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재홍)은 상설전시실 2층 서화관 내에 외규장각 의궤를 위한 전용 전시실을 처음으로 조성하고, 11월 15일 공개한다. ‘외규장각 의궤’는 1866년 병인양요(丙寅洋擾) 때 프랑스 군대에 의해 무단 반출되었던 조선 왕실의 기록물이다. 100여 년이 지난 뒤 프랑스에서 그 존재를 확인하고, 고 박병선 박사(1923-2011)를 비롯한 각계각층의 노력 끝에 2011년, 외규장각을 떠난 지 145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왔다. 외규장각 의궤가 돌아온 13년 동안 국립중앙박물관은 두 차례의 특별전을 열고, 일곱 권의 학술총서를 펴내는 등 전시와 연구에 힘썼다. 또한 1층 조선실 한편에 의궤 전시 코너를 만들어 공개해 왔다. 그러나 외규장각 의궤 속 다양한 내용을 관람객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전용공간이 필요하였고, 이번에 상설전시관에 의궤 전용 전시실 ‘왕의 서고(書庫), 어진 세상을 꿈꾸다’를 조성했다. 그간 축적된 전시와 연구 성과를 반영하고, 다양한 콘텐츠로 재탄생시키는 공간이 될 것이다. 외규장각 의궤실은 국립중앙박물관의 후원 모임인 (사)국립중앙박물관회와 국립중앙박물관회 젊은 친구들(YFM)의 지원으로 조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부여문화유산연구소(소장 임승경)는 11월 15일 아침 9시 한성백제박물관(서울 송파구)에서 「고대 동아시아와 백제의 장송의례」를 주제로 백제 왕릉의 변화과정을 시기별로 살펴보고 비슷한 시기에 축조되었던 동아시아의 왕릉급 고분과 비교 검토하는 국제학술대회를 한성백제박물관과 함께 연다. 이번 국제학술대회는 국립부여문화유산연구소가 한성백제박물관과 학술대회와 특별전의 공동개최를 위해 맺은 업무협약(‘24.7.2.)의 결과로 진행된다. 고대 동아시아와 백제의 능원 구조에 대한 박순발 충남대학교 명예교수의 기조발표를 시작으로, 두 개의 대주제로 구성된다. 1부에서는 ‘백제 왕릉의 구조와 매장의례’를 주제로 5개의 발표가, 2부에서는 ‘중국과 일본 왕릉급 고분의 구조와 매장의례’를 주제로 2개의 발표가 진행된다. 먼저, 1부에서는 ▲ 문헌에 드러나는 백제의 상장의례에 대해 발표하는 ‘백제인의 생사관 변화와 상장령’(박초롱, 공주대학교)을 시작으로, 고고학 분야의 최신 연구 성과로서 ▲ ‘적석총을 중심으로 한 백제 한성기 왕릉’(정치영, 한성백제박물관 백제학연구소), ▲ ‘한성지역 백제 횡혈식 석실묘’(박신영,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서울문화유산연구소(소장 김지연)는 11월 14일 국립고궁박물관 본관 강당(서울 종로구)에서 「한양도성의 공간과 구조」를 주제로 학술대회를 한다. 국립서울문화유산연구소는 2017년 개소 이래로 조선시대 수도 한양의 법궁인 경복궁 등 조선 궁궐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를 진행해 왔다. 이번 학술대회는 경복궁을 중심으로 한 한양도성 건설에 담긴 기본원리를 살펴보고, 한양의 도시공간을 이루던 주요 요소인 궁궐, 관청, 시전, 도로 등의 구성과 구조를 정리하고자 마련되었다. 학술대회는 모두 5개의 주제 발표로 진행된다. ▲ 조선 건국 당시 한양도성에 투영된 조영원리를 살펴본 ‘『주례(周禮)』「고공기(考工記)」를 통해 본 한양도성의 조영(造營) 원리’(신희권, 서울시립대학교)를 시작으로, ▲ 4대궁을 비롯한 중심지역의 발굴조사 성과를 정리한 ‘한양의 궁궐과 주요시설의 조사 현황’(정여선, 국립서울문화유산연구소), ▲ 순조의 궁내 거동문로를 재검토한 ‘조선 궁궐의 시간과 공간’(이강근, 전 서울시립대학교), ▲ 한양도성 내 시전의 변화양상을 되짚어본 ‘한성부 도시공간구조와 시전 행랑’(정수인, 서울역사박물관), ▲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가야문화유산연구소(소장 오춘영)는 아라가야의 왕성으로 알려진 「함안 가야리 유적」 발굴조사에서 토성의 안팎을 연결하는 배수 체계를 가야문화권 유적에서 처음으로 확인하였으며, 성벽 축조 구조와 성 내부의 대지 조성 과정도 새로 밝혔다. 이에 따라 11월 13일 낮 2시에 발굴 성과를 일반에 공개하는 현장설명회(가야리 유적 발굴현장)를 열고, 11월 20일 낮 1시에는 「함안 가야리 유적」의 최신 조사ㆍ연구 성과를 지역 주민들에게 설명하는 학술토론회(포럼)(함안박물관)를 진행한다. * 발굴현장: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가야리 586번지 일원 「함안 가야리 유적」은 《함주지(咸州誌) 1587년)》와 《동국여지지(東國輿地志) 1656년)》 등 조선시대 문헌자료에서 옛 나라의 터(古國遺基)로 기록되어 있으며, 최근의 지표ㆍ발굴조사를 통해 아라가야의 왕성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러한 역사적 값어치와 중요성을 인정받아 2019년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으로 지정된 바 있다. 이번 현장설명회에서는 국립가야문화유산연구소가 지난해부터 가야리 유적의 북서편 곡간지(谷間地)에서 실시한 발굴조사의 성과가 공개된다. 곡간지는 좁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국가유산진흥원(원장 최영창)과 함께 오는 11월 21일부터 30일까지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한국문화원에서 전승공예품에 깃든 한국 무형유산의 값어치와 아름다움을 알리기 위해 「초월(超越); 삶, 시간을 넘어 공간을 잇다」를 주제로 전승공예품 전시를 한다. 이번 전시는 올해로 10회째를 맞이하는 ‘한국무형유산주간’ 사업의 하나로, 국가유산청은 ‘한국무형유산주간’ 사업을 통해 해마다 나라 밖 공공기관과 협업하여 국가무형유산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고자 체험 교육, 전승공예품 전시 등 다양한 홍보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다. 특히, 올해 전시가 열리는 아르헨티나는 정부 차원에서 해마다 11월 22일을 ‘김치의 날’로 제정하는 등 한국문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보여 온 만큼, 뜻깊은 협력을 바탕으로 아르헨티나 현지에서 전시를 진행하게 되었다. 한국의 전통 공간인 사랑채, 안채, 누마루를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한 전시공간에서 진행되는 이번 전시에서는, 국가무형유산 21종목 보유자들의 전승공예품을 비롯하여 현대적 감각을 가미한 이수자들의 공예작품과 미디어아트 작가들의 작품 등 전통과 현대를 잇는 전승공예품 모두 1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재홍)은 미국 시카고박물관(The Art Institute of Chicago, 관장 제임스 론도 James Rondeau) 한국실의 확장 재개관을 기념하기 위해 올해 11월 1일부터 2026년 9월까지 약 2년 동안 국립중앙박물관의 소장품을 대여 전시한다. 전시 기간 중 <서봉총 금관 및 금제 허리띠> 등 지정문화유산을 포함한 특집 전시는 내년 2월까지 3달 동안 진행될 예정이다. 시카고박물관의 한국실 확장 이전 재개관은 국립중앙박물관의 한국실 지원 사업으로 진행되었으며, 기존 대비 세 배가량 확대된 새로운 상설전시 공간에서 한국 문화 전반을 아우르는 전시를 선보일 예정이다. 무엇보다도 자체 소장품을 보유한 지 100여 년 만에 독립된 한국실 전용 공간을 마련하고, 첫 한국실 전담 전시기획자가 한국실 확장 개편을 추진했다는 점에서 한국실 지원 사업의 의미있는 결과물로 평가된다. 이번 개관 기념 전시에서는 금관과 금제 허리띠를 비롯해 책가도 병풍, 분청사기, 백자 등 국립중앙박물관의 소장품과 불상과 고려청자, 현대미술품 등 시카고박물관의 소장품이 함께 어우러져 다양한 한국의 문화유산 61건을 공개한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과 국가유산진흥원(원장 최영창)은 파키스탄 이슬라마바드 고고학박물관국(총괄국장 압둘 아짐(Abdul Azeem))과 함께 만키알라 스투파(Mankiala Stupa)*의 발굴조사를 시작했다. * 만키알라 스투파(Mankiala Stupa): 파키스탄 북서부, 수도 이슬라마바드에서 동남쪽으로 약 20km떨어진 곳에 있는 불교 유적이다. 스투파는 1~2세기경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간다라의 스투파 가운데서도 상부까지 보존되어 당시의 원형을 유추할 수 있다. ‘파키스탄 만키알라 스투파 공동발굴조사’는 대한민국의 파키스탄 국가유산 국제개발협력(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이하 “국가유산 ODA”) 사업의 하나로 추진된다. 사업은 드론(Drone), 광파측량기(Total Station), 위성항법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등 최신 장비를 활용한 교육을 통해, 파키스탄의 문화유산 보존관리 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한다. 이번 공동발굴조사는 대한민국과 파키스탄의 협정에 따른 파일럿 프로젝트로, 만키알라 스투파 유적의 북쪽 계단 하부 구조 파악을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경북 칠곡군에 있는 「칠곡 옛 왜관성당」을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 예고하였다. 「칠곡 옛 왜관성당」은 1928년 가실본당(1924년 건립된 경상북도 첫 천주교 성당) 소속 공소에서 본당으로 승격되면서 건립된 건물로, 현재까지 원형을 비교적 잘 유지하고 있으며, 높은 첨탑과 함께 반원 홍예문(아치) 모양의 창호 등이 성당 건축으로서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본당: 주임 신부가 상주하는 성당 * 공소: 본당보다 작은 단위로, 주임 신부가 상주하지 않는 성당이나 그 구역 특히, 선교활동을 펼치던 독일 성 베네딕도회의 수도자들이 한국전쟁 기간 중 이곳에 피난을 와서 세운 ‘베네딕도수도원’이 오늘날의 ‘성 베네딕도 왜관수도원’이 성립되기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는 매우 중요한 건물이라는 점에서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서의 값어치가 충분하다. 국가유산청은 이번에 등록 예고한 「칠곡 구 왜관성당」에 대하여 30일 동안의 예고기간 동안 의견을 수렴한 후, 문화유산위원회 심의를 거쳐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최종 등록할 예정이다.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중원문화유산연구소(소장 조상순)는 오는 11월 7일 낮 1시 연구소 국원관(충북 충주시)에서 「장미산성에 남은 백제의 흔적」을 주제로 학술대회를 연다. 한강을 따라 충주 분지로 진입하는 길목에 있는 장미산성은 삼국이 치열하게 다투었던 중원역사문화권의 대표적인 산성으로, 국립중원문화유산연구소는 2022년 10월부터 성벽의 변천 과정과 내부 시설물의 구조 등을 확인하기 위한 발굴조사를 추진해 오고 있다. 올해 5월에는 그간의 조사 성과와 출토유물을 공개하는 발굴조사 성과공개회를 연 바 있다. 이번 학술대회는 지난 발굴조사 성과공개회에 이어, 장미산성이 중원문화에서 차지하는 의미를 밝혀내기 위한 자리이다. 특히, 최근 충주에서 새로운 백제 유적들이 확인된 만큼, 그간 장미산성에서 발견된 백제의 흔적과 비교ㆍ분석하며 재조명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학술대회는 먼저 기조강연 ‘중원문화와 충주 장미산성’(성정용, 충북대학교)을 시작으로, 4개의 주제발표와 종합토론으로 구성된다. 주제발표는 ▲ 백제의 충주 진출 과정을 살펴보는 ‘백제의 충주 경영과 역사적 의의’(윤병엽, 충주박물관), ▲ 최신 발굴조사 성과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이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으로 등재 신청한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Knowledge, beliefs and practices related to jang making in the Republic of Korea)」가 5일 아침 8시(현지 시간 5일 자정) 공개된 유네스코 무형유산위원회 산하 평가기구(Evaluation Body)의 심사결과, ‘등재 권고’ 판정을 받았다. 유네스코 무형유산위원회 산하 평가기구는 이번에 모두 58건의 대표목록 등재신청서를 심사하여 우리나라의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를 포함해 모두 57건에 대해서 ‘등재’를 권고했고, 1건에 대해서는 ‘정보보완’을 권고하였다. 이번 심사 결과는 유네스코 무형유산 누리집(https://ich.unesco.org/en/19com)을 통해서 공개되었다. * 평가기구는 등재 신청된 유산을 평가해 그 결과를 ‘등재’(inscribe), ‘정보보완(등재 보류)’(refer), ‘등재 불가’(not to inscribe)로 구