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노래와 반주와의 관계, 남녀창의 차이점에 관한 이야기를 하였다. 가곡의 반주는 관현악 편성이지만, 가사나 시조창은 관악기와 장고, 혹은 장고만으로 부를 수 있으며 그 역할도 수성(隨聲, 소리를 따라 하는 것)반주라는 점, 이에 반해 가곡의 반주악기들은 대여음과 중여음이 존재하며, 대여음의 역할은 악곡의 음높이, 속도, 분위기 등을 제시해 준다는 점, 그 반주선율 역시 노래와 반진행, 또는 4도~5도의 상, 하행이며 기타 잔가락이 삽입된다는 점을 얘기했다. 또 가곡의 대미를 장식하는 태평가의 절정 부분은 제4장 "우리도" 부분이란 점, 시상(詩想)의 전환이나 고음의 출현, 한 음으로 12박자를 뻗으며 유-무-유의 생명력을 불어넣는 부분이란 점, 남창과 여창의 차이는 가사를 붙이는 자리가 조금씩 다르며 여창은 잔가락과 가성의 창법을 쓴다는 점이 특징적이라는 이야기를 하였다. 이번 주에는 여창 가객으로서 노래 자체도 일품이지만, 특히 노래하는 자태가 고운 정통파 여류 가객, 황숙경의 정가 인생을 소개해 보도록 한다. 원래 정가(正歌)란 아정하고 바른 노래라는 상징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 말이다. 아정(雅正)이라는 표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가곡 한 바탕의 마지막 곡으로 남녀가 동일한 가사를 부르는 태평가(太平歌)에 관한 이야기를 하였다. 태평가의 빠르기는 매우 느리다는 점, 영산회상이나 산조음악은 <만(慢)-중(中)-삭(數)>의 형식이나 가곡은 느리게 되돌아와 끝맺는 <만-중-삭-만>의 형식이란 점, 곡명에 있어서도 00대엽(大葉), 0롱(弄), 0락(樂), 0편(編)과 달리, 가(歌)를 붙이는 이유는 원 이름 <대(臺)>보다는 노래말의 시작으로 통하던 <태평>이 굳어졌다는 점을 얘기했다. 또 가곡 반주에서는 장고가 채편의 변죽을 치는 것이 원칙이나 예외로 <편락(編樂)>이나 <태평가> 등에서는 부분적으로 복판을 친다는 점, 노래말 <우리도>를 부르는 4장의 분위기는 노래와 반주 악기들간의 조화가 극치를 이루고 있으며 특히 일음(林)을 뻗어 내릴 때, 유(有)-무(無)-유(有)의 생명력 넘치는 표현법이 절정이라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이번 주에는 노래와 반주 관계, 남녀창의 차이점에 관한 이야기로 이어간다. 가곡은 거문고, 가야금과 같은 현악기를 비롯하여 세피리, 대금,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2018년도 풍류산방을 시작하며 박문규의 남창가곡 <언락>과 황숙경의 여창가곡, <우락>에 대한 이야기를 하였다. 가곡을 감상하기 전에, 전인근의 대금독주로 <상령산>과 <청성잦은한잎>을 감상하였는데, 고요한 산 중에서 마이크를 쓰지 않고 원음 그대로 듣는 젓대의 소리야말로 도심에 찌든 모두의 가슴을 시원하게 씻어 주었다는 이야기, 대금은 <젓대> 또는 <저>라고도 불렀고, 《삼국사기》에는 “근심 걱정을 종식시키는 피리”라는 의미로 만파식적(萬波息笛)으로 소개되어 있다는 이야기를 했다. 또 여창 가곡에 나타나는 가성(假聲)의 창법은 매우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는 특징적인 창법이라는 점과 가곡의 형식은 가사가 길고 짧던 간에 모두가 5장 형식이고, 노래를 안내하는 대여음(大餘音)과, 3장과 4장 사이의 중여음이 포함된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이번 주에는 가곡 한 바탕을 마무리하는 태평가(太平歌)에 관한 이야기를 한다. 태평가는 남녀가 동일한 가사를 함께 부르는 노래로 그 빠르기는 매우 느려서 그 앞에 부르는 편수대엽(編數大葉)과는 비교도 되지 않을 정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서울 종로구 부암동 인왕산 자락에 있는 무계원에서는 올 2018년에도 매주 토요일 오후 4시부터 풍류산방이 시작된다. 풍류(風流)란 음악이고 노래이고 춤이며 넓은 의미로는 다양한 놀이를 의미하는 말이다. 그리고 산방(山房)이란 산에 지어 놓은 집이다. 그러니 산방에서 국악애호가들을 대상으로 소리도 하고, 악기도 연주하는 방중(房中)악회가 바로 풍류산방이 겠다. 올 2018년도에도 종로문화재단이 주최하고 종로구청이 후원하여 4회에 걸쳐 열리는데, 첫회는 11월 24(토)이고 이로부터 12월 1일, 8일, 15일 등 매주 토요일 오후 4시에 열린다. 첫 회는 엊그제 첫 눈이 내리던 11월 24일이었다. 오후 4시부터 시작되었는데, 남녀창 가곡과 가야금 연주를 필자의 해설로 감상하였다. 가곡감상에 앞서 먼저 대금독주곡으로 <상령산>을 전인근의 연주로 소개하였다. 대금 연주자, 전인근은 국악의 명문 중-고-대학을 마치고 현재 박사과정을 공부하고 있는 젊은 정통파 연주자이다. 그는 낮으막한 소리로 평조회상의 상령산을 불기 시작하더니 곧 <청성잦은한잎>으로 옮겨서 청소리를 쩡쩡 내며 고음으로 치닫는 연주를 하는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선소리산타령보존회> 2018 정기공연과 관련된 이야기를 하였다. 산타령의 이름은 이미 100년 전 발행된 잡가(雜歌)집에 보이고 있으며 답교(踏橋)놀이에서 빠질 수 없던 노래라는 점, 뚝섬패, 과천방아다리패, 왕십리패, 명동, 충무로 일대의 호조다리패나 방아다리패, 용산의 삼개패, 한강패, 쇠붕구패(서빙고), 공덕동의 동막패, 청파동의 청패, 진고개패, 배오개 마전다리패, 성북동패, 자하문밖패, 애오개패 등 등, 전문소리패들이 있었으나 해방이후 단절되었다는 얘기를 했다. 그러다 다행히도 60년대 말에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 입타령(口音)이 많고, 장단이 불규칙하며 통성으로 부르지만, 사설 내용이 건전하고, 합창으로 부르는 신명의 소리인 점, 벽파의 고향 성동구에서 열렸고 경기와 서도의 산타령을 한 자리에서 견줄 수 있는 기회였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이번 주에는 홍성에서 열린 열네 번째 “가무악 전국경연대회”를 보면서 느낀 이모저모를 소개하고자 한다. 충남 홍성은 옛 홍주였다. 유구한 역사를 지닌 유서 깊은 내포문화권의 중심지로 한국의 역사를 이끌었던 수많은 선현이나 위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재담소리 “장대장타령”공연과 <경토리 민요단>의 활동에 대해 이야기 하였다. 민요단은 스스로의 발표회, 특별공연, 기획공연 등을 마련하고 있는데, 무엇보다도 산골마을이나 해안가의 소외지역을 찾아다니면서 경서도 민요의 멋과 흥을 전파하는 소리의 전도사역을 맡고 있다는 점, 재담극(才談劇)이란 말만 잘하고, 소리만 잘 하면 된다고 생각하기 쉬우나 그렇지 않다는 점을 얘기했다. 또 민요창이라는 소리를 바탕으로 해서 대사처리, 연기력, 춤이나 동작, 등이 종합적으로 훈련되어야 하는 어려운 과정이 소리극이란 점, 장대장이 만포첨사라는 무관 벼슬을 얻어 멀리 떠나면서 또는 한양으로 돌아와서 겪게 되는 이야기를 재미있게 구성한 내용이란 점, 아직 그들의 노래나 연기력, 무대 배경, 소도구 등 부족한 것이 많으나 모든 출연자들이 열연해 주어서 많이 웃을 수 있었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이번 주에는 지난 10월 23일 성동문화원 대극장에서 열린 <선소리산타령보존회> 2018 정기공연에 관련된 내용이다. 경기와 서도지방의 산타령을 한 무대에 올려놓아 서로 비교하며 감상할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였다. 이 난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경기 명창, 노학순의 <재담소리, 장대장 타령> 발표 공연에 관한 이야기를 하였다. 재담(才談)이란 ‘남을 웃기는 말’이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그 말속에 녹아 있는 재치(才致)와 풍자로 사회의 불의(不義)나 불합리한 면을 익살스럽게 비판할 수 있고, 또는 습관화 되었거나 편협된 생각을 유연하고 경쾌하게 흔들 수 있어야 한다는 점, 1900년대 초, 암울했던 시대에 박춘재(1877~1950)명인은 <장대장 타령> 등의 재담소리로 대중들의 주름진 얼굴을 펴 준 것을 얘기했다. 또 박춘재-이순일, 홍경산-정득만-백영춘으로 이어져 온 서울의 재담소리는 서울시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는 점, 노학순은 이은관과 이은주 명창에게 배워 국가무형문화재의 이수자가 되었고 무학여고에서 민요강사로 활동했다는 점, 그는 춤과 노래, 연기로 다듬어진 소리극에 남다른 끼를 타고난 사람이어서 백영춘의 <장대장타령>에 입문하여 이수자-전수교육조교의 인증서까지 받아낸 노력형의 소리꾼이란 점 등을 이야기 하였다. 지난 달 16일, 재담소리 <장대장타령>공연은 노학순 이외에 그가 지도하고 있는 <경토리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화용도(華容道) 좁은 길목에서 조우하게 된 조조와 관우의 이야기를 하였다. 조조가 부하들의 권고대로 관우에게 빌면 관공은 대꾸도 없이 “이 놈, 목 늘여 칼 받으라!”고 호통을 치고, 조조가 “전일을 생각하여 살려 달라.”고 애걸하면 관공은“너는 한(漢)나라 적신이고, 나는 한나라 의장이라. 너를 보고 놓겠는가? 목 늘여 칼 받으라.”고 호통을 친다는 이야기, “살려 달라.”와 “칼 받으라.”의 싸움이 재미있게 펼쳐진다. 마지막 부분이 인상적이다. 수하 장졸이 모두 다 꿇어 엎어져 “장군님 덕행으로 우리 승상 살려 주시면, 여산여해 깊은 은혜 천추만세를 허오리다.”에 관우는 조조를 쾌히 놓아 주고 돌아와 공명께 보고한다. “용렬한 관모는 조조를 놓았사오니 의율시행하옵소서” 공명이 내려와 손을 잡고 회답하되, “조조는 죽일 사람이 아닌 고로 장군을 보냈으니 그 일을 뉘 알리요” 충의가 무엇이고, 사나이들의 의리가 어떤 것인가를 잘 가르쳐주고 있는 대목이 바로 적벽가 끝 대목이 아닌가 한다. 이번 주에는 신념과 자부심이 남다른 경기소리 명창, 노학순의 <재담소리, 장대장 타령> 발표 공연에 관한 이야기를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난주에는 판소리 적벽가 외에도 경기 좌창의 하나인 적벽가와 서도소리의 적벽가도 있다는 이야기, 판소리 적벽가는 중국 위의 조조, 한의 유비, 오의 손권이 서로 싸우는 이야기로 삼고초려대목, 장판교 싸움, 군사설움타령, 적벽강 싸움, 화용도 대목 등인데, 삼고초려는 장수들의 위엄이 우조로 그려져 있어서 담담하고, 싸우는 대목에서는 물고 물리는 긴박한 광경이 빠른 장단으로 전개되어 긴장감을 준다는 이야기, 그리고 군사설움대목이나 화용도 대목에서는 계면조의 애처러운 소리와 함께 재담소리가 들어있어 부분적으로 웃음을 제공한다는 이야기를 하였다를 하였다. 또 판소리 적벽가의 명창으로는 순조 때의 송흥록과 모흥갑, 방만춘, 주덕기, 박만순을 위시하여 많은 명창들이 이름을 남기었고 경기잡가 적벽가는 판소리 적벽가의 끝부분, 즉 화용도 대목의 일부분 사설을 도드리장단에 얹어서 부르고 있다는 이야기, 적벽강 싸움에서 패한 조조가 쫒기는 몸이 되어 화용도에 들어섰는데, 이들의 앞을 관우가 가로 막으며, 목숨을 구걸하는 조조와 칼을 받으라고 명하는 관우의 설전이 재미있게 전개된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이번 주에는 막다른 골목에서 조우하게 된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서도소리의 요성법이 경기지방이나 남도의 그것과는 다르다는 이야기와 함께 지방마다 말이 다르고, 억양이 다르기 때문에 민요에도 지방색이 나타난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그래서 각 지역 민요의 음조직이나 창법, 시김새 등이 다양한데, 서도지방의 소리제는 <수심가조>, 또는 <수심가토리>로 부른다는 점, 수심가 소리제는 관서지방 사람들에게 벼슬을 주지 않게 되자, 그 설움을 노래에 실었다는 점을 얘기했다. 또 서도소리의 전승과 보존을 위해서는 문화재청의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점, 서도소리가 국가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 되어있으나 이를 계승하려는 젊은이들이 극소수이며, 문화 예술의 변방으로 취급되어 독특한 가치를 주목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1세대 전문예인들은 노쇠하였거나 타계한 상태라는 점, 서도소리를 포함하여 여러 권역의 다양한 문화와 독특한 예술의 존재가, 바로 대한민국이 높은 문화 수준을 구축하게 된 배경이란 이야기 등을 하였다. 이번 주에는 적벽가에 대한 이야기로 이어간다. 적벽가라는 제목으로 불려지고 있는 노래들은 우선, 판소리 적벽가가 있고, 경기지방의 좌창 12곡 중에도 적벽가가 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