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귀부의 면모는 용형 ▲ 귀부와 이수 ▲ 이수에 새겨진 글씨 ▲ 귀부의 6각 귀갑문 [그린경제/얼레빗 = 조판형 기자] 이 귀부와 이수는 [혜목산고달선원국사원종대사지비(慧目山高達禪院國師元宗大師之碑)]를 받쳤던 귀부(龜趺)와 비신석(碑身石)위에 얹혔던 이수이다. 비는 일찌기 무너져 신석(身石)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옮겨져, 현재는 경복궁 근정전(景福宮 勤政殿) 서쪽 화랑에 진열되어 있으며 이곳 고달선원(高達禪院) 절터에는 귀부와 이수만이 남아 있다. 비문(碑文)에 의하면 원종대사(元宗大師)는 신라 경문왕 9년(869) 13세에 출가하여 상주 공산 삼랑사(尙州 公山 三郞寺)에서 융제선사에게 사사(師事)하였다. 22세에 [양주삼각산장의사(楊州三角山藏義寺)]에서 구족계(具足戒)를 받았고 23세에 입당(入唐)하여 서주 동성현 적주산(舒州 桐城縣 寂住山)에서 자선화상(子禪和尙)에게 사사하였으며 경명왕 5년(921)에 환국하여 봉림사(鳳林寺)에 거주하였다. 그후 광주 천왕사(廣州 天王寺)에서 고려광종 9년(958) 8월에 입적(入寂)하니 왕이 애도하여 원종대사 혜진(慧眞)이라 추시(追諡)하고 [진영일정(眞影一幀)]을 그리게 하였으며 입적후 17년에 이 비가
▲ 쌍계루 ▲ 약사암에서 내려다 본 백양사 전경 ▲ 애기 단풍 [그린경제/얼레빗=조판형 기자] 백양사는우리나라 최고의 단풍 명소이다. 백양사의 단풍은 백양사 앞에 저수지를 바라보며 서 있는쌍계루 부근이 백미이다. 쌍계루는 뒤로 백암산의 암골이 드러나 있고 앞으로는 큰 저수지를 내려다보고 있어, 그 자리만으로도 탄성을 자아내게 하는 누각인데, 가을이면 쌍계루 주변이 붉은 단풍으로 울긋불긋해져 화려하기 이를 데 없다. 주차장에서 백양사까지는 애기단풍나무를 감상하며 걸으면 좋다.백양사는 백제 때 창건된 절인데 창건 당시의 이름은 백양사가 아니었고, 백양사로 이름이 바뀐 것은 조선시대라 한다.
[그린경제/얼레빗 =조판형 기자] 거돈사 원공국사 승묘탑비 ( 보물 78호)는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정산리에 있는 탑비로 원공국사의 생전 행적을 기록한 것이다. 1025년 (현종16)에 건립된 것으로 거북모양의 귀부는 용의 머리모양이며 양쪽 귀가 물고기 비늘 같다. 비석의 글은 최충이 지었고 글씨는 구양순체로 김거웅이 썼다. 승묘탑은 현재 경복궁 안에 있다. 비문에는 고려 전기의 선승 원공국사 지종(圓空國師 智宗 : 930, 태조 ~1018, 현종 9년)가사나사에 있던 인도승 홍범에게 출가하여 수학하고 광종 때 실시한 승과에 급제하였으며 955년에 오월(吳越)에 가서 영명연수(永明延壽)에게서 법을 전해 받은 이야기와국청사에서 정광(淨光)을 만나 법화를 강론하다 962년에 고려에 돌아와 광종과 경종성종목종현종 대대로 우대를 받았으며 1013년(현종 4)에 왕사에 책봉되어 거돈사에서 입적한 생애가 적혀있다. ▲ 전면 ▲ 측면 ▲ 귀부(비석 받침) ▲ 귀부 측면 ▲ 상부
▲ 어둠 속에 빛나는 경회루가 물 속에 또 하나의 경회루를 수놓다 ▲ 칠흑 같은 어둠 속에 조명으로 그 모습을드러내다 ▲ 근정전 옆 모습 [그린경제∙얼레빗 =조판형 기자] 2013 하반기 경복궁 야간개방 궁궐을 품격 높은 역사 문화 공간으로 정비하고 궁궐야경 향유 확대를 통해 내. 외국인에게 우리 궁궐의 역사 문화적 가치와 아름다움을 널리 알려 고궁의 관광자원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해 경복궁 야간개방을 실시한다. 개방기간 : 2013. 10. 16(월)~2013. 10,28(월) 개방시간 : 19:00~22:00
[그린경제=조판형 기자] 강원도 인제군 방태산 자연휴양림내 폭포를 찾아서 ▲ 방태산 2단 폭포 ▲ 서서히 물들기 시작하는 방태산 폭포 주변 ▲ 여름이면 시원했을 폭포도 이제는 가을이라 썰렁한 느낌이다.
[그린경제=조판형 기자] 진전사지 3층 석탑은 통일신라의 일반적인 모습으로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려놓은 모습이다. 하층 기단에는 날아갈 듯한 옷을 입은 천인상(天人像)이 사방으로 각각 둘씩 모두 여덟이 양각(陽刻; 돋을새김)되었으며, 상층 기단에는 구름 위에 앉아 무기를 들고 있는 웅건한 모습의 8부 신중(八部神衆)이 사방에 둘씩 양각되었다. 탑신의 옥신[몸돌]과 옥개석[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만들어졌는데 1층 옥신에는 각기 다양한 모습의 4방불(四方佛) 각 면마다 양각되어 있다. 옥개석은 처마의 네 귀퉁이가 살짝 치켜 올려져 있어 경쾌한 아름다움을 보여주며, 밑면에는 5단씩의 받침을 두었다. 3층 상륜부(相輪部)에는 머리장식은 모두 없어지고 노반(露盤; 머리 장식 받침)만 남아있을 뿐이다. 이 탑은 통일신라시대 전성기의 정교함과 기품을 유지하고 있으면서도 화려하거나 장식적이지 않고 단아한 모습을 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균형이 잡혀 있으면서 옥개석 네 귀퉁이의 치켜 올림이 경쾌한 아름다움을 더해주는 이 탑은 통일신라시대의 대표적인 석탑 가운데 하나이다. 기단에 새겨진 아름다운 조각과 1층 옥신의 세련된 불상 조각은 진전사의 화
[그린경제 = 조판형 기자] 자장율사가 창건한 월정사 안에 있는 탑으로, 그 앞에는 공양하는 모습의 보살상이 마주보며 앉아 있다. ▲ 월정사 구층석탑 - 전면 탑은 8각 모양의 2단 기단(基壇) 위에 9층 탑신(塔身)을 올린 뒤, 머리장식을 얹어 마무리한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안상(眼象)을 새겨 놓았고, 아래위층 기단 윗부분에는 받침돌을 마련하여 윗돌을 괴어주도록 하였다. 탑신부는 일반적인 석탑이 위층으로 올라 갈수록 급격히 줄어드는 모습과 달리 2층 탑신부터 거의 같은 높이를 유지하고 있으며, 1층 탑신의 4면에 작은 규모의 감실(龕室:불상을 모셔두는 방)을 마련해 두었다. ▲ 사면 지붕돌은 밑면에 계단 모양의 받침을 두지 않고 간략하게 마무리하였고, 가볍게 들려있는 여덟 곳의 귀퉁이마다 풍경을 달아 놓았다. 지붕돌 위로는 머리장식이 완벽하게 남아 있는데, 아랫부분은 돌로, 윗부분은 금동으로 만들어서 화려한 아름다움을 더해주고 있다. 고려시대가 되면 4각형 평면에서 벗어난 다각형의 다층(多層)석탑이 우리나라 북쪽지방에서 주로 유행하게 되는데, 이 탑도 그러한 흐름 속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고려 전기 석탑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당시 불교문화 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