로 학살한 것입니다. 그때 요코하마, 아라카와 강변, 치바현 나기하라 등을 포함한 도쿄의 여러 곳에서 조선인 학살이 자행되었는데 지금도 도쿄위령당(납골보존) 지하에서 신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115년 전 오늘(8월 29일)은 일제의 강압과 친일파의 결탁으로 반만년 우리 역사에서 딱 한 번, 나라를 빼앗긴 치욕의 날, 경술국치일입니다. 그 뒤 35년 동안 우리 겨레는 국내는 물론이거니와 나라 밖 곳곳에 흩어져서도 해마다 국치일이면 세끼 밥을 굶었다고 합니다. 나라 잃은 아픔과 치욕을 각별하게 기억하려고 했던 것이지요. 상해임시정부도 국치일을 5대 기념일의 하나로 정해 해마다 행사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정작 광복 이후로 국치일은 달력에서, 그리고 우리 기억 속에서 사라졌습니다. 하지만, 국치일이 최근 재조명되고 있습니다. 부끄러운 날을 뭐 하러 굳이 기리느냐고 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2차대전 패전일을 기억하려는 일본, 난징대학살을 절대 잊을 수 없다는 중국, 홀로코스트를 비롯한 고난의 역사를 잊지 않으려는 이스라엘 등을 우리는 봅니다. 역사를 잊는 겨레는 미래가 없다고 합니다. 치욕스러운 역사를 기억해야만 뒷날 다시는 이런 치욕을 당하지 않을 것이란 생각을 해봅니다. 오늘 <우리문화신문> 독자에게는 국치일 말고도 어제 세상을 뜨신 이무성 화백님을 길이 기억해야 합니다. 이 화백님은 2007년 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