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류리수 기자] 아침 일찍 ㅎ 선생과 함께 협곡열차(도롯코)를 타러 우나즈키(宇奈月) 협곡역으로 향했다. ㅎ 선생이 미리 열차표를 예약해 두셔서 기다리지 않고 바로 탈 수 있었다. 이 지역은 깊은 협곡 지형이라 도롯코 열차의 운행구간은 해빙 시점에 따라 늘어난다. 내가 방문했을 당시에는 막 운행을 개시한 직후라 야나기바시(柳橋)까지의 10분 구간밖에 탈 수 없었다. 이 협곡철도는 그 자체로 한 세기의 역사를 지닌다. 1922년, 야나기가와라(柳河原) 발전소 건설을 위해 자재를 운반하며 시작된 철도는 이후 구로베 제2ㆍ제3 발전소 건설과 함께 연장되어 1937년에는 게야키다이라(欅平)까지 20.1km 구간으로 늘어났다. 올해 첫 운행을 알리는 전단을 보니 지역 주민들이 관광객을 환영하는 행사를 했던 것 같다. 그러나 도롯코를 타러 가는 내 마음은 무거운 슬픔으로 가득했다. 야나기바시까지 가는 동안 우리는 유황이 섞인 듯한 뿌연 옥빛의 우나즈키호(댐)를 지나고, 터널도 통과했다. 캄캄한 터널 속 벽면에 규칙적으로 박힌 불빛들이 스쳐 지나갔다. 우나즈키호의 아름다운 풍경과 어두운 동굴을 지나며 이색적인 경험으로 들뜬 다른 관광객들과는 달리, 나는 고향
[우리문화신문=류리수 기자] 도야마현(富山県)의 후간(富岩)운하에서 이와세(岩瀬) 항구로 이동해 전망대에 올랐다. 항구에 정박한 대형 선박 안에는 중고 소형자동차가 가득 실려 있었는데, 아마도 러시아행을 준비 중인 듯했다. 도야마항 선박의 67%가 러시아행이고 도야마항이 일본의 중고자동차의 33%를 수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항구 반대편으로는 넓은 바다가 펼쳐졌고, 오른쪽으로는 병풍처럼 다테야마 연봉이 길게 이어져 있었다. 전망대를 내려와 동쪽 해안을 따라 약 40km를 달려 도착한 곳은 우오즈(魚津)의 쌀 창고 앞. 이곳은 1918년 ‘쌀 소동’의 발상지 중 하나로, 현재는 바닷가를 배경으로 공원이 조성되어 있으며, 가까이에 검고 커다란 목조 창고가 남아있다. 쌀 소동의 배경은 제1차 세계대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1914년 전쟁 발발 이후 일본은 호경기를 맞았지만, 급격한 물가 상승으로 서민의 생활이 곤궁해졌다. 특히 쌀 상인들의 사재기로 인해 쌀값은 무려 네 배까지 치솟았고, 결국 1917년 봄부터 1920년 봄까지 전국적으로 쌀 소동이 이어졌다. 주요 산업 지역인 탄광과 조선업, 대도시 등을 중심으로 임금인상 요구와 폭동이 벌어졌는데, 여기에 쌀값 급등
[우리문화신문=류리수 기자] 우오즈(魚津)로 향하던 길에 필자는 도야마(富山) 시내의 후간운하(富岩運河)에 있는 나카지마(中島) 갑문을 찾았다. 도야마와 이와세(岩瀬)를 잇는 총연장 7km의 이 운하는 1930년에 착공되어 1935년에 운항을 시작한 일본 근대식 운하다. 당시 목재, 원재료, 군수물자 등을 실어 나르는 주요 수송로 역할을 했다. 운하 준설로 파낸 약 130만㎥의 흙은 도야마 시내를 흐르던 사행천 진즈가와(神通川)의 폐천부지(지자체의 시내를 곧게 정리하는 공사 따위로 인해 물줄기가 바뀌면서 땅이 된 곳)를 메우는 데 사용되었으며, 운하 덕분에 물자 이동이 쉬워지자, 운하 주변에는 군수공장이 집중적으로 들어서 산업 발전의 기반을 이루었다. 현재는 운하 양옆으로 벚나무가 줄지어 선 공원이 조성돼 시민과 관광객이 유람선을 즐기는 명소로 바뀌었다. 그러나 이 아름다운 운하 뒤에는 조선인의 혹독한 강제노동이라는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다. 관련 자료 중에서 먼저 《구로3댐과 조선인 노동자》(53쪽)에 따르면, 구로베(黒)3댐(구로베가와 제3발전소) 건설에 동원되었던 조선인 70~80명 가운데 약 30명이 댐 완공 뒤 후간운하의 이와세 방면 공사로 재
[우리문화신문=류리수 기자] 탑승구를 나와 저물어가는 빗속의 <도야마(富山) 공항>이라고 적힌 글씨를 본 순간 뭉클했다. 수많은 옛 조상이 ‘나를 잊지 않고 와주었구나!’ 하고 눈물로 맞아주는 것 같았다. 간단한 절차를 마치고 출구를 나서자 ㅎ 선생님이 우산 두 개를 들고 맞아주셨다. 첫 만남이지만 그간 많은 메일을 주고받았기 때문인지 특별히 긴 인사를 나눌 필요는 없었다. ㅎ 선생님은 도야마 구로3댐의 조선인 노동자에 대해 주목해서 처음으로 집요하게 연구하신 분이다. 그분이 앉은 자리에는 ‘4.3 기억하다’라고 적힌 붉은 친환경가방이 놓여 있었다. 수년 전 조선인 옛 노동자 김태경 씨의 후손을 만나러 제주도에 갔을 때 받은 가방이라고 했다. 다음 날 아침 마중 나온 ㅎ 선생님의 차로 1시간 정도 다테야마(立山)–구로베(黒部) 알펜루트를 향했다. 눈 덮인 높은 산들이 병풍처럼 둘러선 곳을 향해 가는 길은 자연이 아름다워서 현실 같지 않았다. 다테야마 연봉(連峰)을 오르는 케이블카 표는 이미 매진이라서 바로 옆에 있는 다테야마 칼데라 사방박물관으로 향했다. 알고 보니 다테야마는 4월1일 발매 순간에 여행사들이 선점해 버리는 초인기 여행지로 한국에서도
[우리문화신문=류리수 기자] <조선인이 참혹하게 죽어간 구로베가 또 세계문화유산?>이라는 제목의 글 5편은 지난해(2024년 12월 2일부터 29일까지) 류리수 박사가 쓴 글이다. 당시 이 글을 싣게 된 상황은 악명높은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군함도>와 <사도광산>을 일본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한다는 보도가 연이어 소개되고 있을 때였다. 당시 5편의 글은 “1. 사도광산에 이어 세계문화유산 등재 또 추진 중인 ‘구로베댐’ 2. 암반온도가 200도, 터널공사에 강제동원된 조선인 3. 고열 터널 속, 조선인들의 뼈와 살을 갈아 넣다 4. 다이너마이트와 눈사태로 온몸이 찢겨 산화된 조선인 5. 조선인 강제노역 역사를 지워나간 일본” 순이었다. 류리수 박사는 이 5편의 글 연재후, 곧바로 조선인 강제노동 현장인 구로베댐이 있는 도야마(富山)지역을 다녀왔다. 그 생생한 기록을 5회에 걸쳐 싣는다. <편집자말> 구로베(黑部) 3댐의 조선인 강제노동현장을 찾아서 나는 지난해 말부터 일본 도야마(富山県)에 있는 구로베3댐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할아버지가 나가노현(長野県)에서 전시(戰時)의 전력을 위한 수
[우리문화신문=류리수 기자] 지난 기사에서는 구로베의 고열터널에서 공사 중에 다이너마이트가 자연폭발 해서 몸이 흩어지고, 괴력의 눈사태로 인해 숙소 채로 내동댕이쳐져 몸이 찢겨 죽은 조선인들에 대해 얘기했다. 최근 구로베를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려는 일본은 일찌감치 조선인의 흔적을 지워나갔고 일본인의 손으로 자연을 이겨낸 문화유산이라고 당당하게 자랑하고 있다. 이번 기사에서는 구로베에서 이렇게 고통 속에 죽어간 조선인들의 기록이 지워져 있다는 사실을 알리고자 한다. 또한 극히 일부이지만 조선인들의 흔적이 사라지지 않도록 노력해 온 일본인도 함께 조명해 보겠다. 기록소설 《고열터널》이 지운 ‘조선인’, 그리고 역사에서 삭제된 ‘조선인’ 요시무라 아키라(吉村昭)는 구로베의 제3발전소 공사를 조사하고 증언을 살려서 소설 《고열터널(高熱隧道)》을 썼다. 이 소설에서는 일하는 사람을 기술자, 인부장, 인부 이렇게 셋으로 나누면서 터널에서 참혹한 일을 하는 사람들을 처음부터 끝까지 ‘인부’라는 말로 뭉뚱그려서 칭했을 뿐 한 번도 ‘조선인’을 언급하지 않았다. 그 까닭을 대담에서 다음과 같이 변명했다. “이 공사에 종사한 노동자의 절반 이상은 조선사람인데, 강인한 체력을
[우리문화신문=류리수 기자] 지난 기사에서는 왜 생명체가 들어갈 수도 없는 고열터널에 일본인 대신 조선인들이 들어가서 일해야만 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에는 뜨거운 고열로 인한 잇따른 사고들, 그리고 험준한 산속의 눈사태로 인해 어떠한 희생이 있었는지 알리고자 한다. 약 6km의 구로3 공사 전체에서 300명 이상의 희생자가 나왔는데, 그 가운데서 가장 위험한 일을 한 조선인 희생자의 비율이 높다. 고열터널에서만도 “고열터널 742m 암반을 굴착하는 동안 170명이 죽었다. 4.3m당 1명씩 사라진 잔인한 인신공양임에 틀림없다.”(《고열터널》, 196쪽)라고 밝히고 있다. 구로3 공사에서는 준비과정에서부터 벼랑에 낸 좁은 수평도로를 다니며 떨어지는 사고가 있었다. 그리고 다른 터널 공사에서처럼 터널 공사 중 암반에 깔리거나 광차(도롯코)에 딸려 들어가는 사고가 일어난다. 또한 불발 다이너마이트 폭발로 구로3에서도 얼굴이 아스러지고 내장이 쏟아져나와 죽거나 손발이 날라가는 일들이 빈번했다. 하지만 이 기사에서는 구로3에서만 특별하게 일어난 사고를 중심으로 소개하겠다. (1) 다이너마이트 자연발화 폭발사고와 처리 과정 화약류취급법에 따르면, 다이너마이트 사
[우리문화신문=류리수 기자] (1) 왜 조선인이 위험한 구로3댐에서 일하게 되었나? 1910년 한일강제합방 이후 ‘토지조사사업’으로 인해 조선인의 90%인 농민은, 소작농이거나 토지가 있어도 소작농과 다름없는 사람이 77%가 되었다. 여기에 1920년대 ‘산미증산계획 사업’으로 생산되는 쌀의 60%(891만 석)를 일본에 수탈당해서(노형석 《한국근대사의 풍경》, 267쪽) 1인당 미곡 소비량이 1912~1916년 평균 0.7188석이었던 것이 1932~1936에는 평균 0.4017로 절반 가까이 줄었다.(신용하 《일제식민지정책과 식민지근대화론 비판》, 297쪽) 이렇게 쌀을 수탈당하고 완전히 몰락한 농민은 농촌을 떠나 좋은 조건의 일자리를 찾아 유랑하다가 임금이 높다는 일본의 구로베(黒部)로 모여들었다. 조선인 노동자는 일본의 전시체제를 지탱하기 위한 정책 때문에 구로3 터널의 ‘고열’이라는 극한 상황에 내몰렸다. 돈 때문이라고는 해도 목숨을 걸고 고열 속에서 가장 위험한 일을 했던 노동자의 대부분은 조선인이었다. 구로3댐 공사에(1936~1940), 조선인이 처음에는 이렇게 돈 벌기 위해 자유 도항해서 왔지만 1939년부터는 ‘모집’이라는 형태로 강제동원된
[우리문화신문=류리수 기자] 지난번에는 조선인들이 혹독한 노동을 한 구로베댐을 일본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려는 것에 관해 이야기했다. 이번에는 조선인들이 일했던 구로베댐 공사의 노동환경이 얼마나 참혹했는지를 알아보겠다. 일본에서 가장 큰 규모의 구로베댐(구로4댐, 1958~1963)은 구로3댐(1936~1940)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구로3댐은 1931년 만주사변 이후 일본이 중국 대륙으로 전선을 확대하게 되면서 군수품 생산을 위한 전력이 시급했기 때문에 추진되었다. 낙차를 이용한 수력발전소기 때문에 게야키다이라(欅平)에서 센닝다니(仙人谷)까지 약 6km의 수로터널과 궤도터널을 뚫어야 했다. 그 가운데 아조하라다니(阿曾原谷)에서 센닝다니(仙人谷)까지 742m 구간은 암반 온도 최고 200도가 넘는 고열터널이고, 유황 냄새가 구토를 유발하고, 온천수가 분출해서 화상을 입기 때문에 인간이 들어가기조차 어려운 공간인데, 그런 가장 위험한 곳은 대부분 조선인이 일했다. 구로3댐의 공사는 다른 공사에 견줘 극한의 노동환경이었다. 우선 험준한 산속으로 공사 장비와 자재를 가져가기 위해 벼랑 중턱에 암벽을 60cm 정도 도려내거나 몇 개의 통나무를 벼랑에 이어 붙
[우리문화신문=류리수 기자] 한국정부는 조선인 강제 노역 사실을 명확히 밝힌다는 조건으로 <군함도>와 <사도광산>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한 일본정부의 손을 들어주었다. 하지만, 일본은 한국의 뒤통수를 쳐 우리 국민을 충격에 빠트렸다. 그러나 일본은 여기서 멈추지 않고 조선인 노동자가 참혹하게 죽어간 또 다른 곳 구로베(黒部)와 아시오(足尾)광산을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위해 추진중이다. 이에 일본 연구자 류리수 박사는 구로베댐 건설에 강제 동원되어 참혹하게 죽어간 조선인의 실상을 낱낱이 찾아내서 5회에 걸쳐 그 실상을 연재한다. <편집자말> 지난 7월 27일 <사도광산>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우리 정부는 사도광산에 조선인을 포함한 전체의 역사를 설명에 넣을 것을 약속받은 뒤 찬성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설명하겠다는 곳은 초라한 향토박물관이었고 그나마도 조선인 설명부분에는 ‘한반도 출신자를 포함한 노동자...’라는 제목의 단순한 기록과 달랑 나무 도시락 하나를 전시해 이곳을 찾은 한국인 기자들의 원성을 샀다. 더욱이 놀란 것은 일본측이 ‘조선인 강제동원’을 빼기로 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